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권은 중요한 지적 재산권이지만, 그 행사에는 정당한 범위가 존재합니다. 특허권 침해를 주장하는 과정에서 권리행사의 범위를 넘어선다면 오히려 불법행위가 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사는 자신들의 특허를 B사가 침해했다고 주장하면서, B사 제품을 구매한 C사에게 압력을 행사했습니다. A사는 C사에게 법적 절차를 밟는 대신, 사회단체와 언론을 통해 불이익을 줄 수 있다고 암시하며 B사와의 계약 해지를 강요했습니다. 결국 C사는 A사의 압력에 못 이겨 B사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이미 설치된 제품까지 철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사의 행위가 정당한 권리행사의 범위를 벗어난 불법행위라고 판단했습니다. A사는 특허 침해 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손해 예방을 위한 적법한 절차(예: 가처분 신청)를 밟지 않고, 사회단체와 언론을 이용해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습니다. 특히, 구매자인 C사에게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협박하고, 형사고소 합의 조건으로 자사 제품 구매를 강요한 행위는 정당한 권리행사로 볼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관련 법조항
이번 판례는 특허권 행사의 정당한 범위와 그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특허권 분쟁에 휘말리지 않도록 관련 법규와 판례를 숙지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합니다.
상담사례
특허 침해 의심 시, 감정적 대응이나 고소 취하 조건의 강요보다 제조·판매금지 가처분 신청 등 적법한 절차를 통해 신중하게 대처하고 전문가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민사판례
특허가 무효로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도 불구하고, 그 특허권을 근거로 침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권리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 법원은 이러한 권리남용 주장을 판단하기 위해 특허의 유효성(진보성)을 심리할 수 있다. 또한, 특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민사판례
경쟁사 제품 판매를 방해하기 위해 상표권을 악용한 경우, 상표권 침해금지 가처분 신청은 권리 남용으로 인정되어 기각될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특허 출원 당시 설명이 부족해서 권리 범위가 불명확한 특허는 침해로 인정되지 않으며, 이후 특허 내용이 보완되더라도 이전 행위는 침해로 볼 수 없다.
형사판례
특허 무효 심결이 나온 후 확정되기 전에 특허권 침해를 주장했다고 해서 무조건 명예훼손이나 업무방해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허위사실이라는 것을 알고서 주장했는지, 즉 고의가 있었는지가 중요하며, 이를 검사가 입증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상표권자라고 해서 무조건 상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상표권 행사가 상표제도의 목적을 벗어나 상대방에게 부당한 손해를 입히려는 의도로 보이는 경우, 권리남용으로 인정되어 상표권 행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