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대표이사가 회사 돈으로 자기 빚을 갚았다면 횡령일까요? 당연히 횡령 같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오늘은 대표이사의 채권 변제와 횡령죄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회사의 대표이사가 회사에 돈을 빌려준 상태였습니다. 그런데 회사 돈 중 일부를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습니다. 검찰은 대표이사가 회사 돈을 횡령했다고 기소했습니다.
쟁점
대표이사는 회사에 빌려준 돈이 있으니, 회사 돈을 사용한 것은 빌려준 돈을 돌려받은 것과 같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회사 돈을 자신의 채권 변제에 사용했을 뿐 횡령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과연 대표이사의 주장이 받아들여질 수 있을까요?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대표이사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대표이사가 회사에 개인적인 채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 회사 돈으로 자신의 채권을 변제하는 행위는 회사와 이사의 이해가 충돌하는 자기거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이사회 승인 없이 자신의 채권을 변제했더라도 대표이사의 권한 내에서 한 회사 채무의 이행행위로서 유효하며, 횡령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다만, 대법원은 대표이사가 주장하는 채권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그 액수는 얼마인지, 그리고 회사 돈을 사용한 행위를 채권 변제로 볼 수 있는지 등을 꼼꼼하게 심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핵심 정리
관련 법조항 및 판례
이 판례는 대표이사의 채권 변제와 횡령죄의 관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비슷한 상황에 놓인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형사판례
회사 대표이사가 이사회 결의 등 적법한 절차 없이 회사 자금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경우, 나중에 갚을 의사가 있더라도 횡령죄가 성립한다.
형사판례
대표이사가 회사 명의로 대출받은 돈을 개인적으로 사용하면 횡령죄가 성립하고, 법으로 정해진 외부감사 대상이 아닌 회사에 대한 감사는 외부감사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
형사판례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남긴 회사에 대한 빚(대여금)을 상속받은 아들(회사 대표이사)이 다른 상속인들 몰래 회사 돈으로 자기 몫만 챙긴 경우, 횡령죄가 성립하는지, 얼마를 횡령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횡령액 계산이 잘못되었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형사판례
회사 대표가 회사를 보증인으로 세워 개인 빚을 얻은 후, 회사 돈으로 그 빚을 갚았다면 배임죄뿐만 아니라 횡령죄도 성립한다.
형사판례
회사의 주주나 대표이사가 회사 재산을 마음대로 사적으로 사용하면 횡령죄와 배임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회사 재산을 담보로 제공하거나 다른 회사의 자금 조달에 사용하는 것도 포함된다.
세무판례
회사 대표이사가 회사 돈을 횡령했지만, 회사가 적극적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등 횡령금 회수 노력을 보였기 때문에 회사 돈이 사외로 유출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 따라서 횡령액을 대표이사의 소득으로 봐서 부과한 세금은 부당하다. 또한, 횡령으로 발생한 손해배상채권은 대손충당금 설정 대상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