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해태구이기의 소금공급장치에 관한 실용신안권 침해 분쟁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사건은 실용신안권의 보호 범위와 신규성 및 진보성에 대한 중요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실용신안권의 보호 범위는 어떻게 정해질까요?
실용신안권은 새로운 기술적 아이디어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그 보호 범위는 실용신안 등록출원서에 첨부된 명세서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만약 청구범위의 기재만으로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기 어렵거나 기술적 범위를 확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만 명세서의 다른 부분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명세서의 다른 기재를 통해 청구범위를 확장 해석하거나, 청구범위의 기재만으로 기술적 범위가 명확한 경우에 다른 기재를 통해 청구범위를 제한 해석할 수는 없습니다.
이번 사건에서 원고는 소금공급장치의 브러시로울러 회전 방향이 도면에 표시된 것처럼 회전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로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청구범위에 회전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고, 청구범위의 기재만으로도 기술적 구성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 표시된 회전 방향으로 한정 해석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93. 10. 12. 선고 91후1908 판결, 1998. 4. 10. 선고 96후1040 판결 등)
실용신안의 신규성과 진보성이란 무엇일까요?
실용신안은 특허와 달리 고도의 창작성까지는 요구하지 않습니다. 물품의 형상, 구조 또는 조합을 통해 사용가치를 높이는 기술적 진보가 있고, 이전에 공개된 적 없는 것이라면 신규성이 있다고 봅니다. 또한, 기존 기술을 결합한 고안이라도 결합 전보다 더 나은 효과를 내고, 일반적인 기술자가 쉽게 생각해낼 수 없는 것이라면 신규성과 진보성이 있다고 인정됩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 사건 등록고안이 비교대상고안과 목적, 구성, 작용효과 등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일반적인 기술자가 비교대상고안으로부터 쉽게 도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진보성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97. 11. 28. 선고 96후1873 판결, 2001. 5. 29. 선고 98후775 판결 등)
관련 법조항:
이번 판결은 실용신안권의 보호 범위와 신규성 및 진보성 판단 기준에 대한 명확한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보호받으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였기를 바랍니다.
특허판례
어항용 정수기를 어항 벽면에 부착하는 방식을 약간 변경한 것은 새로운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 볼 수 없으므로, 실용신안권을 받을 수 없다.
특허판례
실용신안권의 보호 범위는 출원서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문맥과 상황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특히, 종속항처럼 보이는 문구라도 실제로는 독립적인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특허판례
실용신안권의 권리범위는 오직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판단해야 하며, 도면이나 설명으로 보완 해석할 수 없다. 또한 상업적 성공만으로 진보성을 인정할 수 없으며, 종속항처럼 보이더라도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변경했다면 독립항으로 봐야 한다.
민사판례
새롭지 않은 기술로 등록된 실용신안권을 이용하여 부당하게 다른 사람의 사업 활동을 방해하는 것은 권리남용으로 인정되어 보호받지 못한다.
특허판례
실용신안 등록 청구 범위에 오류나 불명확한 부분이 있어도, 전체적인 설명과 도면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면 권리 범위를 인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고안이 기존 실용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할 때는 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봐야 한다.
형사판례
이미 알려진 기술을 약간 변형한 정도의 실용신안은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받을 수 없고, 따라서 이를 모방했다고 해서 실용신안권 침해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