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을 내야 하는 회사가 세무조사를 앞두고 가짜 증빙자료를 만들어 제출하고, 진짜 자료는 없애버렸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런 경우 세무서는 실제로 회사가 얼마나 벌었는지 정확하게 조사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세금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 판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자수정 광산을 운영하는 A 회사는 B 건설회사에게 자기 땅을 팔아 아파트를 짓도록 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B 건설회사는 땅값 외에 추가 공사비가 너무 많이 들어 사업을 포기하려고 했습니다. A 회사는 B 건설회사에 택지 조성 공사를 직접 맡아서 하겠다고 제안하며, 자기 광산에 흙을 메우는 방식으로 공사비를 줄일 수 있다고 했습니다. 결국 B 건설회사는 A 회사에 공사를 맡겼고, A 회사는 공사비 명목으로 돈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세무조사 과정에서 A 회사가 허위 증빙자료를 제출하고 관련 자료들을 없앤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 회사가 허위 증빙자료를 제출하고 관련 자료들을 없앤 행위에 주목했습니다. 이 때문에 세무서가 실제로 A 회사의 소득을 조사하는 것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이런 경우, 옛날 법인세법(1996년 12월 30일 법률 제5192호로 개정되기 전 법인세법 제32조 제3항 단서, 현재는 법인세법 제66조 제3항 단서에 해당)과 시행령(1998년 12월 31일 대통령령 제15970호로 개정되기 전 법인세법시행령 제93조 제1항 제1호, 현재는 법인세법 시행령 제104조 제1항 제1호에 해당)에 따라 세무서는 회사 소득을 추정해서 세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즉, 장부나 증빙자료가 없더라도, 세무서가 간접적인 방법으로 회사의 소득을 추정하여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법원은 이 사건에서 세무서가 A 회사의 소득을 추정하여 세금을 계산한 것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결론
이 판례는 납세자가 고의로 장부를 조작하거나 증빙자료를 숨기거나 훼손하는 경우, 세무서가 추정방식으로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성실한 납세의 의무를 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참고) 이 판결은 부산고등법원 2002. 10. 25. 선고 2002누1601 판결이며, 대법원에서도 상고가 기각되어 확정되었습니다.
세무판례
사업 관련 장부와 증빙서류가 없어졌을 때, 세무서가 세금을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없어진 경우와 천재지변 등으로 없어진 경우, 계산 방법이 달라집니다.
세무판례
실물 거래 없이 자료상으로부터 세금계산서를 받아 부당하게 비용을 처리한 경우, 실제 거래가 있었음을 입증할 책임은 납세자에게 있다.
세무판례
세금 계산의 기초가 되는 장부가 불완전하거나 허위일 경우, 세무서에서 추정하여 세금을 계산하는 추계과세를 할 수 있다. 설령 소송 중에 장부를 제출하더라도 그 장부가 여전히 불완전하거나 허위라면 추계과세는 유효하다.
세무판례
사업자가 법에서 정한 장부를 기록하지 않았더라도, 계약서 등 다른 서류로 소득을 계산할 수 있다면 세금 계산은 실제 소득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추정해서 계산하면 안 됩니다.
세무판례
세무서가 추측으로 세금을 계산하려면 납세자가 제대로 된 장부나 증빙서류를 갖추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추측으로 계산한 세금 부과는 위법입니다.
형사판례
세금 신고를 안 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하는 것 외에 장부를 작성하지 않는 등 적극적으로 세금 관련 자료를 숨기면 조세 포탈에 해당한다. 그리고 탈루 세액을 계산할 때는 법으로 정해진 계산법을 따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