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직원이 회사 돈을 마음대로 쓰거나 회사에 손해를 끼치는 행동을 하면 업무상 배임죄에 해당한다는 건 많이들 알고 계실 겁니다. 그런데 만약 회사 직원이 아닌 사람이 회사 직원과 짜고 회사에 손해를 끼치면 어떻게 될까요? 이 사람도 업무상 배임죄로 처벌받을까요?
이번 판례는 바로 이런 상황에 대한 판결입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회사 직원이 아닌 사람이 회사 직원과 공모하여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면, 직원은 업무상 배임죄로 처벌받지만, 직원이 아닌 공범은 단순 배임죄로 처벌받습니다.
왜 그럴까요?
업무상 배임죄는 회사 직원처럼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지위에 있는 사람이 그 임무를 어겨서 회사에 손해를 끼쳤을 때 성립하는 죄입니다. 단순 배임죄보다 더 무겁게 처벌받습니다. 즉,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지위'라는 특별한 신분이 필요한 범죄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회사 직원이 아닌 사람은 이런 신분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직원 아닌 공범은 업무상 배임죄가 아닌 단순 배임죄로 처벌받는 것이죠.
관련 법 조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번 판례에서도 피고인은 회사 직원이 아닌 사람으로서 회사 직원과 공모하여 회사에 손해를 끼쳤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피고인에게 업무상 배임죄가 아닌, 형법 제33조 단서에 따라 단순 배임죄의 형을 적용했습니다.
이번 판례는 대법원 1986. 10. 28. 선고 86도1517 판결, 대법원 1999. 4. 27. 선고 99도883 판결, 대법원 2010. 9. 9. 선고 2010도6507 판결 등 기존 대법원 판례와 같은 맥락입니다. 회사 직원이 아닌 사람이라도 회사 직원과 공모하여 회사에 손해를 끼치면 처벌받는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단, 그 처벌 수위는 직원보다는 낮다는 점도 함께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형사판례
회사에 실제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회사 재산에 손해가 발생할 위험을 초래한 경우 배임죄가 성립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법률적으로 무효인 행위를 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제로 손해 발생 위험이 있어야 한다.
형사판례
회사 대표이사가 회사 자금을 개인 용도로 사용한 혐의, 위증 혐의, 그리고 타인에게 허위진단서 작성을 교사한 혐의 등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회사 자금 유용은 유죄로 인정했지만, 일부 위증 혐의와 허위진단서 교사 혐의는 증거 부족으로 무죄라고 판단했습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업무상 배임죄에서 누가 공범으로 처벌받는지, 배임죄의 고의는 어떻게 입증하는지, 뇌물죄 판단 기준은 무엇인지 등을 다룹니다. 특히 단순히 배임 행위로 이익을 얻었다는 사실만으로는 공범으로 인정되지 않고, 배임 행위에 적극적으로 가담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형사판례
금융기관 직원들이 담보 없이 부실 대출을 해준 경우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하는지, 배임죄의 고의 입증 방법, 그리고 회사 경영 악화로 선원 퇴직금을 미지급한 경우 선원법 위반죄가 성립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부동산신탁회사 임원이 담보 부동산의 신탁계약을 해지하고 소유권을 돌려줬는데, 회사에 손해가 발생했다는 이유만으로 배임죄로 처벌할 수는 없다는 판결. 단순히 손해 발생 결과만으로는 배임의 고의를 인정하기 어렵다는 것이 핵심.
형사판례
회사 직원이 자신의 업무상 의무를 하지 않아 회사에 손해를 끼칠 위험을 발생시킨 경우, 단순히 하지 않은 것만으로 업무상배임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며, 손해 발생 위험이 구체적이고 행위자가 그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는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