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3.27

특허판례

'한글' 상표, 유사상표일까? - 상표의 핵심 요소를 봐야 합니다.

오늘은 상표의 유사성 판단에 대한 흥미로운 판결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한글'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두 상표가 유사한지 여부를 다룬 사건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법원은 두 상표가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왜 그런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애플 컴퓨터(출원인)는 ""라는 상표를 출원했지만, 이미 등록된 "" 및 ""라는 상표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거절되었습니다.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고, 결국 대법원까지 가게 된 것입니다.

쟁점: '한글'이라는 공통 단어, 상표 유사성을 결정짓는가?

특허청은 두 상표 모두 '한글'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유사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출원 상표의 핵심 요소가 '한글'이라고 보았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한글'은 상표의 핵심 요소가 아니다!

대법원은 특허청의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은 '한글'이라는 단어 자체는 우리나라 글자의 이름에 불과하며, 상품 출처를 구별하는 기능을 하지 못한다고 보았습니다. 즉, 소비자들이 '한글'이라는 단어만 보고 상품의 제조사를 떠올리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글'이라는 공통 단어가 있다고 해서 두 상표가 유사하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이죠.

상표 유사성 판단의 기준: 전체적인 모습과 핵심 요소를 고려해야

대법원은 상표의 유사성을 판단할 때는 외관, 칭호, 관념을 객관적, 전체적, 이격적으로 관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순히 일부분만 같다고 유사하다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모습을 보고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우려가 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상표의 핵심 요소(요부)가 무엇인지가 중요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한글'이 핵심 요소가 아니었기 때문에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1항 제7호
  •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 대법원 1990.6.8. 선고 90후274 판결
  • 대법원 1990.6.26. 선고 89후896 판결
  • 대법원 1990.9.14. 선고 90후472 판결

이번 판결은 상표의 유사성 판단에 있어서 전체적인 관점과 핵심 요소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사례입니다. 상표 출원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이러한 점을 유의하셔서 분쟁의 소지를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한글나라' 상표, 유사상표일까? 상표 유사성 판단 기준 살펴보기

"한글나라"라는 상표가 이미 등록된 다른 상표와 유사한지 여부를 다룬 판례로, 대법원은 "한글" 부분은 일반적인 명칭이므로 상표의 핵심 요소로 볼 수 없으며, 나머지 부분을 비교했을 때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한글나라" 상표 등록을 허용했습니다.

#한글나라#상표#등록#유사

특허판례

상표의 유사 판단, 전체적인 모습을 봐야죠!

두 상표에 비슷한 핵심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디자인을 고려했을 때 소비자가 헷갈릴 정도로 유사하지 않다면 유사 상표로 인정되지 않는다.

#상표 유사성#전체 디자인#소비자 혼동#동심원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핵심은 '소비자 혼동'!

새로운 상표에 그림이 들어가 있어도, 핵심 단어가 기존 상표와 같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상표#유사#그림#핵심 단어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유사 상표와 유사 상품은 무엇일까요?

'아르멕스'라는 상표를 페인트 제거제에 사용하려는 출원이 기존에 등록된 비슷한 상표('아멕스')와 유사하고, 지정 상품도 유사하여 거절되었습니다.

#아르멕스#상표등록거절#아멕스#상표유사

특허판례

상표의 일부가 제품 설명이라면? 유사상표 판단 기준!

상표의 일부가 제품의 일반적인 명칭이나 기술적 표현인 경우, 그 부분은 상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보지 않고 나머지 부분을 비교하여 유사성을 판단한다.

#상표#유사성#일반명칭#기술적표현

특허판례

비슷한 상표, 누구 거야? 상표 유사 판단 기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상품 종류가 같거나 비슷할 경우,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유사상표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유사상표#호칭#발음#소비자 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