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사용이 일상화된 요즘, 해외 카드사(VISA, 마스터카드 등)와 거래하는 국내 카드사들은 여러 종류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수료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내야 하는지, 낸다면 얼마를 내야 하는지에 대한 분쟁이 끊이지 않았는데요, 최근 대법원 판결이 나왔습니다.
사건의 쟁점은 크게 두 가지였습니다.
대법원은 부가가치세 부과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적인 논리는 **'역무 제공 장소'**입니다. 부가가치세는 역무가 제공된 장소를 기준으로 과세 여부를 판단하는데, 대법원은 해외 카드사가 제공하는 역무의 중요하고 본질적인 부분이 국내에서 이루어졌다고 보았습니다.
참고로, 이 판결에서 중요한 법 조항과 판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해외 카드사에 지급하는 분담금 및 기타 수수료는 국내에서 제공되는 역무에 해당하므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이 판결은 해외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부가가치세 부과 범위를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이 해외 서비스를 이용할 때 부가가치세 부과 여부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세무판례
국내 신용카드사가 해외 신용카드사(마스터카드)에 지급하는 상표 사용료와 국제결제 시스템 이용료에 대한 세금(법인세, 부가가치세) 부과의 적법성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특히, 해외에서 발생하는 거래에 대한 수수료가 상표권 사용료인지, 아니면 시스템 이용료인지에 따라 과세 여부가 달라지는데, 대법원은 이를 구분하여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세무판례
해외에 있는 SWIFT(국제은행간 금융통신망)를 국내 은행이 이용할 때, 그 이용료에 대한 부가가치세는 국내에서 납부해야 한다.
일반행정판례
미국 신용카드 회사인 마스터카드가 국내 카드사들로부터 받는 분담금에 대해, 어떤 부분은 상표권 사용료로, 어떤 부분은 시스템 이용료로 구분하여 과세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세무판례
비씨카드가 마스터카드사에 지급한 분담금 중 일부는 회원은행들이 부담해야 할 몫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과세당국이 이를 고려하지 않고 비씨카드에 세금을 부과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
세무판례
국내에 사업장이 있는 외국 법인은 국내에서 제공한 용역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용역 제공 후 대금 채권을 양도하더라도 실제 용역을 제공한 법인이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를 집니다.
세무판례
사업자가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면 부가가치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으며, 실제로 부가세를 받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