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이름을 빌려준 대표이사가 다른 사람의 불법행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명의대여와 관련된 사용자 책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의 대표이사 B는 친구 C에게 회사 명의를 사용하여 고철 사업을 하도록 허락했습니다. C는 A 회사 사장 직함을 사용하며 사업을 운영했고, 사업 경비는 A 회사가 부담하고 이익은 서로 나누기로 했습니다. C는 A 회사와 고철 운송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허위 정보를 제공하여 운송 회사에 손해를 끼쳤습니다.
쟁점
법원의 판단
법원은 B와 A 회사 모두 C의 불법행위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누군가에게 자신의 명의를 사용하도록 허락하면, 외부적으로는 명의 사용자가 마치 명의대여자의 직원처럼 보입니다. 따라서 명의 사용자가 업무 중 불법행위를 저지르면, 명의를 빌려준 사람도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 A 회사는 C에게 회사 명의를 사용하도록 허락했기 때문에 C의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을 면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에 갈음하여 사무를 감독하는 자'는 실제로 사업 운영을 감독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B는 A 회사의 대표이사로서 C의 업무를 보고받고 지시하는 등 사실상 C를 감독했습니다. 따라서 B는 C의 불법행위에 대해 사용자와 마찬가지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사용자나 감독자는 피용자의 선임과 감독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였다면 책임을 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입증할 책임은 사용자나 감독자에게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B와 A 회사가 C의 선임과 감독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였다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으므로 책임을 면할 수 없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회사 명의를 빌려주는 것은 단순한 호의가 아니라 법적 책임을 동반하는 행위입니다. 명의대여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며, 명의 사용자의 행위에 대한 감독 의무를 소홀히 한다면 예상치 못한 법적 분쟁에 휘말릴 수 있습니다. 명의를 빌려준 사람은 사용자와 마찬가지로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A라는 회사가 B라는 사람에게 자기 회사 이름을 쓰도록 허락했는데, B가 그 이름을 이용해서 사기를 쳤습니다. A회사는 B의 사기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까요? 만약 피해자가 조금만 주의했더라면 사기를 당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어떨까요? 이 판례는 명의를 빌려준 사람의 책임 범위와 피해자에게도 과실이 있는 경우의 면책 사유에 대해 다룹니다.
민사판례
사업 명의를 빌려준 사람은 실제로 사업을 운영하는 사람의 불법행위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 한다.
상담사례
명의를 빌려주고 실질적인 지휘·감독을 한 경우, 명의대여자는 그 이름으로 행해진 행위에 대해 사용자 책임을 진다.
민사판례
건설기계 명의를 빌려준 사람도 명의를 빌린 사람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 실제로 지휘·감독을 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명의대여자는 명의차용자를 지휘·감독해야 할 지위에 있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책임을 판단한다.
형사판례
건설업 면허가 없는 사람에게 면허를 빌려주는 것을 금지하는 건설산업기본법 위반(명의대여)에서 '면허를 빌려준다'는 것은 건설업자의 상호나 이름 자체를 빌려주는 것을 의미하며, 법인 대표자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명의대여로 볼 수 없다.
민사판례
회사 경영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이름만 빌려준, 소위 '바지사장'도 대표이사로서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직무를 완전히 위임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대표이사의 의무를 저버린 것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