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9.10.15

형사판례

회사 물품 납품 과정에서 뒷돈 챙긴 이사, 배임죄로 처벌!

회사 이사가 회사에 필요한 물품을 납품받는 과정에서 뒷돈을 챙겼다가 배임죄로 처벌받은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 이사는 더 싼 가격에 물품을 구매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가짜 납품업체를 만들어 정상가로 물품을 구매했습니다. 이런 행위는 회사에 대한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로 법적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사건의 전말

이 사건의 핵심은 회사 이사가 물품 납품 과정에서 중간에 가짜 납품업체를 끼워 넣어 가격을 부풀리고, 그 차액을 챙겼다는 것입니다. 회사는 이 이사 때문에 더 비싼 가격에 물품을 구매해야 했고, 그만큼 손해를 입었습니다. 이 이사는 자신이 회사에 이익이 되도록 행동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회사에 손해를 끼친 것입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이 이사의 행위를 업무상배임죄로 판단했습니다. (형법 제356조 제2항) 이사는 회사에 최선을 다해야 할 의무가 있는데, 이를 어기고 회사에 손해를 끼치면서 자신이나 제3자의 이익을 취하려는 의도가 있었다면 배임죄가 성립합니다. 이 사건에서 이사는 더 싼 가격에 물건을 살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이를 포기하고 비싼 가격에 구매함으로써 회사에 손해를 끼쳤습니다. 이는 명백한 배임행위입니다.

특히 이 사건에서 법원은 회사가 입은 손해를 정확히 계산하기 어렵다고 보았습니다. 원래 얼마나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회사가 입은 손해는 "가액을 산정할 수 없는 손해"로 판단되었습니다.

핵심 정리

  • 회사 이사는 회사에 최선을 다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 이 의무를 어기고 회사에 손해를 끼치면서 자신이나 제3자의 이익을 취하면 업무상배임죄가 성립합니다.
  • 손해액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는 경우에도 배임죄는 성립합니다.

이 판례는 회사 임직원들이 회사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회사에 손해를 끼치는 행위는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회사 제품을 내 회사에 싸게 팔았다고 배임죄?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회사 영업부장이 자기 회사를 통해 회사 제품을 낮은 가격에 사들여 다른 회사에 더 비싸게 판매해 이익을 챙긴 경우, 회사에 실제 손해가 발생했는지 명확히 증명해야 배임죄가 성립한다는 판례입니다. 단순히 중간 유통 마진을 취득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배임죄를 인정하기 어렵습니다.

#배임죄#실질적 손해#유통 마진#재판매

형사판례

회사 인수합병 과정에서의 배임죄, 알고 보면 복잡하지 않아요!

인수합병을 앞둔 회사의 이사가 인수회사에 정보를 제공하고 돈을 받은 행위는 배임수재죄에 해당한다. 회사 이사는 회사 일에 관해 부정한 청탁을 받고 돈을 받으면 배임수재죄로 처벌받는다. 이사가 회사의 중요한 일에 관여할 수 있는 지위에 있었고, 정보 제공 외에 큰돈을 받을 이유가 없다면 묵시적인 청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배임수재#회사인수합병#정보제공#묵시적청탁

상담사례

가짜 대표 때문에 납품대금 못 받을까 봐 걱정되시나요?

가짜 대표와 계약해도 회사에 책임을 물어 대금을 받을 가능성이 있지만, 거래 당사자도 주의 의무를 다했어야 하므로 등기부등본 확인 등의 사전 확인은 필수적이다.

#가짜 대표#표현대표이사#납품대금#회사 책임

형사판례

회사 부사장의 배신, 그 손해는 어떻게 계산할까?

회사 부사장이 회사 이익을 위해 체결해야 할 계약을 자신 또는 자신이 설립한 회사 명의로 체결하여 회사에 손해를 끼친 경우, 회사의 손해액은 계약 체결 시점의 계약 금액 전체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한다. 사후적으로 발생한 미수금이나 계약 해지로 받지 못한 금액은 손해액에서 공제하지 않는다.

#부사장#배임#손해액#계약금액

형사판례

수출대행, 배임죄로 이어질 수 있다?

수출회사의 물품을 위탁받아 수출 대행하는 업체가 수출회사의 이익을 위해 성실히 업무를 처리해야 할 의무를 저버리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물품을 임의로 처분하면 배임죄가 성립한다.

#수출대행#배임죄#업무상배임#타인의사무처리

형사판례

회사 제품 싸게 팔았다고 무조건 배임죄? 덤핑판매와 업무상배임죄

회사가 정한 할인율보다 높은 할인율을 적용해서 물건을 팔았더라도, 그 판매가격이 시장 가격과 같다면 거래처가 이득을 본 것이 아니므로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할인율#배임죄#시장가격#덤핑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