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4.07.25

특허판례

특허 존속기간 연장, 어떤 의약품이 대상일까?

의약품 특허 존속기간 연장 제도, 들어보셨나요? 신약 개발에 오랜 시간과 비용이 드는 점을 고려해, 품목허가를 받는 데 걸린 기간만큼 특허권 존속기간을 연장해주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모든 의약품이 다 되는 건 아니랍니다. 오늘은 특허 존속기간 연장 대상이 되는 의약품 발명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릴게요.

사건의 발단: PEGylation 기술과 특허 존속기간 연장

이번 사건의 핵심은 '페길화(PEGylation)'라는 기술입니다. 기존 의약품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붙여 약효 지속시간을 늘리는 기술이죠. 원고는 이 기술을 이용한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의 특허 존속기간 연장을 신청했지만, 특허청은 거절했습니다. 기존 치료제와 동일한 성분에 PEG만 붙였으니 "신물질이 아니다"라는 이유였죠. 원고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고, 원심은 원고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뒤집고 사건을 특허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약효를 나타내는 활성부분'의 의미

대법원은 특허법 시행령 제7조 제1호(구 특허법 시행령)의 '약효를 나타내는 활성부분'을 다음과 같이 해석했습니다.

  • 활성을 가짐: 인체 내에서 직접 작용하여 변화를 일으키는 성질을 가져야 합니다.
  • 약리작용에 의한 효능·효과 발현: 의약품이 품목허가를 받은 효능·효과를 나타내는 데 직접적인 역할을 해야 합니다.

PEG는 그 자체로는 활성을 가지지 않고, 단지 기존 약물의 효과 지속시간을 늘리는 역할만 할 뿐입니다. 따라서 PEG를 붙였다고 해서 '약효를 나타내는 활성부분'이 새롭게 만들어진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판결의 의미: 신약 개발 장려와 제도의 균형

이번 판결은 특허 존속기간 연장 제도의 적용 범위를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단순히 기존 약물의 효능·효과를 개선하는 기술만으로는 특허 존속기간 연장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한 것이죠. 이는 신약 개발을 장려하면서도,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 제도가 남용되지 않도록 균형을 잡으려는 대법원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참고 법조항 및 판례

  • 특허법 제89조 제1항
  • 구 특허법 시행령(2020. 7. 14. 대통령령 제308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 제1호
  • 약사법 제2조 제4호, 제42조 제1항
  • 대법원 2010. 6. 24. 선고 2010두3978 판결
  • 대법원 2013. 1. 17. 선고 2011다83431 전원합의체 판결
  • 대법원 2018. 6. 21. 선고 2011다112391 전원합의체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특허 존속기간 연장된 의약품, 어디까지 보호될까?

특허 기간이 연장된 의약품의 경우, 오리지널 의약품과 유효성분, 치료효과, 용도가 동일하다면, 염의 종류가 달라도 특허권 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

#의약품 특허#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유효성분#치료효과

일반행정판례

수입 의약품도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 가능할까?

수입 의약품의 특허권 존속기간도 국내 제조 의약품처럼 연장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특허법 시행령에 수입 의약품에 대한 명시적 규정이 없었더라도, 법의 취지와 국제 협정 등을 고려하면 연장 대상에 포함된다고 해석해야 한다.

#수입 의약품#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대법원 판결#특허법 시행령

특허판례

의약품 특허 존속기간 연장, 어디까지 가능할까?

의약품 특허의 존속기간 연장은 허가 과정에 소요된 기간을 보상해주는 제도인데, 허가 지연이 신청인의 책임이라면 연장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 판례는 허가 절차 지연의 책임 소재와 존속기간 연장 무효심판 청구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합니다.

#의약품 특허#존속기간 연장#무효심판#허가 지연

특허판례

의약 발명 특허와 관련된 종속항, 한미 조약, 보정기간에 대한 판결 해설

이 판결은 특허 출원 시 청구항 작성 방법, 의약 물질 특허의 보호 범위, 그리고 한미 조약에 따른 특허 보정 기간 및 절차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특히, 청구항 중 하나라도 문제가 있으면 전체 출원이 거절될 수 있으며, 조약에 따른 보정도 정해진 기간과 절차를 따라야 함을 명시합니다.

#의약물질 특허#청구항 보정#종속항#독립항

특허판례

의약 용도 발명, 특허는 어떻게 받을까?

새로운 의약 용도 발명의 특허를 받으려면, 특허 청구 범위에는 약의 효과와 대상 질병을 명확히 적어야 하고, 상세한 설명에는 평균적인 전문가가 약의 효과를 재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와 실험 데이터를 제시해야 합니다.

#의약 용도발명#특허 청구범위#상세한 설명#약효

특허판례

신약 개발과 특허: 약효 입증의 중요성

새로운 의약품 용도에 대한 특허를 출원할 때, 단순히 약효만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험 데이터 등을 통해 약효를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합니다.

#의약용도발명#특허출원#약리효과#실험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