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12.24

세무판례

포합주식과 의제배당소득: 합병 후 세금은 어떻게 될까?

회사 합병 과정에서 세금 문제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포합주식'과 '의제배당소득'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면 더욱 혼란스럽죠. 오늘은 이 두 가지 개념과 관련된 법원 판결을 통해 합병 후 세금 문제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사례: 동양석유(주)는 극동상사(주)의 주식을 모두 사들인 후 극동상사를 흡수합병했습니다. 이때 동양석유가 취득한 극동상사 주식은 '포합주식'에 해당했습니다. 포합주식이란 합병하는 회사가 피합병회사의 주식을 이미 가지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세법에서는 이 포합주식의 취득가액을 합병 과정에서 받는 돈(합병교부금)으로 간주하여 세금을 계산합니다. 이 경우, 동양석유에 의제배당소득이 발생하는지가 쟁점이었습니다. 의제배당소득이란 실제로 배당을 받지 않았더라도 세법상 배당으로 간주하여 과세하는 소득을 말합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동양석유에 의제배당소득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합병 당시 극동상사의 주주는 법적으로 동양석유였습니다. 따라서 동양석유가 받은 합병교부금(포합주식 취득가액)은 극동상사 주식을 취득하는 데 쓴 금액과 같습니다. 즉, 실질적으로 이익을 본 것이 없기 때문에 의제배당소득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포합주식: 합병하는 회사가 피합병회사의 주식을 이미 소유한 경우.
  • 의제배당소득: 실제 배당이 없어도 세법상 배당으로 간주하여 과세하는 소득.
  • 이 사례에서는 포합주식의 취득가액이 합병교부금으로 간주되었지만, 합병 당시 피합병회사의 주주가 합병회사였기 때문에 의제배당소득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소득세법 (1985.12.23. 법률 제379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 제1항 제4호: 의제배당소득 관련 규정
  • 구 소득세법시행령 (1987.5.8. 대통령령 제12154호로 삭제되기 전의 것) 제50조 제4항: 합병 시 주주 관련 규정
  • 법인세법시행령 제117조의2: 포합주식 관련 규정
  • 대법원 1989.7.25. 선고 87누55 판결: 이 사건의 근거 판례

이 판례는 합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금 문제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비슷한 상황에 처한 기업들은 이 판례를 참고하여 세금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회사 합병 시 발생하는 세금, 의제배당에 대한 오해와 진실

기업 합병 과정에서 주주에게 신주를 교부할 때 발생하는 의제배당 소득 계산은 신주의 액면가액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합법적이며, 부부 합산과세는 위헌이다.

#기업합병#신주#의제배당#액면가액

세무판례

합병 시 신주 취득가액, 의제배당소득 비과세여도 가산해야 할까?

금융기관 합병 시 의제배당소득에 대한 법인세가 비과세되더라도, 합병신주의 취득가액 계산 시에는 해당 의제배당소득을 포함해야 한다.

#합병#의제배당소득#법인세 비과세#합병신주

민사판례

회사 합병 시 의제배당과 세금,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회사 합병으로 주식을 받으면, 그 차익을 배당으로 간주하여 세금을 매기는데, 이때 주식 가치는 시가가 아닌 액면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

#기업합병#의제배당#액면가액#시가

세무판례

회사 합병 시 무상주와 의제배당,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회사 합병 과정에서 자산재평가로 인해 무상으로 받은 주식(무상주)의 가액은 합병 전 주식 취득액에 포함되므로, 합병 후 새로 받은 주식 가액이 원래 주식 취득액보다 커서 발생하는 의제배당소득을 계산할 때 무상주 가액은 원래 주식 취득액에 포함하지 않는다.

#회사합병#무상주#의제배당소득#자산재평가

세무판례

회사 합병 시 세금, 제대로 알고 계셨나요? (의제배당과 재평가적립금 자본전입)

회사 합병으로 주식을 새로 받을 때, 기존 주식 취득액보다 새 주식 가치가 더 크면 차익에 대해 배당으로 간주하여 세금을 매기는데(의제배당), 이때 재평가적립금으로 받은 무상주는 기존 주식 취득액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판결.

#법인합병#의제배당#재평가적립금#무상주

세무판례

합병상장이익에 대한 증여세, 핵심 쟁점 완벽 정리!

비상장 주식을 증여받거나 취득한 후 해당 법인이 상장법인과 합병되어 이익이 발생한 경우, 이 이익에 대한 증여세 과세 여부와 다른 증여재산과 합산하여 과세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특히, 합병으로 인한 의제배당소득이 없는 경우 증여세 과세가 가능한지, 그리고 법 개정으로 합병상장이익이 합산과세에서 제외될 수 있는지가 쟁점입니다.

#합병상장이익#증여세#합산과세#의제배당소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