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01다21991

선고일자:

200106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학교의 당사자능력 여부(소극)

판결요지

서울대학교는 국가가 설립·경영하는 학교임은 공지의 사실이고, 학교는 법인도 아니고 대표자 있는 법인격 없는 사단 또는 재단도 아닌 교육시설의 명칭에 불과하여 민사소송에 있어 당사자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4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5. 12. 9. 선고 75다1048 판결(공1976, 8859), 대법원 1977. 8. 23. 76다1478(공보불게재)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광주고법 200 1. 3. 14. 선고 2000나6567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피고 서울대학교에 대한 부분을 파기한다. 제1심판결 중 피고 서울대학교에 대한 부분을 취소하고, 원고들의 피고 서울대학교에 대한 소를 모두 각하한다. 원고들의 나머지 피고들에 대한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원고들과 피고 서울대학교 사이에 생긴 소송총비용 및 원고들과 나머지 피고들과 사이에 생긴 상고비용은 모두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직권으로 판단한다. 피고 서울대학교는 국가가 설립·경영하는 학교임은 공지의 사실이고, 학교는 법인도 아니고 대표자 있는 법인격 없는 사단 또는 재단도 아닌 교육시설의 명칭에 불과하여 민사소송에 있어 당사자능력을 인정할 수 없는 것이다(대법원 1955. 8. 4. 선고 55다64 판결, 1975. 12. 9. 선고 75다1048 판결, 1977. 8. 23. 선고 76다1478 판결 등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나 제1심은 피고 서울대학교가 마치 민사소송법상 당사자능력이 있는 것처럼 본안에 들어가 판단하고 있어, 이 점에서 원심판결 중 피고 서울대학교에 대한 부분은 위법하여 파기를 면할 수 없다 할 것이다. 2. 나머지 피고들에 대한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및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 1, 피고 2 및 망 피고 5가 고의나 과실로 소외인에 대한 업무상과실치사피의사건에 대한 검찰조사에서 사실에 반한 허위의 진술 등을 하였다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하고 있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원심이 원고들 주장의 불법행위와 원고들이 구하는 위자료 부분을 포함한 손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부분은 부가적인 판단에 불과하므로 이 사건 불법행위가 성립되지 아니한다는 원심의 판단이 정당한 이상 위자료 부분에 대한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잘못이 있다 하더라도 이는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서울대학교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민사소송법 제407조 제1호에 의하여 자판하기로 하여 제1심판결 중 피고 서울대학교에 대한 부분을 취소하고 원고들의 피고 서울대학교에 대한 소를 모두 각하하기로 하며, 원고들의 나머지 피고들에 대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원고들과 피고 서울대학교 사이에 생긴 소송총비용 및 원고들과 나머지 피고들과 사이에 생긴 상고비용은 모두 원고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무제(재판장) 이용우 강신욱(주심) 이강국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학교 이름으로 소송? 학교도 소송 당사자가 될 수 있을까요?

학교는 법적 주체가 아니므로 학교 이름으로 소송할 수 없고, 학교 설립자나 학교법인 등 권리와 의무를 가진 주체가 소송해야 한다.

#학교 소송#당사자능력#학교 명칭#소송 주체

민사판례

학교 이름으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요?

학교 이름으로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학교는 법인이 아니기 때문에 소송에서 당사자 자격이 없다.

#학교#소송#당사자능력#법인격

일반행정판례

대학교 이사 선임, 누가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

사립대학교 이사 선임에 대해 누가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교수협의회와 총학생회는 소송 자격이 있지만, 대학 노동조합은 자격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사립대학교#이사 선임#소송 자격#교수협의회

상담사례

🎓 졸업장 안 준다고요? 학교 상대로 소송? 이렇게 하세요!

졸업장 미발급 소송은 학교 건물 자체가 아닌 학교 운영 주체(사립은 학교법인, 국립은 국가)를 상대로 제기해야 한다.

#졸업장#소송#학교#학교법인

상담사례

우리 아파트 입대의, 소송 걸 수 있을까요?

입주자대표회의는 비법인 사단으로서 당사자 능력을 인정받아 회의 이름으로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입주자대표회의#소송#당사자능력#비법인사단

민사판례

노인회가 소송을 걸려면? 당사자 능력에 대한 이야기

마을 노인회가 소유권을 주장한 토지의 등기부상 소유자가 '용산학'으로 기재되어 있었는데, 법원은 노인회와 '용산학'은 별개의 단체라고 판단하여 노인회가 소송을 제기할 자격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용산학구노인회#소송#당사자능력#용산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