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1.05.07

민사판례

합의 해제된 계약, 손해배상 청구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계약이 합의로 해제되었을 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를 쉽게 풀어서 설명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주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상가 분양과 관련된 계약 분쟁입니다. 원고는 상가를 분양받기 위해 계약금을 지급했고, 별도로 상가 건물의 토지와 건축 사업 자체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하지만 사업 인수 계약은 나중에 원고와 피고의 합의로 해제되었습니다. 원고는 이 과정에서 발생한 손해에 대해 피고에게 배상을 요구했습니다.

쟁점

핵심 쟁점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합의로 해제된 계약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둘째, 손해배상 특약이 있었는지 여부를 누가 입증해야 하는지 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1. 합의 해제와 손해배상

계약이 합의로 해제된 경우, 원칙적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다만, 계약 해제 당시 손해배상을 하기로 하는 특약이 있거나 손해배상 청구를 유보한다는 명확한 의사표시가 있었다면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1. 손해배상 특약의 증명 책임

손해배상 특약이나 손해배상 청구 유보에 대한 증명 책임은 이를 주장하는 쪽에 있습니다. 즉, 이 사례에서는 피고가 손해배상 특약 또는 유보에 대한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1. 특약 여부 판단 기준

계약 해제 당시 손해배상 특약이나 유보가 있었는지 판단할 때는, 계약서 문구뿐 아니라 계약 체결 당시 상황, 당사자들의 의도, 거래 관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단순히 원래 계약서에 위약금 조항이 있다고 해서 합의 해제 시에도 그 조항이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합의 해제 시에도 적용된다는 특별한 사정이 있어야 합니다.

판결의 의의

이 판결은 합의 해제된 계약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요건을 명확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계약 당사자들은 계약 해제 시 손해배상 문제를 명시적으로 다루어 추후 분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법조문 & 판례

  • 민법 제105조(표시상 일치의 원칙), 제390조(손해배상), 제543조(계약해제의 효과, 원상회복의무), 제551조(해제의 효과)
  • 민사소송법 제288조(자백)
  • 대법원 1989. 4. 25. 선고 86다카1147, 1148 판결, 대법원 2013. 11. 28. 선고 2013다8755 판결, 대법원 1996. 10. 25. 선고 96다16049 판결, 대법원 2020. 5. 14. 선고 2016다12175 판결

이번 판결이 여러분의 계약 관련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계약 합의 해지 후 손해배상 청구, 가능할까요?

계약 당사자끼리 합의하여 계약을 해제한 경우, 특별한 약정이 없다면 상대방의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손해배상 특약이나 청구 유보의 존재는 이를 주장하는 쪽이 입증해야 한다.

#계약해제#손해배상#특약#유보

민사판례

계약 해지 후 손해배상 청구, 어디까지 인정될까?

계약 해제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시에는 구체적인 손해 발생 사실과 그 금액을 명확히 주장해야 하며, 법원은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은 손해를 인정할 수 없다. 또한, 금전채무 불이행의 경우 지연이자 상당의 손해배상을 받으려면 이를 명시적으로 청구해야 한다.

#계약해제#손해배상#청구범위#변론주의

상담사례

공사 도중 계약 해지했는데, 추가 손해배상 해줘야 할까요? 🤯

공사 계약 해지 합의 시 손해배상에 대한 별도 약정이 없었다면, 원칙적으로 추가 손해배상 의무는 없다.

#공사 계약 해지#손해배상#합의 내용#특약

민사판례

계약 해제와 손해배상, 알아두면 쓸모있는 법률 상식!

이 판례는 계약 해제 시 원상회복 의무의 범위, 위약금 약정의 해석, 그리고 장래 이익에 대한 손해배상 입증 책임을 다루고 있습니다. 한쪽의 잘못으로 계약이 해제되었을 때, 상대방은 투입한 비용 전부를 돌려받을 수 있으며, 위약금 약정이 있다 하더라도 상대방의 잘못으로 해제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장래 이익에 대한 손해배상은 '합리적인 가능성'을 입증하면 충분합니다.

#계약해제#원상회복#손해배상#위약금

민사판례

계약 파기 시 손해배상, 어디까지 받을 수 있을까?

계약 파기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 계약이 정상적으로 이행됐다면 얻었을 이익(이행이익)이 없다면, 계약을 위해 지출한 비용도 청구할 수 없다.

#계약해지#손해배상#이행이익#지출비용

민사판례

계약 해지 시 손해배상, 누가 책임져야 할까?

계약 해지 시 상대방의 잘못 없이 발생한 손해는 배상할 필요 없다. 계약서에 특별한 손해배상 조항이 있다 하더라도 문구를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며, 상대방 잘못 없이 해지된 경우에도 무조건 배상해야 한다는 뜻으로는 쉽게 해석할 수 없다. 손해배상은 실제 발생한 손해, 즉 이행이익을 넘을 수 없다.

#계약해지#손해배상#귀책사유#이행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