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7.02.23

형사판례

한 번 처벌받은 죄로 다시 처벌받을 수 있을까? - 이중처벌 금지와 기판력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법률 이야기를 하나 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이중처벌 금지의 원칙과 관련된 이야기인데요, 같은 죄로 두 번 처벌받을 수 없다는 이 원칙,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될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사건의 피고인은 공사대금을 받기 위해 피해자에게 폭행을 하고, 소란을 피워 업무를 방해하고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그런데 일부 혐의는 이미 이전 재판에서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상태였죠. 이에 검사는 나머지 혐의에 대해서도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피고인 측은 이미 처벌받은 사건과 같은 사건이므로 다시 처벌할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과연 법원은 어떤 판단을 내렸을까요?

법원은 이전에 확정판결을 받은 죄와 현재 재판 중인 죄가 사실상 같은 죄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이중처벌 금지 원칙에 따라 현재 재판 중인 죄에 대해서는 처벌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죠. 이를 기판력이라고 하는데, 한 번 확정된 판결의 효력이 다른 사건에도 미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법원은 이 사건에서 두 가지 중요한 판단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1. 공소사실의 동일성 판단: 이전 사건과 현재 사건의 공소사실이 동일한지 판단할 때는 단순히 법 조항만 볼 것이 아니라, 피고인의 행위, 사회적 사실관계, 그리고 그 행위의 규범적 의미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1994. 3. 22. 선고 93도2080 전원합의체 판결, 1998. 8. 21. 선고 98도749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는 이전 확정판결의 폭행죄와 현재 재판 중인 공갈미수, 감금, 업무방해 혐의가 모두 공사대금을 받기 위해 피해자에게 폭력을 행사한 하나의 행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즉, 사실상 동일한 사건으로 판단한 것입니다.

2. 상상적 경합 관계: 하나의 행위가 여러 개의 죄를 구성하는 경우를 상상적 경합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 한 죄에 대한 확정판결은 다른 죄에도 효력이 미칩니다. (형법 제40조, 대법원 1991. 6. 25. 선고 91도643 판결, 1991. 12. 10. 선고 91도2642 판결 참조) 여기서 '하나의 행위'란 법적인 평가와 상관없이 사회 통념상 하나의 행위로 인정되는 것을 말합니다. (대법원 1987. 2. 24. 선고 86도2731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는 이전 확정판결의 업무방해죄와 현재 재판 중인 명예훼손죄가 모두 피고인이 피해자의 기념전시회에서 소란을 피운 하나의 행위에서 발생했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이 또한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다고 판단하여, 이전 판결의 기판력이 명예훼손죄에도 미친다고 본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이전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현재 재판 중인 죄에도 미친다고 판단하여, 검사의 상고를 기각하고 면소 판결을 선고했습니다. 이처럼 이중처벌 금지 원칙은 형사 사법 절차에서 매우 중요한 원칙이며, 법원은 다양한 판단 기준을 통해 이 원칙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범칙금 냈는데 왜 또 처벌받아야 하나요? - 이중처벌 금지 원칙

술집에서 소란을 피우고 경찰을 폭행한 피고인이 경범죄로 범칙금을 냈는데, 같은 행위로 업무방해와 공무집행방해로 재판을 받았습니다. 대법원은 범칙금 납부가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가지므로, 만약 범칙금을 낸 행위와 재판받는 행위가 같다면 이중처벌이 되어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파기환송했습니다.

#경범죄#범칙금#이중처벌#공무집행방해

형사판례

상습적인 폭력, 이전 폭력까지 처벌받을까? - 약식명령과 포괄일죄

약식명령(간단한 재판절차)으로 폭력 혐의가 확정된 후, 이전에 저지른 비슷한 폭력 행위가 상습폭행으로 볼 수 있다면, 이전 폭력 행위는 이미 처벌받은 것으로 간주하여 다시 처벌할 수 없다.

#약식명령#상습폭행#포괄일죄#기판력

형사판례

재심, 죄 일부만 인정되면 어떻게 될까?

여러 죄를 묶어서 하나의 형을 선고받았는데, 그중 일부 죄에 대해서만 재심 이유가 인정된 경우, 재심 법원은 재심 이유가 없는 나머지 죄에 대해서도 새로 형량을 정해야 한다. 이는 이중처벌 금지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재심#부분재심#이중처벌금지#불이익변경금지

형사판례

한 번 처벌받은 죄, 또 처벌받을 수 있을까? - 포괄일죄와 상상적 경합

여러 범죄가 포괄일죄(여러 행위가 하나의 죄를 구성하는 경우)나 상상적 경합(하나의 행위가 여러 죄를 구성하는 경우) 관계에 있을 때, 일부 범죄에 대해 이미 처벌받았다면 나머지 범죄에 대해서도 다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포괄일죄#상상적 경합#기판력#면소

형사판례

범칙금 냈는데 왜 또 재판 받아야 하나요? - 일사부재리 원칙과 범칙금, 그리고 상해죄

시비 과정에서 소란을 피우다 상대방에게 상해를 입힌 경우, 소란 행위에 대해 이미 범칙금을 냈다면 상해죄로 다시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

#소란#상해#범칙금#면소

형사판례

이미 처벌받은 사기, 또 처벌받을 수 있을까? - 상습사기와 포괄일죄

이전에 사기죄로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사람이 그 판결 확정 *전*에 저지른 다른 사기 행위로 다시 기소되었을 때, 이전 판결의 효력이 이후 기소된 사건에도 미치는지 여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이전 사기와 이후 사기가 상습사기로 볼 수 있다면 이전 판결의 효력이 미쳐서 이중처벌을 금지하는 면소판결을 받게 됩니다.

#사기죄#확정판결#기판력#상습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