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관리법 위반

사건번호:

2002도6081

선고일자:

200302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당해 사업장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않게 된 물질이 재활용의 원료로 공급된다는 사정만으로, 폐기물관리법상의 폐기물로서의 성질을 상실하는지 여부(소극) [2] 폐기물중간처리업자가 자신이 경영하는 공장 옆 부지에 수거한 오니를 적치하고 그 위에 흙을 덮은 후 나무를 심은 행위가 폐기물관리법상 금지되는 '매립'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1]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1호는 "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연소재·오니·폐유·폐산·폐알카리·동물의 사체 등으로써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당해 사업장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은 비록 그 물질이 재활용의 원료로 공급된다는 사정만으로는 폐기물로서의 성질을 상실하지 않는다. [2] 폐기물중간처리업자가 자신이 경영하는 공장 옆 부지에 수거한 오니를 적치하고 그 위에 흙을 덮은 후 나무를 심은 행위가 폐기물관리법상 금지되는 '매립'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1]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1호 / [2] 폐기물관리법 제7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1. 6. 1. 선고 2001도70 판결(공2001하, 1559)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한밭 법무법인 담당변호사 박주봉 외 3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02. 10. 18. 선고 2001노132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1호는 "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연소재·오니·폐유·폐산·폐알카리·동물의 사체 등으로써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당해 사업장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은 비록 그 물질이 재활용의 원료로 공급된다는 사정만으로는 폐기물로서의 성질을 상실하지 않는다 고 할 것이다( 대법원 2001. 6. 1. 선고 2001도70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증거들을 종합하여, 피고인이 피고인 경영의 공장 옆 부지에 매립한 이 사건 물질은 폐기물중간처리업을 영위하는 피고인이 사업장폐기물배출자들과의 사이에 체결한 폐수처리오니 처리계약 내지 일반폐기물 재활용계약에 따라 수거한 오니인데, 피고인 경영 공장에서 생산되는 물품인 비료 및 암반녹화식생토는 산업폐기물배출업자들로부터 수거한 오니를 공장 내에 야적하고 톱밥 및 발효제를 배합한 후 약 1주일간의 발효과정과 건조과정을 거쳐 선별된 것임에 반하여, 이 사건 물질은 폐기물배출업자들로부터 수거한 오니 그 자체이거나 혹은 오니에 흙을 섞은 것에 불과하고, 이를 비료 또는 암반녹화식생토로 만들기 위한 공정인 톱밥 및 발효제와 배합한 후 발효·건조시키는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것인 사실을 인정한 다음, 비록 이 사건 물질이 장차 피고인에 의하여 피고인 경영의 공장에서 비료 내지 암반녹화식생토로 만들어지는 원료로 사용될 것이라는 사정만으로는 그 성상이 변경된 것으로 볼 수 없어 아직 폐기물로서의 속성을 상실하지 않았으므로 이 사건 물질은 여전히 폐기물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는바, 위에서 본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관계 증거를 살펴보면, 이와 같은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하거나, 폐기물관리법에 있어서의 폐기물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의 채용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이 매립한 이 사건 물질의 양이 대략 500t에 달한다고 인정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다고 수긍이 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증거들을 종합하여 피고인이 피고인 경영의 공장 옆 부지에 이 사건 물질을 적치하고 그 위에 흙을 덮은 후 그 위에 나무를 심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의 이와 같은 행위는 폐기물관리법 제7조 제2항이 금하고 있는 '매립'에 해당함이 분명하고, 흙을 덮는 데서 나아가 그 위에 나무를 심기까지 한 만큼 이 사건 물질을 일시적으로 옮겨 놓은 것이 아니라 이를 종국적으로 처리할 의사로 매립한 것으로 인정될 뿐만 아니라, 위 법 소정의 '매립'을 반드시 그 대상물을 "종국적으로 버린다."는 의사하에 행하여지는 것으로 제한하여 해석할 수는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관계 증거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다고 수긍이 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하거나 폐기물 관리법에 있어서의 매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4.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재식(재판장) 변재승(주심) 이규홍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건설 현장에서 나온 흙, 그냥 줘도 불법일까? 폐기물 처리에 대한 오해와 진실

건설현장에서 나온 흙을 농지에 객토용으로 제공한 행위가 폐기물관리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그에 따른 행정 처분이 정당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재활용 목적이라도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폐기물 처리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건설현장 토사#재활용#폐기물관리법 위반#원상복구 명령

형사판례

폐기물 수집·운반 허가만 받은 사람이 폐기물 매립을 하면 불법일까요?

폐기물 수집·운반 허가만 받은 사람이 허가 없이 폐기물을 매립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최종 처리까지 하려면 별도의 최종처리업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폐기물#불법매립#수집운반허가#최종처리업허가

일반행정판례

사업장 폐기물, 어디까지 재활용 가능할까? - 건설폐기물 매립 관련 행정처분의 적법성

건설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토사(순환토사)를 농지가 아닌 산지 등에 매립하는 것은 폐기물관리법 위반이며, 행정청의 조치명령은 적법하다. 순환토사를 농지 개량에 사용하려면 농작물 경작에 적합해야 하고, 산지에는 사용할 수 없다.

#건설폐기물#순환토사#농지#산지

일반행정판례

폐수처리오니 재활용, 어디까지 될까요? 부숙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토 생산은 위법!

폐수처리오니로 만든 부숙토를 비탈면 녹화토 생산에 사용하도록 제공한 것은 재활용 기준 위반이며, 여러 위반 사항에 대해 내려진 행정처분 중 일부만 위법한 경우 전체 처분을 취소하는 것이 아니라 위법한 부분만 취소해야 한다.

#폐수처리오니#재활용기준#부숙토#비탈면녹화

상담사례

땅 샀는데 폐기물 폭탄?!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땅에 묻힌 폐기물은 '현재 진행형 방해'가 아니므로 직접적인 제거 청구 소송은 어렵지만, 폐기물 처리 비용 등 손해배상 청구는 가능하다.

#토지 매매#폐기물#손해배상#방해배제청구

형사판례

낡은 빌딩 폐기물, 무단 매립하면 안 돼요!

허가 없이 건축 폐기물을 처리하고 하천에 버린 행위는 불법이며, 처리량이 많을 경우 폐기물 종류나 토사 혼합 여부와 관계없이 처벌 대상이 된다는 판결.

#건축폐기물#불법처리#하천매립#무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