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5.11

일반행정판례

폐수 배출부과금, 어디서 측정해야 공정할까? - 침전조 vs 최종방류구

안녕하세요. 오늘은 폐수 배출부과금 부과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폐수처리 과정 중 어느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해야 하는지, 그 기준에 따라 부과금 처분의 정당성이 좌우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사건의 개요:

한 업체가 운영하는 폐수처리장은 여러 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칩니다. 크롬, 시안, 동 등 유해 물질을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반응조를 거친 후, 응집조, 침전조, 여과조를 통해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방류됩니다. 환경 당국은 이 업체의 폐수처리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오염물질이 검출되었다며 배출부과금을 부과했습니다. 하지만 이 업체는 시료 채취 지점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종 방류구가 아닌, 침전조에서 시료를 채취했기 때문에 부과 처분이 부당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시료 채취 지점의 적절성입니다. 업체 측은 반응조에서 화학적 처리는 완료되지만, 침전조와 여과조에서 추가적인 물리적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최종 방류구에서 채취한 시료만이 정확한 오염도를 반영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환경 당국은 반응조에서 화학적 처리가 완료된 후에는 침전조 등을 거치더라도 오염물질의 농도에 변화가 없다고 주장하며, 침전조에서 채취한 시료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부과 처분을 내렸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원심은 반응조에서 화학적 처리가 완료되었으므로 침전조와 최종 방류구의 수질이 동일하다고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이러한 판단에 문제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대법원은 반응조에서의 화학적 처리 과정, 침전조의 기능, 그리고 화학적 처리와 물리적 처리의 상호 관계 등에 대한 추가적인 심리가 필요하다고 판시했습니다. 특히, 화학적 처리 후에도 침전 등의 물리적 처리 과정을 통해 오염물질이 제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관련 법조항은 환경보전법 제19조의2 (배출허용기준 초과 배출자에 대한 조치) 및 증거 채택과 관련된 민사소송법 제187조 (증거의 종류) 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참조 판례는 없었습니다.

결론:

이 판례는 폐수 배출부과금 부과 처분의 적법성을 판단할 때 시료 채취 지점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화학적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하더라도, 이후 물리적 처리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추가로 제거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며, 따라서 최종 방류구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다만, 이 사건에서는 시료 채취 지점에 대한 사실관계 확정에도 다툼이 있었기에, 고등법원으로 환송되어 추가 심리를 통해 정확한 채취 지점을 확정하고 그에 따른 오염도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부과처분의 적법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폐수 배출부과금 부과처분, 시료 채취 지점이 적절했을까?

폐수 배출부과금 부과를 위한 수질 검사에서 시료 채취 장소가 잘못되었다며 부과 처분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에서, 대법원은 원심이 시료 채취 장소의 위법성을 판단할 때 충분한 사실관계 확인을 하지 않았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폐수배출부과금#시료채취#적법성#정화시설

일반행정판례

폐수 배출부과금 부과처분의 적법성: 측정대행자의 검사결과는 믿을 수 있을까?

폐수 배출 부과금 부과를 위한 오염도 검사는 공인된 검사기관뿐 아니라 측정대행업체에서도 가능하지만, 그 검사 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폐수배출부과금#오염도검사#신뢰성#측정대행업체

일반행정판례

폐수 배출, 종말처리시설 이용해도 부과금 내야 할까?

산업단지 내 공동 폐수종말처리시설을 이용하는 사업장이라도, 자체 전처리시설에서 배출하는 폐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초과배출부과금을 부과할 수 있다.

#폐수처리시설#초과배출부과금#전처리시설#이중규제

생활법률

폐수 배출하고 부과금 폭탄?! 기본배출부과금 완벽 정리!

폐수 배출허용기준은 준수했지만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한 사업장에 부과되는 기본배출부과금에 대해, 부과 대상, 오염물질 종류, 부과 기간, 계산 방식 등을 물환경보전법 및 관련 법규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있다.

#폐수배출부과금#기본배출부과금#물환경보전법#방류수수질기준

생활법률

폐수 무방류 배출시설? 그래도 배출부과금 내야 하나요? (초과배출부과금 완벽 정리!)

폐수무방류배출시설에서 폐수가 배출되면 배출량, 기간, 수질 등을 고려한 초과배출부과금이 부과되므로, 배출허용기준 준수 및 자가측정 등을 통해 폐수 배출을 방지해야 한다.

#폐수무방류배출시설#초과배출부과금#배출허용기준#수질오염물질

일반행정판례

여러 사업장이 함께 쓰는 폐수처리시설, 배출부과금은 어떻게 나눠야 할까?

여러 사업장이 공동으로 오염방지시설을 운영하는 경우,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과징금(초과배출부과금) 부과 기준과 관련된 법령 해석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위반 횟수 산정, 공동부담 비율의 적법성,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규약 승인 필요성 등이 주요 쟁점입니다.

#공동오염방지시설#초과배출부과금#위반횟수 산정#공동부담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