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알선수재)

사건번호:

2001도5666

선고일자:

200203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진술을 요할 자가 외국에 거주하고 있고 검찰이 그 소재를 확인하여 소환장을 발송하는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경우, 형사소송법 제314조 소정의 '진술을 요할 자가 외국거주 기타 사유로 인하여 공판정에 출석하여 진술할 수 없는 때'의 요건충족 여부(한정 적극)

판결요지

형사소송법 제314조에 의하여 같은 법 제312조의 조서나 같은 법 제313조의 진술서, 서류 등을 증거로 하기 위하여는 진술을 요할 자가 사망, 질병, 외국거주 기타 사유로 인하여 공판정에 출석하여 진술을 할 수 없는 경우이어야 하고, 그 진술 또는 서류의 작성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행하여진 것이라야 한다는 두 가지 요건이 갖추어져야 할 것인바, 첫째 요건과 관련하여 '외국거주'라고 함은 진술을 요할 자가 외국에 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가능하고 상당한 수단을 다하더라도 그 진술을 요할 자를 법정에 출석하게 할 수 없는 사정이 있어야 예외적으로 그 적용이 있다고 할 것인데, 통상적으로 그 요건의 충족 여부는 소재의 확인, 소환장의 발송과 같은 절차를 거쳐 확정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항상 그와 같은 절차를 거쳐야만 위 요건이 충족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비록 그와 같은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법원이 그 진술을 요할 자를 법정에서 신문할 것을 기대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다고 인정할 수 있다면, 이로써 그 요건은 충족된다고 보아야 한다.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12조 , 제313조 , 제314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 9. 8. 선고 87도1446 판결(공1987, 1602), 대법원 1989. 6. 27. 선고 89도351 판결(공1989, 1196)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법무법인 세종 담당변호사 황상현 【원심판결】 서울지법 200 1. 10. 9. 선고 2001노3784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1. 제1심 및 원심이 적법하게 조사하여 채택한 증거들에 의하면, 공소외 1은 경부고속철도 차량공급업체 선정에 대한 로비와 관련하여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알선수재) 혐의로 1999. 9. 28. 출국금지조치를 받고 같은 해 10. 2. 여권을 압수 당한 후 같은 해 10. 29. 검찰에 출석하여 위 차량공급업체 선정과 관련하여 피고인이 관계공무원에게 영향력을 행사해 줄 것을 부탁하고 그 대가로 3회에 걸쳐 피고인에게 4억 원을 교부하였다는 취지의 피의자신문조서와 진술조서를 작성한 후 행방불명이 되었고, 그 후 검찰이 공소외 1의 소재에 대하여 수사한 결과 공소외 1은 불상의 방법으로 미국으로 도피하여 현재 그 곳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그렇다면 검찰이 피고인의 반대신문권을 박탈하여 고의적으로 방어권을 침해한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이 부분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없다. 2. 형사소송법 제314조에 의하여 같은 법 제312조의 조서나 같은 법 제313조의 진술서, 서류 등을 증거로 하기 위하여는 진술을 요할 자가 사망, 질병, 외국거주 기타 사유로 인하여 공판정에 출석하여 진술을 할 수 없는 경우이어야 하고, 그 진술 또는 서류의 작성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행하여진 것이라야 한다는 두 가지 요건이 갖추어져야 할 것인바, 첫째 요건과 관련하여 '외국거주'라고 함은 진술을 요할 자가 외국에 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가능하고 상당한 수단을 다하더라도 그 진술을 요할 자를 법정에 출석하게 할 수 없는 사정이 있어야 예외적으로 그 적용이 있다고 할 것인데, 통상적으로 그 요건의 충족 여부는 소재의 확인, 소환장의 발송과 같은 절차를 거쳐 확정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항상 그와 같은 절차를 거쳐야만 위 요건이 충족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비록 그와 같은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법원이 그 진술을 요할 자를 법정에서 신문할 것을 기대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다고 인정할 수 있다면, 이로써 그 요건은 충족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사건에 관하여 보건대, 공소외 1은 차량공급업체 선정과 관련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알선수재) 혐의로 수사를 받던 중 미국으로 불법도피하여 그 곳에 거주하고 있고, 이러한 공소외 1에 대하여 그 소재를 확인하여 소환장을 발송한다고 하더라도 공소외 1이 법정에 증인으로 출석할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므로, 공소외 1이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된 후 검찰이 공소외 1의 미국 내 소재를 확인하여 증인소환장을 발송하는 등의 조치를 다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위 첫 번째 요건은 충족이 되었다고 할 것이고, 또 기록을 살펴보면 공소외 1의 검찰에서의 각 진술은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행하여진 것으로 인정되어 그 두 번째 요건도 충족이 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원심이 형사소송법 제314조에 의하여 검사가 작성한 공소외 1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 및 진술조서의 각 증거능력을 인정하여 이들 조서를 유죄의 증거로 채택하였음에 아무런 위법이 없다. 3. 검사가 작성한 공소외 1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와 진술조서의 각 진술기재를 비롯하여 제1심 및 원심이 적법하게 조사하여 채택한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판시 범죄사실을 인정할 수 있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경험칙에 반하여 알선의 대가에 관한 해석을 그르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으므로, 이 부분 상고이유의 주장도 이유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서성 배기원 박재윤(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외국 거주 증인, 어떻게 증언을 확보할까요?

외국에 사는 증인이 법정에 나오지 않고 작성한 진술서를 증거로 쓸 수 있으려면, 법원이 증인을 법정에 부르기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석이 불가능해야 합니다. 특히, 국제사법공조를 통해 증인 소환이나 증인 신문을 요청하는 등의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외국거주증인#진술서#증거능력#출석불가능성

형사판례

증인이 법정에 안 나오면 그 사람 진술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증인이 소재불명되어 법정에서 증언할 수 없는 경우, 이전에 작성된 진술조서를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조서가 증거로 사용되기 위한 요건은 무엇인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증인#소재불명#진술조서#증거능력

형사판례

증인 소환과 증거능력: 엉뚱한 곳 찾으면 안 돼요!

재판에서 증인이 부르려는 증인의 소재를 파악하지 못했다면 단순히 소환장이 반송된 것만으로는 증인의 진술을 들을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할 수 없고, 제대로 된 소재탐지를 해야 합니다. 엉뚱한 주소로 소환장을 보내고 소재탐지도 제대로 하지 않은 경우, 그 증인의 이전 진술은 증거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증인#소재탐지#증거능력#소환장

형사판례

국제전화 증거, 어떻게 될까요?

해외에 사는 사람의 진술을 증거로 쓸 수 있을까요? 이 판례는 그 진술이 믿을 만한 상황에서 이뤄졌는지, 그리고 그 진술이 담긴 서류에 진술자의 서명이나 날인이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특히, 전화 통화 내용을 적은 수사 보고서는 진술자의 서명이나 날인이 없다면 증거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해외거주#참고인 진술#증거능력#신빙성

형사판례

증인을 찾을 수 없을 때 경찰의 진술조서는 증거가 될 수 있을까?

증인에게 소환장이 송달되지 않고 소재 파악도 불가능한 경우, 경찰이 작성한 증인 진술조서는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증인#소재불명#경찰조서#증거능력

형사판례

미국 수사기관이 작성한 자료도 증거가 될 수 있을까? - 해외 증거의 증거능력

미국 수사기관이 작성한 질문서와 증언녹취서가 한국 법원에서 증거로 인정된 사례. 외국 수사기관의 자료라도 신뢰할 수 있는 상황에서 작성되었다면 한국 형사재판에서 증거능력이 인정될 수 있다.

#외국 수사기관 자료#증거능력#형사소송법 제314조#전문법칙 예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