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2.07.12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와 세금, 누가 먼저 받을까?

회사가 어려워져 법원의 관리 아래 회생 절차를 밟는 경우, 돈을 받아야 할 채권자들이 많이 생깁니다. 이때 누구에게 먼저 돈을 줄지 순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오늘은 회사정리절차에서 세금과 다른 채권의 우선순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회사가 정리절차를 밟게 되면서 여러 채권자가 돈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그중에는 세금을 받아야 하는 국가(피고)와 다른 종류의 채권을 가진 회사(원고)가 있었습니다. 회사는 자신의 채권이 국가의 세금보다 우선해서 변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국가의 세금이 우선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회사정리절차에서도 세금의 우선순위는 유지된다: 회사가 정리절차에 들어갔다고 해서 세금의 우선순위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회사정리절차 중에도 세금 징수는 가능하며, 이때 세금은 다른 채권보다 우선적으로 변제됩니다. (국세기본법 제35조 제1항, 국세징수법 제81조 제1항)

  • 정리계획에서의 공익채권 우선은 제한적이다: 회사정리계획에서는 공익채권(임금, 퇴직금 등)이 정리채권(일반적인 채권)보다 우선적으로 변제받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구 회사정리법 제209조 제2항, 현행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180조 제2항 참조) 그러나 이는 회사의 일반재산에서 변제받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이지, 세금처럼 강제적으로 돈을 회수하는 절차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세금 징수는 정리계획과 무관하게 진행될 수 있다: 정리계획에서 세금 징수를 유예하는 기간을 정했다 하더라도, 그 기간이 지나면 국가는 정상적으로 세금 징수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구 회사정리법 제67조 제2항, 제122조 제1항, 현행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44조 제1항 제5호, 제140조 제2항 및 제3항 참조)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국세기본법 제35조 제1항
  • 국세징수법 제81조 제1항
  • 구 회사정리법(2005. 3. 31. 법률 제7428호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로 폐지) 제67조 제2항, 제122조 제1항, 제209조 제2항 (현행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44조 제1항 제5호, 제140조 제2항 및 3항, 제180조 제2항 참조)
  • 대법원 1971. 9. 17.자 71그6 결정
  • 대법원 1993. 4. 9. 선고 92다56216 판결

결론적으로, 회사정리절차에 들어갔더라도 세금은 다른 채권보다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회사정리절차에서 세금의 강력한 우선순위를 재확인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회사정리절차와 조세채권: 정리채권, 언제 생기고 언제 사라질까?

회사정리가 시작되기 전에 세금 납부 의무가 발생했다면, 실제 세금 고지서가 나온 것이 회사정리 이후라도 그 세금은 회사정리절차에서 다뤄지는 '정리채권'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정리채권은 정해진 기한 안에 신고하지 않으면 사라집니다.

#회사정리#정리채권#조세채권#신고기한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와 세금, 알고 보면 간단한 정리!

회사가 법원의 정리절차를 진행 중일 때, 과세 당국이 세금을 정리채권으로 신고하지 않으면, 정리절차 종료 후에는 해당 세금을 부과할 수 없고, 이미 부과했다면 그 처분은 무효입니다.

#회사정리절차#정리채권#세금#신고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와 관련된 돈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부도가 나서 회사정리절차를 밟고 있는 회사에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회사로부터 돈을 돌려받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제충당, 부당이득 반환, 채권 변제방법 변경 등에 관한 법리 다툼에 대한 판결입니다.

#회사정리절차#변제충당#부인권#부당이득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와 세금 면제

회사정리절차 중 확정된 정리계획에서 조세채권의 이자 면제를 약정한 경우, 이는 중가산금 면제를 의미하며, 정리계획 확정 후에는 절차상의 하자를 이유로 이를 다툴 수 없다는 판결.

#회사정리절차#조세채권#가산금#중가산금

민사판례

회사 정리계획, 공정하고 형평해야 인정!

부도난 회사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채권자들에게 빚을 어떻게 갚을지 정하는 정리계획은 모든 채권자에게 공정하고 형평성 있게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한국산업은행에게 다른 채권자들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빚을 갚도록 한 정리계획은 공정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회사정리계획#공정성#형평성#한국산업은행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에서 담보권의 충돌! 어떤 담보가 우선할까요?

회사정리절차 중 같은 재산에 정리담보권과 공익담보권이 함께 설정된 경우, 정리담보권이 공익담보권보다 우선한다.

#회사정리절차#정리담보권#공익담보권#우선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