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6.25

민사판례

회사 사원총회 결의, 누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할까요?

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사원총회 결의에 대한 이견이 발생하고, 법적인 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누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효력이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중요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원총회 결의 무효 확인소송, 회사를 상대로 제기해야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은 사원총회에서 이루어집니다. 만약 사원총회 결의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면, 그 결의의 효력을 다투기 위해 확인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소송을 회사가 아닌 개별 사원을 상대로 제기하면 어떻게 될까요?

대법원은 회사의 사원총회 결의에 대한 확인소송은 회사를 상대로 제기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사원총회 결의는 회사의 의사결정이므로, 그 결의로 인해 발생하는 법률관계의 주체는 회사입니다. 따라서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만 결의의 효력을 다툴 수 있습니다.

만약 회사가 아닌 개별 사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다면, 그 판결은 회사에 효력이 미치지 않습니다. 즉, 소송에서 이기더라도 회사의 사원총회 결의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소송은 '즉시확정의 이익'이 없기 때문에 부적법하다고 봅니다. 즉시확정의 이익이란, 판결을 통해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상 지위에 대한 위험이나 불안을 바로 제거할 수 있는 이익을 말합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이 판례의 근거가 되는 법 조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법 제195조, 제269조 (합명회사, 합자회사 관련 규정)
  • 민법 제706조 (사단법인 총회 결의 관련 규정)
  • 민사소송법 제228조 (확인의 소)

참고 판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법원 1973.12.11. 선고 73다1553 판결
  • 대법원 1982.9.14. 선고 80다2425 전원합의체 판결

결론

회사 사원총회 결의의 효력에 이의가 있다면, 반드시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개별 사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회사 관련 법적 분쟁이 발생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법률적 판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 우리 회사 결정, 맘에 안 드는데... 누구한테 따져야 하지? (합명회사 편)

합명회사 사원총회 결정에 불만이 있을 경우, 동료 사원이 아닌 회사를 상대로 문제를 제기해야 효력이 있다.

#합명회사#사원총회 결정#회사#소송

상담사례

억울한 대표이사 해임, 이사회 결의 무효소송, 누구를 상대로?

억울한 대표이사 해임으로 이사회 결의 무효소송을 할 경우, 피고는 이사회나 이사 개인이 아닌 **회사**를 상대로 해야 한다.

#대표이사 해임#이사회 결의 무효소송#회사(피고)

민사판례

노동조합 임원 선거 무효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노동조합 임원 선거 결과에 불만이 있을 때, 당선자 개인을 상대로 소송을 걸어서는 안 됩니다. 소송은 선거 결과를 결정한 노동조합을 상대로 해야 합니다. 선거관리위원회 역시 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노동조합#임원선거#무효확인소송#당선자

민사판례

조합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에서 이긴 원고는 그 판결에 불복하여 상고할 수 없으며, 이런 소송에서는 조합만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 충분하고, 굳이 이사장 개인을 상대로 소송할 필요는 없다.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상고이익#피고적격#조합

민사판례

종중 총회 결의, 무엇이 문제일까?

종중 총회 결의의 효력, 특히 종중원 자격이 없는 사람이 참여한 결의의 효력과 그 결의에 대한 무효 확인 소송의 요건에 대한 판례입니다. 종중원이 아닌 사람을 종중원으로 인정하거나 대표로 선임하는 결의는 무효이며, 소송을 제기하려면 소송으로 얻을 실질적인 이익이 있어야 합니다.

#종중#총회 결의#효력#무효 확인 소송

민사판례

임원 선임 문제로 법인 상대로 소송?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회사 임원 선임이 잘못됐다고 생각할 때, 등기 자체가 잘못됐다고 소송하는 것보다 선임 결의 자체가 잘못됐다고 소송하는 것이 맞다. 이미 적법한 선임이 있었다면, 날짜 등을 잘못 기재하여 만든 의사록에 대한 무효확인 소송은 의미가 없다.

#임원 선임 무효확인#등기 무효확인#선임 결의#의사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