선고일자: 2008.12.11

일반행정판례

전과기록 누락한 비례대표, 당선 무효될 수 있다!

혹시 전과 기록을 숨기고 국회의원 선거에 나가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A 정당의 비례대표로 출마한 B 후보는 경찰서에서 발급받은 범죄경력증명서를 정당에 제출했습니다. 그런데 이 서류에는 B 후보의 사기, 공갈, 사문서위조 등 징역형 전과 기록이 누락되어 있었습니다. B 후보는 이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과가 없는 것처럼 서류를 제출했고, 결국 A 정당의 비례대표 2번으로 당선되었습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A 정당은 B 후보의 당선 무효를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A 정당은 만약 B 후보의 전과 기록을 알았다면 후보로 선정하지 않았거나, 명부 순위를 낮췄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은 A 정당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B 후보가 전과 기록을 숨긴 행위공직선거법상 등록 무효 사유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선거 결과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비례대표 선거는 정당 득표율에 따라 후보자 순위대로 당선자가 결정되는데, B 후보가 전과 기록을 숨김으로써 A 정당의 후보자 명부 작성이 달라졌고, 결국 B 후보가 당선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판결은 공직선거법 제49조 제4항 제5호, 제224조에 따라 이루어졌습니다. 제49조 제4항 제5호는 후보자가 금고 이상의 형의 범죄경력에 관한 증명서류를 제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제224조는 선거법 위반 행위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때 당선을 무효로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례는 선거의 공정성을 위해 후보자의 정직과 투명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유권자들이 후보자의 자질과 배경을 정확히 알고 투표할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후보자 정보 누락, 선거 결과에 영향 미쳤을까? - 선거무효소송 이야기

당선인의 세금 체납 사실이 후보자 정보에서 누락되었지만, 다른 경로로 알려져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선거 무효 소송이 기각된 사례.

#선거무효소송#후보자정보누락#세금체납#선거결과

일반행정판례

비례대표 후보자 선출 과정의 문제, 선거소송으로 다툴 수 있을까?

특정 정당의 비례대표 후보자 선출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그 정당의 비례대표 선거 자체를 무효로 하는 소송은 허용되지 않는다.

#비례대표#후보자 선출 과정#하자#선거소송

일반행정판례

정당 내 경선 결과, 함부로 뒤집을 수 없다!

정당이 당헌·당규에 따라 당내경선을 실시하고 비례대표 후보자를 선정한 경우, 그 절차가 매우 불합리하거나 부당하지 않다면 법원은 후보자 선정 및 등록을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당내경선#후보자등록#효력#정당 자율성

일반행정판례

투표함 속 작은 실수들,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까?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에서 일부 투표지가 잘못된 투표함에 들어가거나 투표용지 교부 수와 투표지 수가 약간 차이가 난다고 해서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없다는 판결. 선거관리위원회의 사소한 실수가 당선 무효 사유는 되지 않음.

#투표지 관리 실수#선거 결과 영향 없음#당선 무효 불인정#사소한 오류

생활법률

선거 끝났다고 끝이 아니다! 당선 무효 소송, 뭐길래?

선거 후 당선 무효 소송은 대통령/국회의원 선거는 대법원에 30일 이내, 지방선거는 선거소청 후 대법원(광역단체장/교육감/비례대표 광역의원) 또는 고등법원(기초단체장/광역·기초의원)에 10일 이내 제기하며, 위법행위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경우에만 당선 무효 판결된다.

#당선 무효 소송#대법원#고등법원#공직선거법

형사판례

국회의원의 대선 후보자 관련 허위사실 공표, 유죄 확정!

17대 대선 당시 A 정당 소속 국회의원이었던 피고인이 B 정당 C 후보자에 대해 허위 사실을 공표하여 당선을 방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간접적, 우회적인 표현으로도 C 후보자의 평가를 훼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실을 공표했다고 판단했습니다.

#허위사실공표#공직선거법#대통령선거#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