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02다70044

선고일자:

200304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이사의 직무상 충실 및 선관의무의 위반행위가 상법 제401조 제1항 소정의 임무해태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2] 대표이사가 그 업무 일체를 다른 이사 등에게 위임하고, 대표이사로서의 직무를 전혀 집행하지 않는 것이 직무상 충실 및 선관의무를 위반하는 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상법 제401조 제1항에 규정된 주식회사의 이사의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은 이사가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그 임무를 해태한 것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어서 단순히 통상의 거래행위로 인하여 부담하는 회사의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 것만으로는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그 임무를 해태한 것이라고 할 수 없지만, 이사의 직무상 충실 및 선관의무 위반의 행위로서 위법성이 있는 경우에는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그 임무를 해태한 경우에 해당한다. [2] 대표이사가 대표이사로서의 업무 일체를 다른 이사 등에게 위임하고, 대표이사로서의 직무를 전혀 집행하지 않는 것은 그 자체가 이사의 직무상 충실 및 선관의무를 위반하는 행위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1] 상법 제401조 제1항/ [2] 상법 제401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6. 12. 23. 선고 96다30465, 30472 판결(공1997상, 512), 대법원 2002. 3. 29. 선고 2000다47316 판결(공2002상, 990)대법원 2002. 6. 14. 선고 2001다52407 판결(공2002하, 1650)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한국수출보험공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한경수 외 1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2. 11. 19. 선고 2002나389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1. 상법 제401조 제1항에 규정된 주식회사의 이사의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은 이사가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그 임무를 해태한 것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어서 단순히 통상의 거래행위로 인하여 부담하는 회사의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 것만으로는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그 임무를 해태한 것이라고 할 수 없지만, 이사의 직무상 충실 및 선관의무 위반의 행위로서 위법성이 있는 경우에는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그 임무를 해태한 경우에 해당한다 할 것이고( 대법원 2002. 3. 29. 선고 2000다47316 판결 참조), 대표이사가 대표이사로서의 업무 일체를 다른 이사 등에게 위임하고, 대표이사로서의 직무를 전혀 집행하지 않는 것은 그 자체가 이사의 직무상 충실 및 선관의무를 위반하는 행위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증거에 의하여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그 인정 사실에 기초하여 ○○○○의 감사 소외인은 ○○○○의 수출업무를 처리하면서 ○○○○이 이미 할인받은 수출환어음이 부도처리될 상황임을 숨기고 원고로부터 수출신용보증서를 발급받았으며, 또한 실제 수입자가 따로 있음을 알면서도 화륜총공사에 수출하는 형식을 취하여 면책약정까지 해주었으므로, ○○○○이 다시 수출환어음을 발행하여 할인하는 경우 또 다시 실제 수입자가 수입대금을 입금하지 아니하여 그 환어음이 결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을 쉽게 예견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환어음부도로 인한 손해를 만회할 욕심에서 무리한 업무처리를 한 것이고, 한편 ○○○○의 대표이사인 피고는 남편인 소외인에게 ○○○○의 모든 경영을 맡겨 놓은 채 대표이사로서의 직무를 전혀 수행하지 아니하여 판시와 같은 업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방임한 결과 ○○○○이 발행한 수출환어음이 결제되지 아니함으로써 원고로 하여금 손해를 입게 하였다 할 것인바, 무릇 대표이사란 대외적으로 회사를 대표하고 대내적으로 업무집행을 총괄하여 지휘하는 직무와 권한을 갖는 기관으로서,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써 회사를 위해 충실하게 그 직무를 집행하고, 회사업무의 전반에 걸쳐 관심을 기울여야 할 의무를 지는 자라 할 것이므로, 대표이사가 타인에게 회사업무 일체를 맡긴 채 자신의 업무집행에 아무런 관심도 두지 아니하여 급기야 부정행위 내지 임무해태를 간과함에 이른 경우에는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의하여 그 임무를 소홀히 한 것이라고 봄이 상당하다 할 것이어서, 피고의 위와 같은 방임행위는 위법성이 있고, 또한 피고의 임무해태와 원고의 손해와의 사이에 상당인과관계도 있다고 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피고에 대하여 손해배상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를 인용하였는바, 위에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이사의 제3자에 대한 책임요건 또는 손해배상책임에 있어서의 상당인과관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손해배상 청구사건에서 과실상계 사유에 관한 사실인정이나 그 비율을 정하는 것은 그것이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실심의 전권에 속하는 사항이라 할 것인바( 대법원 1992. 9. 25. 선고 92다20477 판결, 1998. 9. 4. 선고 96다11440 판결 등 참조), 이러한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가 배상하여야 할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 판시와 같은 사정을 참작하여 피고의 책임 범위를 70%로 제한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원고의 과실비율을 너무 낮게 산정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변재승 윤재식(주심) 강신욱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대표이사의 책임, 어디까지일까요? 방치도 책임이 될 수 있습니다!

회사 대표이사가 회사 경영 일체를 다른 이사에게 맡겨놓고 아무런 관심도 두지 않아 발생한 다른 이사의 사기 행위에 대해, 대표이사도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대표이사#방임#손해배상#임무해태

민사판례

대표이사와 감사의 책임, 어디까지일까요?

대표이사는 다른 이사의 위법행위를 감시할 의무가 있고, 회사 규모가 크더라도 업무 분장을 핑계로 이 의무를 소홀히 할 수 없다. 감사 역시 회사의 부정을 적발할 의무가 있으며, 회사 내부통제가 미흡할수록 더욱 철저히 감시해야 한다.

#대우 분식회계#대표이사 책임#감사 책임#감시 의무

민사판례

이사의 책임과 손해배상, 어디까지일까?

회사 이사는 다른 이사의 위법한 업무 집행을 알면서도 방치하면 회사에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배상액은 이사의 잘못 정도와 회사 상황 등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사#감시의무#손해배상#책임

민사판례

이사와 감사의 책임, 어디까지일까요?

회사 이사와 감사는 다른 이사나 직원의 위법 행위 (특히 회계분식)를 의심할 만한 사유가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감시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방치하여 제3자에게 손해를 입히면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 업무 분장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감시 의무를 소홀히 할 수 없다.

#이사 책임#감사 책임#회계분식 방치#배상 책임

민사판례

대표이사와 감사의 책임: 회사 손해배상에 대한 쟁점

대우의 분식회계로 인해 회사채를 매입하여 손해를 입은 수협중앙회가 대우의 대표이사, 업무담당이사, 감사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들의 감시의무 해태를 인정하여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특히, 대규모 회사라도 내부적인 사무분장을 이유로 다른 이사의 위법행위에 대한 감시의무를 면할 수 없으며, 분식회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감사의 주의의무가 더욱 강화된다는 점을 명시했습니다.

#대우#분식회계#손해배상#이사

형사판례

회사 이사의 책임, 어디까지일까요? 대표이사의 횡령을 알고도 가만히 있으면 배임죄일까?

회사 이사가 대표이사의 횡령 사실을 알았더라도, 단순히 묵인했다는 이유만으로는 업무상 배임죄로 처벌할 수 없다. 이사의 부작위로 회사에 실질적인 손해 또는 손해 발생 위험이 초래되었다는 점까지 입증되어야 한다.

#대표이사 횡령#이사 묵인#업무상 배임#부작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