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펜션 운영, 세금 걱정 끝! 부가세 & 소득세 & 현금영수증 완벽 정리!

펜션 사업을 시작하거나 운영 중이신 여러분, 세금 문제 때문에 머리 아프시죠? 복잡한 세금 용어와 절차 때문에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펜션 사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부가가치세, 소득세, 그리고 현금영수증에 대해 쉽고 간략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부가가치세, 꼼꼼하게 챙겨보자!

부가가치세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발생하는 부가가치에 대해 매기는 세금입니다. 펜션 사업자도 예외는 아니랍니다! (부가가치세법 제3조제1항제1호)

✅ 과세기간 & 신고·납부기간:

구분 과세기간 신고·납부기간
일반사업자 (1기) 1월 1일 ~ 6월 30일 7월 1일 ~ 7월 25일
일반사업자 (2기) 7월 1일 ~ 12월 31일 다음 해 1월 1일 ~ 1월 25일
간이사업자 1월 1일 ~ 12월 31일 다음 해 1월 1일 ~ 1월 25일

📌 갓 시작한 사업자라면? 사업 개시일부터 해당 과세기간 종료일까지가 첫 번째 과세기간입니다. 사업 개시 전에 사업자등록을 신청했다면 신청일부터 해당 과세기간 종료일까지입니다. (부가가치세법 제5조제2항)

✅ 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 나는 누구?

  • 간이과세자: 직전 연도 공급 대가 합계액이 1억 4백만 원 미만인 개인사업자. 간편한 신고·납부 절차가 장점! (부가가치세법 제2조제4호,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5조, 제109조제1항)
  •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가 아닌 사업자 (부가가치세법 제2조제5호)

✅ 납부세액 계산법:

  • 일반과세자: (과세표준 × 10%) - 공제세액 (부가가치세법 제29조, 제37조)
  • 간이과세자: (과세표준 × 부가가치율 25% × 10%) - 공제세액 (부가가치세법 제63조제2항, 제3항,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111조제2항)

✅ 더 자세한 정보는? 국세청 홈페이지(www.nts.go.kr) 또는 관할 세무서에서 확인하세요!

2. 소득세, 제대로 알고 납부하자!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주하는 펜션 사업자는 모든 소득에 대해 소득세 납부 의무가 있습니다. (소득세법 제1조의2제1항제1호, 제3조제1항)

✅ 과세기간 & 신고·납부기간:

  • 과세기간: 1월 1일 ~ 12월 31일 (1년) (소득세법 제5조)
  • 신고·납부기간: 다음 연도 5월 1일 ~ 5월 31일 (소득세법 제70조제1항, 제76조제1항)

✅ 장부 기록, 꼭 해야 할까?

펜션 사업자는 모든 거래를 복식부기로 장부에 기록해야 합니다. (소득세법 제160조제1항)

📌 간편장부대상자: 직전 과세기간 수입금액이 1억 5천만 원 미만인 숙박업 사업자는 간편장부로 대체 가능! (소득세법 제160조제2항·제3항, 소득세법 시행령 제208조제5항제2호나목, 제208조제9항)

✅ 납부세액 계산법 & 세율표:

  • 납부세액: {(과세표준 = 소득금액 - 소득공제) × 세율} (소득세법 제14조제2항, 제55조제1항)
종합소득과세표준 세율
1,400만원 이하 6%
1,400만원 초과 5,000만원 이하 84만원 + (1,400만원 초과분의 15%)
5,0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624만원 + (5,000만원 초과분의 24%)
... ...

✅ 더 자세한 정보는? 국세청 홈페이지(www.nts.go.kr) 또는 관할 세무서에서 확인하세요!

3. 현금영수증, 잊지 말고 발급하세요!

숙박업은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현금영수증 발급장치를 설치하고 가맹점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소득세법 제162조의3제1항, 소득세법 시행령 제210조의3제1항제4호, 별표 3의3 제3호다목)

✅ 누가 가입해야 할까? 직전 과세기간 수입금액이 2,400만 원 이상인 경우, 해당 연도 3월 31일까지 가입해야 합니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210조의3제1항제1호, 제4항)

✅ 발급 & 취소:

  • 1원 이상 거래 시, 고객 요청이 있으면 무조건 발급! (현금영수증가맹점이 지켜야 할 사항 제1조제1항, 소득세법 시행령 제210조의3제6항)
  • 취소 시, 승인번호, 승인일자, 취소사유 확인 필수! (현금영수증가맹점이 지켜야 할 사항 제1조제2항)
  • 추가 요금 부담 금지! (현금영수증가맹점이 지켜야 할 사항 제3조)

이제 펜션 사업 관련 세금, 조금은 이해가 되셨나요? 더 궁금한 사항은 국세청 또는 관할 세무서에 문의하세요! 성공적인 펜션 운영을 응원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펜션 사업, 부가가치세 사업자등록 A to Z!

펜션 사업을 시작할 때 부가가치세법에 따라 20일 이내 사업자등록을 해야 하며, 미등록 시 가산세가 부과되므로, 일반/간이과세자 유형을 선택하여 온/오프라인으로 신청하고 필요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펜션#사업자등록#부가가치세#부가가치세법

생활법률

반찬가게 사장님들을 위한 세금 신고 A to Z: 부가가치세 & 소득세

반찬가게 사장님들은 부가가치세(일반과세자: 반기별, 간이과세자: 연1회)와 소득세(매년 5월)를 국세청 홈페이지(www.nts.go.kr) 안내에 따라 신고해야 합니다.

#반찬가게#부가가치세#소득세#신고

생활법률

농어촌민박 운영, 세금 걱정 덜고 시작하세요! (부가가치세 & 소득세)

농어촌민박 사업자는 부가가치세(매출세액 - 매입세액 또는 공급대가*부가가치율*10%)와 소득세(연소득 3천만원 이하 농어민 부업 민박은 비과세)를 납부해야 하며, 자세한 사항은 국세청에 문의해야 한다.

#농어촌민박#부가가치세#소득세#일반과세자

생활법률

사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부가가치세 완전 정복!

사업자는 재화 또는 용역 공급 시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있으며, 직전 연도 공급대가 1억 4백만원 미만인 간이과세자는 연 1회, 일반과세자는 연 2회 신고·납부한다.

#부가가치세#간이과세자#일반과세자#납세의무자

생활법률

펜션 운영, 멈추게 된다면? 휴·폐업 신고 A to Z

펜션 휴·폐업 시 관할 세무서에 휴(폐)업신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온라인 신고, 부가가치세 확정신고와 동시 진행, 통합 폐업신고 등 편의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펜션#휴업#폐업#신고

생활법률

펜션 사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사업자등록 정정신고! (feat. 법조항)

펜션 사업자는 상호, 대표자, 사업 종류, 사업장 위치, 상속, 공동사업자, 임대차 계약, 사업자 단위 과세, 사이버몰 정보 등 사업 관련 정보 변경 시 사업자등록 정정신고를 기한 내에 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다.

#펜션#사업자등록정정신고#상호변경#대표자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