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뇌물){인정된 죄명: 배임수재}

사건번호:

2001도670

선고일자:

2002053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국립대학교 교수가 부설연구소의 책임연구원의 지위에서 연구소 자체가 수주한 어업피해조사용역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교육공무원의 직무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뇌물죄에서 말하는 직무에는 공무원이 법령상 관장하는 직무 그 자체뿐만 아니라 직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행위 또는 관례상이나 사실상 관여하는 직무행위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나, 구체적인 행위가 공무원의 직무에 속하는지 여부는 그것이 공무의 일환으로 행하여졌는가 하는 형식적인 측면과 함께 그 공무원이 수행하여야 할 직무와의 관계에서 합리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실질적인 측면을 아울러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는바, 수산업법시행령 제62조 및 어업면허및어장관리에관한규칙 제51조의2에 의하여 해양수산부가 지정 고시한 어업손실액 조사기관인 국립대학교 부설 연구소(국립대학교 부설 연구소 아닌 사립대학교 부설 연구소도 조사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다)가 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에 근거하지 아니하고 국가와는 별개의 지위에서 연구소라는 단체의 명의로 체결한 어업피해조사용역계약상의 과업 내용에 의하여 국립대학교 교수가 위 연구소 소속 연구원으로서 수행하는 조사용역업무는 교육공무원의 직무 또는 그와 밀접한 관계가 있거나 그와 관련된 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129조 제1항, 수산업법시행령 제62조, 어업면허및어장관리에관한규칙 제51조의2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검사 【피고인들의변호인】 변호사 우영제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1. 1. 19. 선고 2000노133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뇌물죄에서 말하는 직무에는 공무원이 법령상 관장하는 직무 그 자체뿐만 아니라 직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행위 또는 관례상이나 사실상 관여하는 직무행위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나, 구체적인 행위가 공무원의 직무에 속하는지 여부는 그것이 공무의 일환으로 행하여졌는가 하는 형식적인 측면과 함께 그 공무원이 수행하여야 할 직무와의 관계에서 합리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실질적인 측면을 아울러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는바, 수산업법시행령 제62조 및 어업면허및어장관리에관한규칙 제51조의2에 의하여 해양수산부가 지정 고시한 어업손실액 조사기관인 국립대학교 부설 연구소(국립대학교 부설 연구소 아닌 사립대학교 부설 연구소도 조사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다)가 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에 근거하지 아니하고 국가와는 별개의 지위에서 연구소라는 단체의 명의로 체결한 어업피해조사용역계약상의 과업 내용에 의하여 국립대학교 교수가 위 연구소 소속 연구원으로서 수행하는 조사용역업무는 교육공무원의 직무 또는 그와 밀접한 관계가 있거나 그와 관련된 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고 할 것이다. 원심이 같은 견해 아래, 피고인들이 국립경상대학교 해양수산대학 부설 해양산업연구소의 연구원의 지위에서 수행한 이 사건 용역업무가 공무의 일환으로 행하여졌다거나 피고인들이 수행하는 공무와의 관계에서 합리적으로 필요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워 피고인들이 수행한 이 사건 용역업무는 뇌물죄에서 말하는 공무원의 직무라고 할 수 없다고 하여 이 사건 주위적 공소사실에 대하여 범죄의 증명이 없다고 판단한 다음 이 사건 예비적 공소사실인 배임수재에 대하여 유죄를 선고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반이나 뇌물죄에 있어서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지담(재판장) 조무제 강신욱 손지열(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교수에게 건넨 4천만 원, 뇌물일까? 산학협력과 뇌물죄의 경계

대학교수가 산학협력 관련 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은 경우, 직무 관련성이 인정되어 뇌물죄가 성립한다.

#대학교수#산학협력#금품수수#뇌물죄

형사판례

도립대학 교수의 납품검수와 뇌물수수에 대한 법원의 판단

도립대학 교수가 특성화사업단장으로 일하면서 허위 납품검사 서류를 작성하고 업체로부터 돈을 받은 행위에 대해 허위공문서작성죄와 뇌물수수죄가 인정된 사례.

#도립대학#교수#허위공문서작성#뇌물수수

형사판례

서울대병원 의사 겸직 교수, 뇌물수수 혐의 무죄 확정!

서울대 의대 교수가 서울대병원 의사를 겸직하면서 환자의 입원 및 수술 편의를 제공하고 돈을 받았더라도, 이는 공무원의 직무와 관련된 알선수재로 볼 수 없어 무죄라는 판결.

#서울대병원#겸직교수#알선수재#무죄

형사판례

연구비와 관련된 금품 수수, 뇌물일까? 배임일까?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이자 특정 사업단의 단장이었던 피고인이 연구비 지원과 관련하여 금품을 수수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뇌물죄는 무죄, 배임수재죄는 유죄로 판단했습니다. 사업단 업무가 한국전기연구원의 직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 뇌물죄는 성립하지 않지만, 묵시적인 부정한 청탁에 따라 금품을 수수한 것으로 보아 배임수재죄는 성립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연구비#금품수수#뇌물죄 무죄#배임수재죄 유죄

형사판례

연구용역 계약 위반, 배임죄일까?

타인에게 돈을 빌리거나 용역 제공 계약을 맺은 후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해서 무조건 배임죄로 처벌할 수는 없다. 배임죄가 성립하려면 맡겨진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지위에 있어야 하는데, 단순한 채무 관계는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배임죄#채무불이행#타인의사무#계약위반

형사판례

교수 채용 비리, 뇌물죄 성립될까?

대학교수들이 신규 교수 채용 과정에서 금품과 향응을 받은 뇌물수수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 검찰 조서의 증거능력, 뇌물죄의 성립 요건, 포괄일죄, 추징 등에 대한 법리적 판단을 담고 있습니다.

#대학교수#뇌물수수#대법원#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