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직원들이 회사 도로에 페인트로 낙서를 했다가 재물손괴죄로 기소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과연 이들의 행위는 재물손괴죄에 해당할까요? 대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회사 직원들은 회사 소유 도로 바닥에 유색 페인트와 래커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여러 문구를 썼습니다. 회사 측은 이들이 다중의 위력으로 도로의 효용을 해했다며 특수재물손괴 혐의로 고소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유죄를 선고했지만, 대법원은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재물손괴죄 성립 여부를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했습니다. 재물손괴죄(형법 제366조)는 타인의 재물을 손괴 또는 은닉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그 효용을 해하는 경우 성립합니다. '재물의 효용을 해한다'는 것은 재물을 본래의 사용 목적에 제공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일시적인 사용 불가능 상태도 포함합니다.
특히 도로에 낙서를 하는 행위가 재물손괴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회사 도로가 산업 현장에 위치하여 미관보다는 통행 기능이 중요한 점, 낙서로 인해 통행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해지지 않은 점, 통행과 안전에 실질적인 지장을 초래했다고 보기 어려운 점, 이용자들의 불쾌감이나 저항감이 크지 않은 점, 원상회복이 어렵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하여 재물손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이 판례는 단순히 도로에 낙서를 했다는 사실만으로 재물손괴죄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도로의 특성, 낙서의 내용과 정도, 원상회복 가능성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회통념에 따라 판단해야 함을 알려줍니다.
형사판례
건물에 낙서를 하거나 계란을 던지는 행위가 재물손괴죄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건물의 효용을 해쳤는지에 따라 판단해야 하며, 낙서는 재물손괴죄에 해당하지만 계란 투척은 경우에 따라 다르다는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다른 사람 소유의 광고 간판에 페인트칠을 하여 광고 내용을 지우는 행위는 재물손괴죄에 해당한다.
형사판례
타인의 건물 외부에 그림을 그리는 행위는 건물의 효용을 해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재물손괴죄에 해당할 수 있다. 일시적인 사용불능 상태 초래도 재물손괴에 포함된다.
형사판례
홍보용 광고판을 허락 없이 다른 곳으로 옮겨놓아 광고 효과를 상실하게 하는 경우, 물리적 손상이 없더라도 재물손괴죄에 해당한다.
형사판례
자동차로 다른 사람의 차를 파손하면, 사람이 다치지 않았더라도 특수재물손괴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형사판례
물건을 완전히 부수지 않더라도, 일시적으로라도 그 물건을 본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게 만들면 재물손괴죄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