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명·상관면전모욕·무단이탈·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2002도2539

선고일자:

200212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전화를 통하여 상관을 모욕한 경우 상관면전모욕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군형법 제64조 제1항의 상관면전모욕죄의 구성요건은 '상관을 그 면전에서 모욕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면전에서'라 함은 얼굴을 마주 대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임이 분명하므로, 전화를 통하여 통화하는 것을 면전에서의 대화라고는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군형법 제64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김창엽 (국선) 【원심판결】 CaseRef Court="고등군사법원" Date="2002.5.7." Number1="2002" Number2="노" Number3="92" Type="판결"고등군법 2002. 5. 7. 선고 2002노92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고등군사법원에 환송한다. 【이유】1. 제1심 판시 제1항, 제3항, 제4항의 각 범죄사실에 관하여,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채택 증거들에 의하여 위 각 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원심은, 제1심 판시 제2항의 범죄사실, 즉 피고인이 2001. 4. 21. 10:00경 보령시 천북면 소재 천북 예비군 중대장실에서 제32보병사단 동원참모인 피해자 중령 임정택에게 전화를 하여 상관인 동인의 면전에서 '내가 누구인지 아느냐, 내가 왜 여기 있는지 아느냐, 다 당신 때문이야, 너는 살인자야'라는 취지의 폭언을 하고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어버림으로써 동인을 모욕하였다는 범죄사실도 유죄로 인정하고, 이를 군형법 제64조 제1항의 상관면전모욕죄로 의율하였다. 그러나 군형법 제64조 제1항의 상관면전모욕죄의 구성요건은 '상관을 그 면전에서 모욕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면전에서'라 함은 얼굴을 마주 대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임이 분명하므로, 전화를 통하여 통화하는 것을 면전에서의 대화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원심은 전화를 통하여 상관을 모욕한 이 사건에 대하여 상관면전모욕죄를 적용하였으니, 여기에는 상관면전모욕죄의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3. 그러므로 양형부당에 관한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위 죄와 다른 죄를 경합범으로 보아 하나의 형을 정한 원심판결 전부를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무제(재판장) 강신욱 손지열(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군인이 대통령을 모욕하면 처벌받을까? 군형법 상관모욕죄, 그 대상은 누구까지?

군인이 대통령을 모욕하면 군형법상 상관모욕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대통령은 군 통수권자로서 군인의 상관에 해당한다.

#군인#대통령#상관모욕죄#군형법

형사판례

분대장도 상관? 군대 내 모욕죄, 알아두면 도움되는 상식!

분대장과 분대원 모두 병사일지라도, 분대장은 분대원에 대해 명령권을 가지는 상관이므로, 분대원이 분대장을 모욕하면 상관모욕죄가 성립한다.

#상관모욕죄#분대장#분대원#병사

형사판례

군대에서 좀 무례하게 굴었다고 다 상관모욕죄일까?

단순히 상관에게 무례하게 행동한 것만으로는 군형법상 상관모욕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상관의 사회적 평가를 실추시킬 만한 모욕적인 표현이 있어야 합니다.

#상관모욕죄#무례한 행동#사회적 평가 저하#모욕적인 표현

형사판례

군대 내 상관 모욕, 폭행, 협박에 대한 법적 기준

이 판례는 군형법에서 '상관'의 범위를 명령복종 관계가 없는 상위 계급자와 상위 서열자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상관모욕죄는 상관을 면전에서 모욕한 경우 공연성 여부와 관계없이 성립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군형법#상관#범위#상관모욕죄

형사판례

동기 단톡방에서 상관 뒷담화, 모욕죄일까?

부사관 교육생이 동기 교육생들과의 단체 채팅방에서 지도관을 "도라이"라고 지칭한 것이 상관모욕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표현의 자유를 고려하여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로 보고 무죄 취지로 판단했습니다.

#부사관#상관모욕죄#무죄#단체채팅방

형사판례

상관 욕했다고 무죄? 군대 명예훼손에도 '공익' 인정될까?

군인이 상관의 명예를 훼손하는 사실을 말했더라도, 그것이 공익을 위한 것이라면 처벌하지 않을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습니다. 일반 명예훼손죄에는 공익을 위한 경우 처벌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있는데, 군형법에는 그런 조항이 없었지만, 대법원은 유사한 법 조항을 적용하여 무죄 판결을 내렸습니다.

#군형법#상관명예훼손#공익목적#위법성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