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 드디어 꿈에 그리던 해외여행! 비행기 티켓 예매, 숙소 예약까지 끝냈다면? 잠깐! 가장 중요한 비자는 확인하셨나요? 비자 없이 공항에 갔다가 낭패를 보는 일이 없도록, 오늘은 해외여행 필수템, 비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비자, 도대체 뭐길래?
비자는 다른 나라에 입국하려는 사람에게 해당 국가가 발급하는 허가증 같은 거예요. 여권과 함께 제시해야 입국이 가능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나라에 들어와도 좋아요!"라는 공식적인 허락이죠.
비자, 언제 필요한가요?
원칙적으로는 모든 국가에 입국할 때 비자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비자면제협정을 맺은 국가라면 일정 기간 동안 비자 없이 여행할 수 있어요! 마치 서로 "우리 국민은 비자 없이도 편하게 왕래하자!"라고 약속한 것과 같죠. 비자면제협정을 맺은 국가와 체류 가능 기간은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영사협정/사증(비자) 부분)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출입국관리법 제3조, 제12조)
비자, 어떻게 받나요?
비자 발급은 각 나라의 고유 권한입니다. 따라서 비자를 받으려면 방문하고자 하는 국가의 대사관이나 영사관에 직접 문의해야 해요. 외교부 홈페이지(주한공관주소록)에서 각국 대사관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중국, 일본 비자 정보 꿀팁!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미국, 중국(홍콩 포함), 일본의 비자 정보는 이 사이트의 '비자·여권' 콘텐츠에서도 확인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ESTA, 중국 비자 종류, 일본 무비자 입국 조건 등)
법적으로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자, 이제 꼼꼼하게 비자 준비하고, 즐거운 해외여행 떠나보세요!
생활법률
비자면제협정 국가 국민은 관광/방문 목적으로 비자 없이 한국에 입국 가능하지만, 취업 등 영리활동 시에는 비자가 필요하며, 체류기간 연장은 불가하고, 최신 협정국가 목록은 하이코리아 웹사이트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생활법률
한국 입국은 원칙적으로 비자 필요하지만, 재입국 허가자, 비자면제협정국 국민, 국제친선 등의 사유로 허가받은 자, 난민여행증명서 소지자는 예외적으로 무비자 입국 가능하며, 비자 면제 대상이라도 사전여행허가가 필요할 수 있다.
생활법률
한국 유학 비자는 단수/복수, 목적(유학(D-2), 일반연수(D-4), 단기방문(C-3) 등)에 따라 구분되며, 비자 면제 국가 국민 외에는 법무부에 필요 서류를 제출하고 심사를 거쳐 발급받아야 하며, 부정한 방법 등의 사유로 취소될 수 있다.
생활법률
한국 무비자 입국은 외국 정부/국제기구 관련 업무 수행자, 30일 이내 관광/통과 목적 방문자, 또는 법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자세한 내용과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목록은 하이코리아 웹사이트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생활법률
한국 입국을 위해서는 유효한 여권과 비자(또는 사전여행허가), 입국심사, 생체정보 제공 등 출입국관리법에 따른 절차를 준수해야 하며, 비자 면제, 재입국 허가 등 예외 사항도 존재한다.
생활법률
해외여행 필수품인 여권의 종류, 발급 대상, 발급 절차(신청, 접수처, 비용, 구비서류, 수령), 발급 거부/제한 대상 등을 안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