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채권확정

사건번호:

2002다20964

선고일자:

200303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회사정리법 제242조 제1항 소정의 '정리채권자 등의 권리는 계획의 규정에 따라 변경된다.'의 의미 [2] 회사정리법 제162조 제1항에서 정한 정리채권자 등이 정리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 상계를 할 수 있는 시한

판결요지

[1] 회사정리법 제242조 제1항은 정리계획인가의 결정이 있은 때에는 정리채권자, 정리담보권자와 주주의 권리는 계획의 규정에 따라 변경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정리계획 인가결정에 의하여 정리채권자 등의 권리가 그 정리계획의 내용대로 실체적으로 변경되는 효력이 있음을 규정한 것이고 단지 채무와 구별되는 책임만의 변경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며, 이 점에서 정리절차를 통하여 회사에 대한 권리자들에게 그 동안 절차참여의 기회를 보장하였음에도 절차에 참여하지 아니한 권리자는 보호할 가치가 없다는 점과 뒤늦게 권리를 주장하고 나서는 권리자로 인하여 정리계획의 수행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마련된 같은 법 제241조의 면책과는 그 성질을 달리하는 것이므로 정리계획의 인가결정이 있으면 정리채권자 등의 권리는 정리계획의 조항에 따라 채무의 전부 또는 일부의 면제효과가 생기고 기한유예의 정함이 있으면 그에 따라 채무의 기한이 연장되며 정리채권이나 정리담보권을 출자전환하는 경우에는 그 권리는 인가결정시 또는 정리계획에서 정하는 시점에서 소멸한다. [2] 회사정리법 제162조 제1항에서는 정리채권자 또는 정리담보권자가 정리절차개시당시 회사에 대하여 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에 채권과 채무의 쌍방이 정리채권과 정리담보권의 신고기간 만료 전에 상계할 수 있게 되었을 때에는 정리채권자 또는 정리담보권자는 그 기간 내에 한하여 정리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 상계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이 때 '그 기간'이라고 함은 정리채권 등의 신고기간을 뜻한다.

참조조문

[1] 회사정리법 제241조, 제242조 제1항/ [2] 회사정리법 제162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정리회사 주식회사 해태유통의 관리인 【피고,피상고인】 파산자 해태상사 주식회사의 파산관재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2. 3. 5. 선고 2001나68299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 및 기록에 의하면, 주식회사 해태유통(이하 '해태유통'이라고 한다)이 2000. 4. 14. 서울지방법원으로부터 정리절차 개시결정을 받자, 해태상사 주식회사(이하 '해태상사'라고 한다)는 정리채권으로 2,701,347,729원을 신고하였고, 그 중 2,678,281,084원이 정리채권으로 시인된 사실, 그 후 서울지방법원은 2000. 10. 20. 해태유통의 정리계획에 대한 인가결정을 내려 그 무렵 위 결정이 확정되었는데, 위 정리계획상의 권리변경 및 변제방법에 관한 조항에 의하여 해태상사의 위 정리채권은 그 중 20%에 해당하는 535,656,217원에 관하여는 출자전환되어 해태유통이 새로 발행하는 주식의 효력발생일에 당해 채권액이 변제되는 것으로 갈음하고 나머지 80%에 해당하는 2,142,624,867원에 관하여는 전액면제되는 것으로 변경된 사실, 한편 해태상사가 2000. 5. 23. 서울지방법원으로부터 정리절차 개시결정을 받자, 해태유통은 2000. 6. 16. 정리채권으로 3,640,983,595원(원금 2,759,231,770원+이자 881,751,825원)을 신고하였고, 그 전액이 정리채권으로 시인된 사실, 그 후 해태상사가 2000. 12. 15. 서울지방법원으로부터 정리절차 폐지결정을 받은 후 파산선고를 받자, 원고는 2001. 1. 12. 파산채권으로 3,812,282,751원(원금 2,759,231,770원+이자 1,053,050,981원)을 신고한 사실, 이에 피고는 채권조사기일에 위 채권 중 원금 365,929,391원과 이자 전액에 대하여는 파산채권으로 시인하였으나, 나머지 원금 2,393,302,379원(2,759,231,770원-365,929,391원)에 대하여는, 해태유통의 정리절차에서 시인된 해태상사의 채권과 상계되어 소멸하였다는 이유로 이의를 제기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회사정리법 제242조 제1항은 정리계획인가의 결정이 있은 때에는 정리채권자, 정리담보권자와 주주의 권리는 계획의 규정에 따라 변경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정리계획 인가결정에 의하여 정리채권자 등의 권리가 그 정리계획의 내용대로 실체적으로 변경되는 효력이 있음을 규정한 것이고 단지 채무와 구별되는 책임만의 변경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며, 이 점에서 정리절차를 통하여 회사에 대한 권리자들에게 그 동안 절차참여의 기회를 보장하였음에도 절차에 참여하지 아니한 권리자는 보호할 가치가 없다는 점과 뒤늦게 권리를 주장하고 나서는 권리자로 인하여 정리계획의 수행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마련된 같은 법 제241조의 면책과는 그 성질을 달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리계획의 인가결정이 있으면 정리채권자 등의 권리는 정리계획의 조항에 따라 채무의 전부 또는 일부의 면제효과가 생기고 기한유예의 정함이 있으면 그에 따라 채무의 기한이 연장되며 정리채권이나 정리담보권을 출자전환하는 경우에는 그 권리는 인가결정시 또는 정리계획에서 정하는 시점에서 소멸한다고 할 것이다 . 이러한 법리에 따라 해태상사의 위 채권이 소멸되었는지 여부에 관하여 보건대,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해태상사의 채권 중 20%에 해당하는 536,656,217원에 관하여는 해태유통에 대한 정리계획에서 정한 바에 의하여 해태유통이 새로 발행하는 주식의 효력발생에 따라 당해 채권액이 변제되는 것으로 보는 시점에서, 나머지 80%에 해당하는 2,142,624,867원에 관하여는 정리계획의 인가결정 시점에서 각 소멸된다고 할 것이고, 이 때 해태유통의 채무 자체는 존속하지만 책임만이 소멸된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인바, 따라서 위 인가결정이 정한 바에 따라 해태상사의 위 채권 그 자체가 실체적으로 소멸된 한에서는 피고로서는 이미 소멸된 위 채권으로 해태유통의 이 사건 채권 2,393,302,379원과 상계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회사정리법 제162조 제1항에서는 정리채권자 또는 정리담보권자가 정리절차개시당시 회사에 대하여 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에 채권과 채무의 쌍방이 정리채권과 정리담보권의 신고기간 만료 전에 상계할 수 있게 되었을 때에는 정리채권자 또는 정리담보권자는 그 기간 내에 한하여 정리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 상계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이 때 '그 기간'이라고 함은 정리채권 등의 신고기간을 뜻한다고 볼 것이 므로, 비록 해태상사가 그 주장과 같은 자동채권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해태유통에 관한 정리절차의 정리채권 신고기간 만료 전에 상계의 의사표시를 한 바 있었음을 뒷받침할 만한 자료도 달리 찾아 볼 수 없는 이 사건에 있어서 이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피고의 상계항변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태상사의 채권 중 80%에 해당하는 2,142,624,867원이 해태유통의 정리절차에서 면제되었다고 하더라도 해태유통의 해태상사에 대한 위 채무는 절대적으로 소멸한 것은 아니고 채무 자체는 여전히 존속한다고 보아야 한다는 등의 이유로 해태상사의 위 채권부분을 자동채권으로 한 상계의 효력을 인정한 원심판결에는 정리계획 인가결정의 효력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므로, 같은 취지의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무제(재판장) 유지담 이규홍(주심) 손지열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에서 채권자가 알아야 할 권리

회사 정리 과정에서 관리인의 실수 등으로 채권자의 권리가 정리계획에서 누락되더라도 채권은 소멸되지 않으며, 채권자는 이행소송 등을 통해 권리를 구제받을 수 있다. 누락된 채권에 대해서는 유사한 다른 채권의 변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회사정리#채권누락#권리구제#이행소송

민사판례

회사 정리절차와 보증채무, 알고 계셨나요?

회사정리절차에서 채권자가 정리계획에 따라 신주 또는 전환사채를 받는 경우 보증채무 소멸 범위와, 정리절차 개시 후 다른 채무자로부터 변제받더라도 원 채무자에 대한 정리절차에서 채권 전액 행사 가능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회사정리절차#보증채무#소멸#채권자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와 채권, 그리고 가압류에 대한 이야기

이 판례는 회사정리절차에서 정리채권자표 기재의 효력, 무권리자의 정리채권 신고 효력, 그리고 보전관리인을 제3채무자로 하는 가압류의 적법성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회사가 정리절차에 들어가면 채권자 목록을 확정하는데, 이 목록에 기재된 내용은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가지며, 권리가 없는 사람이 채권 신고를 했더라도 절차 진행에는 효력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 정리 전 보전관리인이 선임되었다면, 회사 재산에 대한 가압류는 보전관리인을 상대로 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회사정리절차#정리채권#정리채권자표#무권리자 신고

민사판례

회사 정리계획 변경, 쟁점과 판단 기준 살펴보기

회사 경영 악화로 기존 회사정리 계획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채권자들이 변경계획에 불복하여 특별항고했으나, 대법원은 변경계획이 법률과 공정·형평의 원칙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기각했습니다.

#회사정리#변경계획#특별항고#기각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와 하자보수 손해배상

회사가 정리절차에 들어가기 전에 발생한 공사 하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권은 '정리채권'으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즉, 회사가 정리절차에 들어갔더라도 해당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회사정리절차#하자보수#손해배상청구권#정리채권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와 채권 확정 소송, 제때 해야 하는 이유

회사정리절차 중 채권자가 돈을 받을 권리(정리채권)를 주장했는데 관리인이 이의를 제기하면, 채권자는 정해진 기간 안에 법원에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그 기간을 지키지 않으면 소송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회사재산 보전처분 단계에서의 소송 수계와 회사정리절차 개시 후의 소송 수계는 별개라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회사정리절차#정리채권#소송수계#기간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