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요즘 해외직구 많이 하시죠? 하지만 물건을 사는 것만큼 중요한 게 바로 통관입니다. 복잡해 보이는 통관 절차, 제대로 알지 못하면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오늘은 해외직구족을 위한 친절한 통관 가이드, 수입신고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통관이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우리나라에 물건을 들여오거나 내보낼 때 세관의 허락을 받는 과정입니다 (관세법 제2조제13호). 수입신고는 이 통관 절차의 중요한 한 부분이죠.
2. 수입신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수입신고는 세관에 내가 어떤 물건을 얼마에 수입할 건지 알리는 과정이에요. 다음 정보들을 정확하게 신고해야 합니다 (관세법 제241조제1항 및 관세법 시행령 제246조제1항).
3. 누가 수입신고를 할 수 있나요?
수입신고는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자격을 가진 사람만이 신고할 수 있어요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9조).
4. 수입신고의 종류와 시기는 어떻게 되나요?
수입신고는 물건이 어디쯤 왔는지에 따라 네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6조).
출항/입항 전 신고는 배/비행기 도착 5일 전(항공기는 1일 전)부터 가능합니다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7조제1항). 하지만 세율이 바뀌거나 새로운 수입 요건이 생기는 물건, 농축수산물 등은 도착 후에 신고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요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7조제2항).
5. 어디에 신고해야 하나요?
신고하는 곳은 물건이 도착하는 보세구역이나, 출항/입항 전 신고의 경우 배/비행기의 도착 예정지를 관할하는 세관입니다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8조).
6. 수입신고는 어떤 방법으로 하나요?
대부분 온라인(국가관세종합정보시스템)으로 신고하지만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12조제1항), 예외적으로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13조제1항). 자세한 내용은 고시를 참고하세요. 서류 제출이 필요한 경우, 온라인으로 스캔본을 제출하거나, 일부 서류는 종이로 제출해야 합니다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15조).
7. 신고 후에는 어떤 절차가 있나요?
세관에서는 제출된 신고서와 서류를 꼼꼼히 심사합니다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22조제1항). 필요한 경우 추가 서류를 요청하거나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25조), 문제가 있으면 통관을 보류하거나 신고를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26조제1항, 제19조제1항). 물건 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28조제1항). 모든 절차가 끝나면 세관은 신고필증을 발급하고, 비로소 물건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수입통관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제37조제1항).
8. 수입신고를 잘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수입신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신고하면 엄격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으니 (관세법 제269조제2항, 제270조, 제276조제2항제4호), 정확하고 성실하게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외직구, 이제 걱정 없이 즐기세요! 다음에는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생활법률
해외 물품 발송 시, 세관의 허가(통관)를 받기 위해 수출신고, 신고서 심사, 물품검사, 수출신고 수리(또는 취소)의 5단계 절차를 준수해야 하며, 위반 시 처벌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해외에서 식품 수입 시 판매 목적이면 수입신고가 필수이나, 자가소비용 등 예외 경우가 있으며, 신고 시 지정 서류 제출 및 절차를 따라야 하고, 대행도 가능하다.
생활법률
$150 이하 개인 면세물품 등은 간이수입신고 대상이며, 고철, 해체선박, 공동어업 수산물, 폐유 등 특정물품은 별도 통관기준을 적용한다.
생활법률
수입 시 정확한 세금 납부를 위해서는 물품 가격을 세관에 신고(수입물품 가격, 거래 정보, 과세가격 산출내용 등)해야 하며, 반복 수입 시 포괄가격신고, 가격 미확정 시 잠정가격신고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생활법률
판매·사업용 해외 축산물 수입 시, 도착 5일 전 관할 식약처에 수입신고 필수 (일부 예외 존재)하며, 허위신고 등 위반 시 처벌받음.
생활법률
선상, 현지, 잠정수량, 간이 등 특수한 상황에 따라 수출신고 절차와 방법이 다르게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