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의등무효확인

사건번호:

90다14058

선고일자:

199106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합명회사나 합자회사의 사원총회결의의 존부나 효력유무의 확인판결을 회사가 아닌 사원 등 개인을 상대로 구하는 소송의 적부(소극)

판결요지

확인소송은 즉시확정의 이익이 있는 경우, 즉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상 지위에 대한 위험 또는 불안을 제거하기 위하여 확인판결을 얻는 것이 법률상 유효적절한 경우에 한하여 허용되는 것인바, 합명회사나 합자회사의 사원총회결의는 회사의 의사결정으로서 그로 인한 법률관계의 주체는 회사이므로 회사를 상대로 하여 사원총회결의의 존부나 효력유무의 확인판결을 받음으로써만 그 결의로 인한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상 지위에 대한 위험이나 불안을 유효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고, 회사가 아닌 사원 등 개인을 상대로 한 확인판결은 회사에 그 효력이 미치지 아니하여 즉시확정의 이익이 없으므로 그러한 확인판결을 구하는 소송은 부적법하다.

참조조문

상법 제195조, 제269조, 민법 제706조, 민사소송법 제22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3.12.11. 선고, 73다1553 판결(공1973,7637), 1982.9.14. 선고, 80다2425 전원합의체판결(공1982,928)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원고 【피고, 피상고인】 피고 1 외 1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익상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10.19. 선고, 90나1512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의 상고이유를 본다. 확인소송은 즉시확정의 이익이 있는 경우, 즉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상 지위에 대한 위험 또는 불안을 제거하기 위하여 확인판결을 얻는 것이 법률상 유효적절한 경우에 한하여 허용되는 것인바, 합명회사나 합자회사의 사원총회결의는 회사의 의사결정으로서 그로 인한 법률관계의 주체는 회사이므로 회사를 상대로 하여 사원총회결의의 존부나 효력유무의 확인판결을 받음으로써만 그 결의로 인한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상 지위에 대한 위험이나 불안을 유효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고 회사가 아닌 사원 등 개인을 상대로 한 확인판결은 회사에 그 효력이 미치지 아니하여 즉시확정의 이익이 없으므로 그러한 확인판결을 구하는 소송은 부적법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원심이 위와 같은 취지에서 회사가 아닌 피고들을 상대로 한 이 사건 각 사원총회결의의 부존재 및 무효확인의 소를 각하한 조치는 정당하고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으므로 이 점 논지는 이유없다. 그밖에 원심이 이 소의 부적법성을 뒷받침하는 사유로서 설시하고 있는 회사설립 무효의 소로서의 제척기간도과 및 과거의 법률관계확인소송으로서 확인의 이익결여 등에 관한 판시부분은 부가적 판단에 지나지 아니하여 원심결론에 영향이 없으므로 이점에 관한 상고논지에 대하여 판단을 할 것도 없이 상고는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이재성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 우리 회사 결정, 맘에 안 드는데... 누구한테 따져야 하지? (합명회사 편)

합명회사 사원총회 결정에 불만이 있을 경우, 동료 사원이 아닌 회사를 상대로 문제를 제기해야 효력이 있다.

#합명회사#사원총회 결정#회사#소송

상담사례

억울한 대표이사 해임, 이사회 결의 무효소송, 누구를 상대로?

억울한 대표이사 해임으로 이사회 결의 무효소송을 할 경우, 피고는 이사회나 이사 개인이 아닌 **회사**를 상대로 해야 한다.

#대표이사 해임#이사회 결의 무효소송#회사(피고)

민사판례

노동조합 임원 선거 무효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노동조합 임원 선거 결과에 불만이 있을 때, 당선자 개인을 상대로 소송을 걸어서는 안 됩니다. 소송은 선거 결과를 결정한 노동조합을 상대로 해야 합니다. 선거관리위원회 역시 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노동조합#임원선거#무효확인소송#당선자

민사판례

조합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에서 이긴 원고는 그 판결에 불복하여 상고할 수 없으며, 이런 소송에서는 조합만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 충분하고, 굳이 이사장 개인을 상대로 소송할 필요는 없다.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상고이익#피고적격#조합

민사판례

종중 총회 결의, 무엇이 문제일까?

종중 총회 결의의 효력, 특히 종중원 자격이 없는 사람이 참여한 결의의 효력과 그 결의에 대한 무효 확인 소송의 요건에 대한 판례입니다. 종중원이 아닌 사람을 종중원으로 인정하거나 대표로 선임하는 결의는 무효이며, 소송을 제기하려면 소송으로 얻을 실질적인 이익이 있어야 합니다.

#종중#총회 결의#효력#무효 확인 소송

민사판례

임원 선임 문제로 법인 상대로 소송?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회사 임원 선임이 잘못됐다고 생각할 때, 등기 자체가 잘못됐다고 소송하는 것보다 선임 결의 자체가 잘못됐다고 소송하는 것이 맞다. 이미 적법한 선임이 있었다면, 날짜 등을 잘못 기재하여 만든 의사록에 대한 무효확인 소송은 의미가 없다.

#임원 선임 무효확인#등기 무효확인#선임 결의#의사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