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송상구조

사건번호:

2001마1044

선고일자:

20010609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1] 민사소송법 제118조 제1항 단서의 '패소할 것이 명백한 경우'의 의미 및 그 판단 기준 [2] 일부 구조의 가능 여부(적극)

판결요지

[1] 민사소송법 제118조 제1항의 규정에서 패소할 것이 명백하지 않다는 것은 소송상 구조신청의 소극적 요건이므로 신청인이 승소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진술하고 소명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법원이 당시까지의 재판절차에서 나온 자료를 기초로 패소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 요건은 구비되었다고 할 것이며, 항소심은 속심으로서 원칙적으로 제1심에서 제출하지 않았던 새로운 주장과 증거를 제출할 수 있으므로 제1심에서 패소하였다는 사실만으로 항소심에서도 패소할 것이 명백하다고 추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제1심에서 패소한 당사자가 항소심에서 소송상구조를 신청하는 경우에도 신청인이 적극적으로 항소심에서 승소할 가능성을 진술하고 소명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법원은 신청인의 신청이유와 소명자료는 물론 본안소송에서의 소송자료 및 증거자료도 함께 종합하여 항소심에서 신청인이 패소할 것이 확실한지를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2] 민사소송법 제119조의 구조의 범위는 일부 구조도 가능하다.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118조 / [2] 민사소송법 제119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4. 12. 10.자 94마2159 결정(공1995상, 608), 대법원 1995. 11. 22.자 95마1180 결정(공1996상, 50), 대법원 2001. 3. 8.자 2001카기38 결정(공2001상, 923)

판례내용

【재항고인(선정당사자)】 【원심결정】 부산지법 200 1. 1. 19.자 2000카기9130 결정 【주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기록에 의하면, 주식회사 삼보상호신용금고는 재항고인(선정당사자, 이하 '재항고인'이라고 한다) 및 선정자 재항고외 1, 재항고외 2(이하 '재항고인 형제들'이라고 한다)를 상대로 연대보증을 청구원인으로 한 대여금청구소송을 제기하여 부산지방법원 2000. 9. 7. 선고 99가단26568 판결로 재항고인 형제들 패소 판결이 선고된 사실, 재항고인 형제들은 위 제1심판결에 불복하여 항소를 제기한 후 빈곤으로 인하여 소송비용을 지출할 능력이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소송상의 구조신청을 한 사실을 알 수 있다. 민사소송법 제118조 제1항의 규정에 비추어 보면, 소송상 구조의 요건으로는 소송비용을 지출할 자력이 부족할 것과 패소할 것이 명백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고, 같은 법 제119조의 구조의 범위는 일부 구조도 가능하다 할 것인데, 여기서 패소할 것이 명백하지 않다는 것은 소극적 요건이므로 신청인이 승소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진술하고 소명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법원이 당시까지의 재판절차에서 나온 자료를 기초로 패소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 요건은 구비되었다고 할 것이다. 또한 항소심은 속심으로서 원칙적으로 제1심에서 제출하지 않았던 새로운 주장과 증거를 제출할 수 있으므로 제1심에서 패소하였다는 사실만으로 항소심에서도 패소할 것이 명백하다고 추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제1심에서 패소한 당사자가 항소심에서 소송상 구조를 신청하는 경우에도 신청인이 적극적으로 항소심에서 승소할 가능성을 진술하고 소명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법원은 신청인의 신청이유와 소명자료는 물론 본안소송에서의 소송자료 및 증거자료도 함께 종합하여 항소심에서 신청인이 패소할 것이 확실한지를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이 사건에서 기록에 의하면 재항고인의 신청이유는 아버지가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기 위하여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의 일부 지분을 재항고인 형제들이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재항고인 형제들이 그 부동산을 물적 담보로 제공하는 의미에서 연대보증서에 서명날인한 것이고 당시 재항고인 형제들은 미성년의 학생들이었으므로 대출금 전액에 대하여 연대보증한 것은 아니라고 제1심에서 주장하였다가 패소하였으나 항소심에서 다시 한번 그 주장의 당부를 판단 받고자 하는 것인바, 그 신청 이유에 따른 재항고인 형제들의 주장은 다투어 봄직한 주장이고 만일 항소심에서 새로운 증거방법에 의하여 입증된다면 판결 결과도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패소가 명백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속단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원심으로서는 재항고인의 신청이유와 소명자료로만 판단할 것이 아니라 본안소송 기록을 대조하여 그 주장이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없는지를 판단하여야 하고, 만일 그 주장이 새로운 증거에 의하더라도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전혀 없거나 또 다른 이유에 의하여 그 주장이 이유 없음이 확실하여 항소심에서도 패소할 것이 명백하다고 인정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민사소송법 제118조 제1항 단서에 의하여 소송상의 구조신청을 기각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재항고인의 주장 및 제출한 소명자료만으로는 소송상 구조의 요건을 소명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신청을 기각하였으므로 이에는 분명 소송상의 구조 요건과 관련한 민사소송법 제118조 제1항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고, 이 점을 지적하는 재항고이유는 정당하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새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이강국(재판장) 조무제 이용우(주심) 강신욱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송에서 도움받기: 소송구조 요건과 항소심에서의 주의점

돈이 없어 소송 비용을 낼 수 없는 사람이 소송구조(나라에서 소송 비용을 지원해주는 제도)를 신청하려면 단순히 가난하다는 것만으론 부족하고, 이길 가능성도 어느 정도 보여줘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특히 1심에서 졌다면 2심에서 이길 가능성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소송구조#승소가능성#입증책임#재심

민사판례

소송에서 도움이 필요하세요? 소송구조 제도, 항소심에서의 활용 방법

돈이 없어 소송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소송구조 제도를 이용하려면, 특히 1심에서 패소하고 항소한 경우에는 1심 판결의 잘못된 점이나 새로운 증거를 통해 이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소송구조#항소심#1심 판결 문제점#새로운 증거

일반행정판례

소송구조 요건, 패소 가능성과 자금 능력을 따져봐야 합니다

돈이 없어 소송하기 어려운 사람을 돕는 소송구조 제도에서 '패소할 것이 명백하지 않아야 한다'는 요건은 어떻게 판단할까요? 이 판례는 승소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입증할 필요는 없고, 법원이 기존 재판 자료를 보고 패소가 명백하다고 판단할 수 없다면 이 요건을 충족한다고 봅니다.

#소송구조#패소 명백하지 않음#승소 가능성 입증 불필요#기존 재판 자료

민사판례

상고심에서 소송구조 신청,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항소심에서 졌다고 해서 무조건 상고심에서도 질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상고심에서 소송구조(소송비용 지원)를 받으려면 항소심 판결에 문제가 있어 뒤집힐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더 자세히 소명해야 합니다.

#상고심#소송구조#소명#항소심 판결

민사판례

2심에서 소송구조 신청, 1심보다 빡세게 소명해야 한다?!

1심에서 패소한 사람이 2심에서 소송구조(소송 비용 지원)를 신청할 때는, 단순히 어렵다는 사정만으로는 부족하고, 1심 판결이 잘못되었거나 새로운 증거로 2심에서 이길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합니다.

#소송구조#2심#패소가능성 소명#1심 패소

민사판례

소송비용 부담이 어려워 구조 신청을 했지만 기각됐다면? 항소는 어떻게 될까요?

항소할 때 인지(수수료)를 내지 않고 소송구조(소송비용 지원)를 신청했는데 기각된 경우, 다시 소송구조를 신청해도 인지를 내지 않으면 항소는 각하될 수 있다.

#항소#인지미납#소송구조#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