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료

사건번호:

2001다73572

선고일자:

200205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판결에 재판의 탈루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

판결요지

판결에는 법원의 판단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결론을 주문에 기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재판의 탈루가 있는지 여부는 우선 주문의 기재에 의하여 판정하여야 하고, 주문에 청구의 전부에 대한 판단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유 중에 청구의 일부에 대한 판단이 빠져 있는 경우에는 어쨌든 주문에는 청구의 전부에 대한 판시가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이유를 붙이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있을지언정 재판의 탈루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9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8. 5. 28. 선고 68다508 판결(집16-2, 민90)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한국캐피탈 주식회사 (변경 전 상호 : 중부리스금융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형배) 【피고,피상고인】 파산자 한길종합금융 주식회사의 파산관재인 예금보험공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구훈 외 1인) 【원심판결】 대전고법 200 1. 10. 18. 선고 2000나768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판결에는 법원의 판단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결론을 주문에 기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재판의 탈루가 있는지 여부는 우선 주문의 기재에 의하여 판정하여야 하고, 주문에 청구의 전부에 대한 판단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유 중에 청구의 일부에 대한 판단이 빠져 있는 경우에는 어쨌든 주문에는 청구의 전부에 대한 판시가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이유를 붙이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있을지언정 재판의 탈루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리스목적물의 합유자 또는 공유자임을 전제로 파산법 제79조 소정의 환취권자, 같은 법 제85조 소정의 별제권자, 같은 법 제38조 제4호 및 제5호 소정의 재단채권자의 지위에서 리스료상당 금원의 지급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에 대하여 원심은 원고의 청구를 인용한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면서 주문에 "1.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2.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라고 기재하였고, 원고가 원심판결에 재판의 탈루가 있음을 이유로 신청한 기일지정신청에 대하여 소송종료선언을 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원심이 판결주문에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고 기재한 이상, 설사 이유 중에 청구의 일부에 대한 판단이 빠져 있는 경우에도 재판의 탈루가 있다고 할 수 없고, 그와 같은 취지에서 원고의 기일지정신청에 대하여 소송종료선언을 한 원심의 판단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재판의 탈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며, 나머지 상고이유는 원심이 부가적, 가정적으로 판단한 부분에 대한 것으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이용우 배기원(주심)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판결문에 모든 주장이 다 들어가야 할까요?

판결문에는 모든 주장이 아니라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주장에 대한 판단만 있으면 충분하며, 판결의 전반적인 취지에서 주장이 받아들여졌는지, 기각되었는지 알 수 있다면 판단누락으로 보지 않는다는 내용입니다.

#판결문#판단누락#재심#핵심주장

민사판례

판결문에 모든 주장이 다 들어가야 할까요?

법원이 판결문에 모든 주장에 대해 일일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판결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당사자 주장에 대한 판단을 명확히 알 수 있거나, 해당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 뻔한 경우에는 판단누락으로 보지 않는다.

#판단누락#판결취지 명확성#주장 명시적 판단 불필요#묵시적 판단

민사판례

반소청구 판단 누락 시 항소심의 처리

판결 이유에는 청구가 이유 없다고 적혀있더라도, 판결의 결론 부분인 주문에 그 내용이 없으면 재판이 누락된 것으로 봐야 합니다. 이 경우 누락된 부분은 아직 재판이 끝나지 않은 것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상소는 적법하지 않습니다.

#주문누락#상소적법성#재판누락#항소각하

민사판례

판결문은 명확해야 합니다! 청구 내용도 마찬가지!

법원은 판결문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써야 합니다. 원고가 요구하는 내용이 불명확하면 법원은 원고에게 명확하게 다시 써달라고 요청해야 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소송을 각하해야 합니다.

#판결 주문 특정#감사 수용 청구#청구 불명확#보정명령

일반행정판례

재판에서 판단 안 한 게 있다고 무조건 다시 재판할 수 있을까? - 판단유탈의 의미

판결에서 중요한 내용을 빠뜨렸다는 이유로 재심을 청구하려면, 법원이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당사자의 주장 자체에 대해 아예 판단을 하지 않은 경우여야 합니다. 단순히 판단 이유가 부족하거나, 주장을 반박하는 근거가 자세하지 않은 경우는 재심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재심#판단유탈#판결#주장

민사판례

재판에서 중요한 주장에 대한 판단이 누락되면 재심할 수 있을까?

재판에서 판사가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쟁점에 대해 아예 판단을 하지 않은 경우에만 '판단유탈'이라고 합니다. 판단은 했지만 그 이유 설명이 부족하거나, 상대방 주장을 반박하는 근거를 자세히 제시하지 않았다고 해서 판단유탈은 아닙니다.

#판단유탈#재심#쟁점#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