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5.31

민사판례

회사 넘기고 나서 튀어나온 빚, 누가 갚아야 할까? - 해고 근로자 임금 문제

회사를 넘길 때, 예상치 못한 빚 때문에 골치 아픈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인수인계 과정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빚이라면 더욱 곤란하죠. 오늘은 회사 양도 후 발생한 해고 근로자 임금 문제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회사의 사실상 1인 주주가 회사의 주식과 영업권 등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했습니다. 이때 양도 계약서에는 양도 당시 확인된 회사의 빚은 양수인(회사를 인수한 사람)이, 그 외의 빚은 양도인(회사를 넘긴 사람)이 책임지기로 약정했습니다. 그런데 회사 양도 전에 해고된 근로자들이 회사를 상대로 해고무효 소송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양도 계약 당시에는 이 소송의 결과가 확정되지 않았고, 따라서 관련 임금 채무도 확인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결국, 회사 양도 후 근로자들이 승소하면서 회사는 해고 기간 동안의 임금을 지급해야 할 상황이 되었습니다. 과연 이 임금은 누가 책임져야 할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양도인이 책임져야 할 회사의 빚은 양도 당시 이미 발생했지만 확인되지 않았던 빚에 한정된다고 판결했습니다. 해고는 양도 계약 이전에 이루어졌지만, 회사가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임금 채무 중 양도 계약일까지 발생한 부분만 양도 당시 이미 발생한 채무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도인은 해고일부터 양도 계약일까지의 임금에 대해서만 변제 책임을 진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정리

  • 회사 양도 시 확인되지 않은 채무에 대한 양도인의 책임은 양도 당시 이미 발생했지만 확인되지 않은 채무에 한정된다.
  • 해고 근로자 임금의 경우, 해고일부터 회사 양도일까지 발생한 임금 채무만 양도인이 책임진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상법 제42조 (회사의 재산과 존속기간)
  • 민법 제105조 (임의규정)
  • 대법원 1991. 8. 9. 선고 91다15225 판결

이 판례는 회사 양도 계약 시 예상치 못한 채무 발생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해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회사를 양도하거나 인수할 때, 계약서 작성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특히 잠재적인 채무 발생 가능성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폐업 회사 직원, 새 회사에게서 임금 받을 수 있을까? - 영업양도와 임금 지급 책임

회사가 폐업 후 다른 회사들이 실질적으로 기존 회사의 업무와 직원들을 이어받았다면, 비록 정식으로 영업양도 계약을 맺지 않았더라도 새로운 회사들이 기존 직원들의 임금을 지급할 책임이 있다.

#폐업#실질적 영업양수#임금 지급 책임#연대책임

형사판례

퇴직금 지급, 영업 양도인의 계약 위반과는 무관!

영업을 양도받은 사람은 양도인이 계약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퇴직금 지급을 미룰 수 없다.

#영업양도#퇴직금#계약위반#계속근로

민사판례

회사가 넘어가면 직원의 잘못에 대한 책임도 넘어갈까? - 영업양도와 손해배상채권 승계

회사 A가 회사 B에 영업을 양도하면서 직원 C의 고용도 승계했는데, C가 A 회사 재직 시절 저지른 횡령으로 인한 손해배상채권도 B 회사에 자동으로 넘어간다는 판결.

#영업양도#근로계약 승계#손해배상채권#자동승계

민사판례

회사 지분 양도 후 발생한 채무, 누가 책임져야 할까?

회사를 인수하면서 예상치 못한 채무(우발채무)는 인수자가 아닌 원래 주인이 떠맡기로 약속했지만, 그 채무 중 일부는 원래 주인이 알고 있었던 것이거나 인수자의 잘못으로 발생한 것이라면 인수자가 책임져야 한다는 판결.

#우발채무#경영권 양도#귀책사유#공제

상담사례

사장님도 회사 이름도 바뀌었는데, 내 월급은 누가 주나요? 😱

회사 이름과 사장이 바뀌었더라도 법인이 동일하면 새로운 사장에게 체불 임금과 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다.

#임금체불#회사인수#회사동일성#법인등기

민사판례

밀린 월급, 회사 재산 팔린 후에도 받을 수 있을까? 그리고 채권양도 통지, 누가 해야 할까?

회사가 망해서 돈을 못 받게 되었을 때, 직원들의 임금은 다른 빚보다 먼저 받을 수 있는 권리(우선특권)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권리는 회사가 아직 가지고 있는 재산에 대해서만 효력이 있고, 이미 다른 사람에게 팔아넘긴 재산에는 효력이 없다는 것이 이 판례의 핵심입니다. 또한, 채권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때, 양도 사실을 알리는 통지(채권양도 통지)는 양도인 본인이 직접 하지 않고 대리인을 통해서도 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되었습니다.

#임금 우선특권#채권양도 통지#대리#회사 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