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4.26

민사판례

학습지 교사, 근로자인가 아닌가? - 노동법 판례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학습지 교사의 근로자성 여부를 다룬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인 만큼,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학습지 회사와 업무위탁계약을 맺고 회원 모집 및 관리, 회비 수금 등을 담당하던 교육상담교사들이 회사를 상대로 근로자 지위 확인을 청구한 소송입니다. 즉, 자신들이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는 근로자임을 인정해달라는 것이었죠.

법원의 판단

법원은 교육상담교사들을 근로자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휘·감독의 부재: 회사는 교육상담교사들에게 실적 향상을 위한 독려는 했지만, 업무 내용이나 수행 방법, 시간 등에 대해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지휘·감독을 하지는 않았습니다. 교사들은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했죠.

  • 수수료 지급 방식: 교사들은 근무 시간이나 제공한 노동의 양과 관계없이, 신규 회원 유치 및 회비 수금 실적에 따라 수수료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수수료는 근로의 대가인 임금이라기보다는 업무 성과에 대한 보상으로 보았습니다.

  • 근무시간 및 장소의 자율성: 교사들의 출퇴근 시간이나 업무 수행 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았고, 근무 장소 또한 주로 회원의 집 등 교사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근로자성 판단 기준

법원은 근로자성을 판단할 때 계약의 형식보다는 실질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근로기준법 제14조) 즉, 계약서에 '도급'이라고 쓰여 있더라도 실제로는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했다면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법원은 종속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 업무 내용과 수행 방법에 대한 사용자의 지휘·감독 여부
  • 근무 시간과 장소에 대한 구속 여부
  • 업무 대체 가능성
  • 비품, 원자재 등의 소유 관계
  • 보수의 성격 (근로 자체의 대상적 성격인지, 기본급이나 고정급이 있는지, 근로소득세 원천징수 여부 등)
  • 근로 제공 관계의 계속성과 사용자에 대한 전속성
  • 사회보장제도 적용 여부
  • 양 당사자의 경제·사회적 조건

이 판례의 의의

이 판례는 학습지 교사와 같은 특수고용직의 근로자성 판단에 있어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비슷한 상황에 놓인 분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판례입니다. 다만, 모든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개별 사건의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참조 조문: 근로기준법 제14조

참조 판례: 대법원 1990. 5. 22. 선고 88다카28112 판결, 대법원 1993. 2. 9. 선고 91다21381 판결, 대법원 1994. 4. 29. 선고 93누16680 판결 등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학습지 교사는 근로자인가? 위탁계약 해지와 손해배상

이 판례는 학습지교사가 회사와 근로계약이 아닌 위탁계약 관계에 있다고 판단하여, 노동조합법상 근로자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학습지교사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요구를 거부한 회사의 행위는 부당노동행위가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위탁계약(위임계약)은 언제든지 해지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학습지교사#근로자#위탁계약#노동조합

일반행정판례

학습지 교사도 노동조합 만들 수 있을까? -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인정 여부

이 판례는 학습지 교사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동조합법)상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는지, 그리고 학습지 회사의 계약 해지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대법원은 학습지 교사의 업무 실태를 고려하여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성을 인정하고, 회사의 부당한 계약 해지에 대해 부당노동행위로 판단했습니다.

#학습지 교사#근로자성#노동조합법#부당노동행위

형사판례

학원 강사, 근로자인가 아닌가? 노동법 판단 기준 알아보기

수강료 배분 방식으로 강사료를 받는 단과반 학원 강사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볼 수 없다.

#학원 강사#근로자성#수강료 배분#종속성

일반행정판례

시간강사도 근로자일까? 대법원, 그렇다고 답하다!

대학 시간강사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된다는 대법원 판결. 계약 형식이 아닌 실질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하며, 시간강사의 경우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시간강사#근로기준법#근로자#대법원

일반행정판례

학원 강사, 근로자인가 아닌가?

계약 형식이 용역계약이라도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종속되어 근로를 제공하는 대학입시학원 담임강사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된다.

#대학입시학원#담임강사#근로자#근로기준법

일반행정판례

학원 버스 기사님, 근로자인가 아닌가? - 근로자성 판단 기준 알아보기

계약서가 '용역계약'이라도 실제로 노무 제공자가 종속적인 관계에서 일했다면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사건의 버스 기사들은 여러 정황상 근로자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학원 통학버스#운전기사#근로자성#용역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