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낙찰허가

사건번호:

2002마580

선고일자:

20021029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경매절차에서 집행문이 부여된 공정증서의 원본이 아닌 사본을 제출하여 배당요구를 한 채권자가 구 민사소송법 제607조 소정의 이해관계인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구 민사소송법(2002. 1. 26. 법률 제66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607조는 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 중의 하나로 집행력 있는 정본에 의하여 배당을 요구한 채권자를 들고 있는바, 위 채권자가 집행법원에 배당요구를 함에 있어 반드시 집행력 있는 정본 자체를 집행법원에 제출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집행력 있는 정본 또는 그 사본이 첨부된 배당요구서를 제출함으로써 족하다 할 것이므로, 입찰절차에 있어서 재항고인이 집행문이 부여된 공정증서의 원본이 아닌 사본을 제출하였다는 이유만으로는 그 이해관계인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민사소송법(2002. 1.26. 법률 제 66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제607조(현행 민사집행법 제90조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2. 6. 21.자 2001마7027 결정, 대법원 2002. 9. 5.자 2002마2812 결정(공2002하, 2467)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서울지법 2002. 1. 5.자 2001라4193 결정 【주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원심결정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배당요구채권자로서 입찰절차의 이해관계인이 되기 위하여는 낙찰허가결정 선고 전에 채무명의의 집행력 있는 정본을 제출하면서 입찰법원에 배당요구를 하여야 하는데, 재항고인은 낙찰허가결정 선고 전에 집행법원에 배당요구를 하면서 집행문이 부여된 공정증서의 원본이 아닌 사본을 제출하였을 뿐이므로 재항고인을 배당요구채권자로서 이 사건 입찰절차의 이해관계인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여 재항고인의 항고를 각하하였다. 구 민사소송법(2002. 1. 26. 법률 제66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607조는 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 중의 하나로 집행력 있는 정본에 의하여 배당을 요구한 채권자를 들고 있는바, 위 채권자가 집행법원에 배당요구를 함에 있어 반드시 집행력 있는 정본 자체를 집행법원에 제출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집행력 있는 정본 또는 그 사본이 첨부된 배당요구서를 제출함으로써 족하다 할 것이므로, 이 사건 입찰절차에 있어서 재항고인이 집행문이 부여된 공정증서의 원본이 아닌 사본을 제출하였다는 이유만으로는 그 이해관계인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 .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결정은 위법하여 파기를 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변재승 윤재식(주심) 이규홍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경매 배당 받으려면 꼭 필요한 것!

경매 배당을 받으려면 판결문 원본에 집행문이 붙어 있어야 하며, 집행문이 없는 사본으로는 배당 요구를 할 수 없다.

#경매 배당#집행문#판결 정본 원본

민사판례

부동산 경매에서 배당요구하려면 가압류 결정만으로는 부족해요!

부동산 경매에서 가압류 채권자가 배당을 받으려면 단순히 법원에서 가압류 결정을 받은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실제로 경매 대상 부동산에 가압류 집행까지 마쳐야 배당요구를 할 자격이 생깁니다.

#경매 배당요구#가압류 집행 필수#배당요구 종기#가압류 결정만으로 부족

민사판례

배당이의소송, 잘못 걸면 소용없어요!

돈을 받아야 할 채권자가 확정된 판결문 등(집행권원)을 가지고 빚진 사람의 재산을 압류하여 배당을 받을 때, 빚진 사람이 이의를 제기하려면 어떤 소송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집행권원이 있는 채권자에게 이의를 제기할 때는 배당이의의 소가 아니라 청구이의의 소를 제기해야 합니다.

#배당이의의 소#청구이의의 소#집행권원#확정판결

민사판례

경매 배당요구, 제대로 알고 하세요!

경매에서 돈을 받으려면 '배당요구'를 해야 하는데, 단순히 가압류만 한 사람이나 판결문을 가지고 있더라도 배당요구를 하지 않은 채권자는 배당 받을 권리가 없습니다. 또한 이전 경매에서 배당요구를 했다고 해서 새로 진행되는 경매에서 자동으로 배당요구가 된 것으로 볼 수 없습니다.

#경매#배당요구#이해관계인#가압류

민사판례

경매 배당, 놓치면 끝?! 배당요구의 중요성과 주의사항

경매 배당에서 퇴직금을 받으려면 배당요구 종기까지 퇴직금임을 명확히 해서 배당요구를 해야 합니다. 종기 이후 퇴직금을 추가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배당요구#퇴직금#배당요구종기#임금

민사판례

경매에서 근저당권자, 배당요구 안 해도 배당 받을 수 있을까?

경매 시작 전에 근저당권을 설정한 사람은 별도로 배당을 요구하지 않아도 배당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경매#근저당#배당요구#배당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