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3.02.11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에서 채권 확정 소송, 기간 놓치면 끝?

회사가 어려워져 법원의 관리 하에 회생을 도모하는 회사정리절차. 이 과정에서 채권자들은 자신이 회사에 대해 가지고 있는 채권을 신고하고 확정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채권 확정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을 놓치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신용보증기금은 정리회사 주식회사 우방에 대한 채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리채권 조사가 있었지만, 신용보증기금은 법으로 정해진 기간 내에 채권 확정 소송을 제기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신용보증기금은 소송 제기 기간에 대한 연장이나 추후 보완을 요청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법원의 판단

회사정리법 제147조 제2항은 "정리채권 확정의 소는 그 권리의 조사가 있은 날로부터 1월 이내에 제기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법원은 이 조항의 취지가 회사정리절차의 신속한 진행과 권리관계의 빠른 안정에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회사의 채무를 빨리 확정해야 정리계획을 세우고 회사를 정상화하는 절차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원이 채권 확정 소송의 제기 기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이 기간은 당사자의 책임 여부와 관계없이 정해진 기간이기 때문에, 부득이한 사유로 기간을 지키지 못했더라도 소송 제기를 나중에 보완할 수 없다고 명시했습니다. 즉, 채권 확정 소송 제기 기간은 불변기간이 아니지만, 기간 도과 후 추완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 사건에서 신용보증기금은 자신들의 소송이 다른 성격의 소송이라는 주장도 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상고심에서 처음 제기된 주장이라는 이유도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신용보증기금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정리

  • 회사정리절차에서 채권 확정 소송은 권리 조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제기해야 합니다. (회사정리법 제147조 제2항)
  • 이 기간은 법원이 임의로 변경할 수 없으며, 기간을 놓친 경우 추후 보완도 불가능합니다.
  • 회사정리절차의 신속성과 안정성을 위해 엄격한 기간 제한을 두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관련 법조항:

  • 회사정리법 제147조 제2항
  • 회사정리법 제143조
  • 민사소송법 제160조 제1항

이번 판례는 회사정리절차에서 채권자들이 기간 준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하는 사례입니다. 채권을 가지고 있다면 절차를 꼼꼼히 확인하고 기간 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자신의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와 채권 확정 소송, 제때 해야 하는 이유

회사정리절차 중 채권자가 돈을 받을 권리(정리채권)를 주장했는데 관리인이 이의를 제기하면, 채권자는 정해진 기간 안에 법원에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그 기간을 지키지 않으면 소송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회사재산 보전처분 단계에서의 소송 수계와 회사정리절차 개시 후의 소송 수계는 별개라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회사정리절차#정리채권#소송수계#기간제한

민사판례

회사 정리 중 채권 신고, 깜빡했어도 구제받을 수 있을까?

회사 정리 절차 중, 채권자가 부득이한 사유로 채권 신고 기간을 놓쳤더라도 그 사유가 정당하다면 채권을 인정받을 수 있다.

#회사정리#채권신고지연#책임없는사유#추완신고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회사정리 중에도 지킬 수 있을까?

회사정리절차에서 채권자가 이의자를 상대로 정해진 기간 안에 이행소송을 제기하고, 후에 정리채권 확정소송으로 청구취지를 변경했더라도 기간을 지킨 것으로 본다.

#회사정리절차#정리채권 확정소송#이행소송#출소기간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 중 채권확정소송,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회사정리절차가 진행 중인 회사에 대한 채권을 확정받으려면 기존에 진행 중인 소송이 있다면 새로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소송을 이어받는 '수계'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수계 기간을 놓치면 채권 확정을 받을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

#회사정리절차#채권확정소송#수계#수계신청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 폐지 후 정리채권 확정 소송, 어떻게 될까요?

회사정리절차가 정리계획 인가 *전에* 폐지된 경우, 채권자가 정리절차 중에 채권 신고를 하지 않았더라도 소송을 통해 채권 확정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회사정리절차 폐지#미신고 정리채권#확정청구#소송

민사판례

회사정리 중 채권확인 소송, 기간 놓치면 안돼요!

회사정리 절차가 시작되면 기존 소송은 중단되고, 정리채권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만약 채권에 이의가 제기되면 정해진 기간 내에 소송을 다시 시작해야 하며, 기간을 놓치면 소송은 무효가 됩니다.

#회사정리#정리채권#이의#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