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06.29

형사판례

한 번 처벌받은 죄, 또 처벌받을 수 있을까? - 포괄일죄와 상상적 경합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포괄일죄상상적 경합이 함께 발생했을 때, 어떤 판결이 나오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다소 어려운 내용일 수 있지만,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사건의 핵심

이번 사건의 쟁점은 이미 처벌받은 범죄 행위가 포괄일죄의 일부이면서 동시에 다른 죄와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을 때, 이미 처벌받은 부분 때문에 다른 죄에 대해서도 처벌할 수 없느냐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한 번 처벌받은 행위로 또 다른 죄목으로 처벌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가 문제였습니다.

포괄일죄란 무엇일까요?

포괄일죄란 여러 개의 행위가 하나의 죄를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횡령을 목적으로 여러 번에 걸쳐 회사 돈을 빼돌린 경우, 각각의 횡령 행위가 아니라 전체를 하나의 횡령죄로 봅니다. (형법 제37조 참조)

상상적 경합이란 무엇일까요?

상상적 경합이란 하나의 행위가 여러 개의 죄를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술에 취해 운전하다가 사람을 치어 다치게 한 경우, 음주운전과 교통사고가 동시에 성립합니다. (형법 제40조 참조)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포괄일죄의 일부에 대해 이미 판결이 확정되었다면, 그 판결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이루어진 모든 행위에 대해서는 다시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때, 그 행위가 다른 죄와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한 번 처벌받은 행위로 다른 죄목으로 다시 처벌받을 수는 없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여러 번 돈을 빼돌린 횡령 사건(포괄일죄)에서 일부 횡령에 대해 이미 처벌을 받았다면, 남은 횡령 행위가 다른 죄(예: 사문서 위조)와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다고 하더라도, 이미 처벌받은 시점 이전의 횡령 행위에 대해서는 사문서 위조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37조(포괄일죄)
  • 형법 제40조(상상적 경합)
  •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면소의 사유)
  • 대법원 1994. 8. 9. 선고 94도1318 판결
  • 대법원 2006. 11. 23. 선고 2006도6273 판결
  • 대법원 2007. 2. 23. 선고 2005도10233 판결
  • 대법원 2009. 2. 26. 선고 2009도39 판결

결론

포괄일죄와 상상적 경합이라는 다소 복잡한 개념이지만, 핵심은 '이미 처벌받은 행위에 대해서는 다시 처벌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번 판례는 이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는 중요한 판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관련 법조항과 판례를 참고해 보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직원의 횡령, 여러 번이라도 한 번의 죄일 수 있다?

여러 번 횡령한 경우, 그 행위들이 하나의 죄로 묶일 수 있는지(포괄일죄), 그리고 일부 횡령에 대해 이미 벌금형을 받았다면 나머지 횡령에 대해서는 처벌할 수 없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횡령#포괄일죄#면소#벌금형

형사판례

한 번에 여러 물건 횡령하면 죄가 여러 개일까? - 횡령죄와 상상적 경합

다른 사람으로부터 빌린 물건을 여러 개, 한꺼번에 팔아버린 경우, 빌려준 사람이 여러 명이라도 횡령죄는 하나로 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상상적 경합)

#횡령#상상적 경합#실체적 경합#형법 제40조

형사판례

포괄일죄와 실체적 경합범, 그리고 누범

여러 건의 사기 사건에서 각 범행이 포괄일죄인지 실체적 경합범인지, 그리고 누범 기간과 범행 시기의 관계에 따른 누범 적용 여부를 판단한 판례입니다.

#사기#포괄일죄#실체적 경합범#누범

형사판례

한 번의 행패, 두 번 처벌받을 수 있을까? - 업무방해와 상상적 경합

한 사건에서 피고인이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여러 사람에게 행패를 부려 업무를 방해한 경우, 이를 여러 개의 업무방해죄로 따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이미 한 번 처벌받은 행위에 대해서는 다시 처벌할 수 없다는 '기판력' 원칙이 적용됩니다.

#업무방해#상상적 경합#기판력#형법 제40조

형사판례

게임장 불법 경품 지급, 언제까지 하나로 볼 수 있을까? (포괄일죄 vs. 실체적 경합범)

불법 경품을 제공하는 게임장이 단속 후 영업을 재개할 때마다, 이는 새로운 범죄로 간주된다는 대법원 판결. 단순히 하나의 긴 범죄가 아니라, 단속될 때마다 범죄 의도가 새롭게 생긴 것으로 본 사례.

#게임장#불법경품#반복단속#별개범죄

형사판례

돈 여러 번 뜯어냈다고 다 포괄일죄는 아닙니다! 사기죄, 포괄일죄 인정되려면?

여러 번의 사기 행위가 하나의 죄(포괄일죄)로 인정되려면 단일하고 계속된 범죄 의도가 있어야 하며, 이를 판단할 때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원심은 이러한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 파기 환송되었다.

#포괄일죄#사기#경합범#범죄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