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금

사건번호:

2003다33691

선고일자:

2004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4조 제1항에 정한 구상권 행사의 상대방이 되는 '제3자'의 의미 [2] 근로자가 동일한 사업주에 의하여 고용된 동료 근로자의 행위로 인하여 업무상의 재해를 입은 경우, 위 동료 근로자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4조 제1항에 정한 '제3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4조 제1항에 정한 구상권 행사의 상대방이 되는 '제3자'라 함은 재해 근로자와 산업재해보상보험관계가 없는 자로서 재해 근로자에 대하여 불법행위 등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자를 말한다. [2] 동료 근로자에 의한 가해행위로 인하여 다른 근로자가 재해를 입어 그 재해가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러한 가해행위는 마치 사업장 내 기계기구 등의 위험과 같이 사업장이 갖는 하나의 위험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그 위험이 현실화하여 발생한 업무상 재해에 대하여는 근로복지공단이 궁극적인 보상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는 것이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사회보험적 내지 책임보험적 성격에 부합하고, 여기에다가 사업주를 달리한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사업장에서 어떤 사업주의 근로자가 다른 사업주의 근로자에게 재해를 가하여 근로복지공단이 재해 근로자에게 보험급여를 한 경우, 근로복지공단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4조 제1항 단서에 의하여 가해 근로자 또는 그 사용자인 사업주에게 구상할 수 없다는 점까지 감안하면, 근로자가 동일한 사업주에 의하여 고용된 동료 근로자의 행위로 인하여 업무상의 재해를 입은 경우에 그 동료 근로자는 보험가입자인 사업주와 함께 직·간접적으로 재해 근로자와 산업재해보상보험관계를 가지는 자로서 같은 법 제54조 제1항에 정한 '제3자'에서 제외된다고 봄이 상당하다.

참조조문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4조 제1항 / [2]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4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6. 4. 8. 선고 85다카2429 판결(공1986, 759), 대법원 1988. 3. 8. 선고 85다카2285 판결(공1988, 650), 대법원 2003. 12. 26. 선고 2003다13307 판결(공2004상, 221)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근로복지공단 【피고,피상고인】 변개성 (소송대리인 변호사 류순주 외 1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2003. 5. 22. 선고 2002나4891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법'이라고만 한다) 제54조 제1항은 "공단은 제3자의 행위에 의한 재해로 인하여 보험급여를 지급한 경우에는 그 급여액의 한도 안에서 급여를 받은 자의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한다. 다만, 보험가입자인 2 이상의 사업주가 같은 장소에서 하나의 사업을 분할하여 각각 행하다가 그 중 사업주를 달리하는 근로자의 행위로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하고 있고, 여기에서 구상권 행사의 상대방이 되는 '제3자'라 함은 재해 근로자와 산업재해보상보험관계가 없는 자로서 재해 근로자에 대하여 불법행위 등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자를 말한다( 대법원 1986. 4. 8. 선고 85다카2429 판결 등 참조). 그런데 동료 근로자에 의한 가해행위로 인하여 다른 근로자가 재해를 입어 그 재해가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러한 가해행위는 마치 사업장 내 기계기구 등의 위험과 같이 사업장이 갖는 하나의 위험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그 위험이 현실화하여 발생한 업무상 재해에 대하여는 근로복지공단이 궁극적인 보상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는 것이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사회보험적 내지 책임보험적 성격에 부합하고, 여기에다가 사업주를 달리한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사업장에서 어떤 사업주의 근로자가 다른 사업주의 근로자에게 재해를 가하여 근로복지공단이 재해 근로자에게 보험급여를 한 경우, 근로복지공단은 법 제54조 제1항 단서에 의하여 가해 근로자 또는 그 사용자인 사업주에게 구상할 수 없다는 점 ( 대법원 1994. 10. 11. 선고 94다29225 판결 참조) 까지 감안하면, 근로자가 동일한 사업주에 의하여 고용된 동료 근로자의 행위로 인하여 업무상의 재해를 입은 경우에 그 동료 근로자는 보험가입자인 사업주와 함께 직·간접적으로 재해 근로자와 산업재해보상보험관계를 가지는 자로서 법 제54조 제1항에 정한 '제3자'에서 제외된다고 봄이 상당하다 . 2. 원심은 그 채택 증거에 의하여, 피고는 황해연이 경영하는 주점에서 종업원으로 일하던 중 황해연의 지시로 동료 종업원인 조수현과 함께 시너를 이용하여 페인트가 묻어 있는 화장실 바닥을 청소하다가 라이터로 시너가 뿌려져 있는 바닥에 불이 붙게 함으로써 화재를 일으켜 그 곳에 있던 조수현으로 하여금 우측 옆구리 등에 화상을 입게 한 사실, 원고는 조수현의 부상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고 조수현에게 판시와 같은 요양급여와 휴업급여를 지급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조수현의 재해가 피고의 불법행위로 인한 것이므로 법 제54조 제1항에 따라 조수현의 피고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행사한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조수현과 함께 같은 사업주의 종업원인 피고는 원고의 구상권 행사의 상대방이 되는 제3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앞서 본 법리에 의한 것으로서 옳고, 거기에 법 제54조 제1항에 정한 구상권 행사 및 민법상의 사용자책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강신욱(재판장) 변재승 박재윤 고현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사 동료 때문에 다쳤을 때, 누구에게 보상받을 수 있을까?

동료 근로자의 과실로 산재를 당한 경우, 그 동료에게는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지만, 가해 차량의 보험사에게는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산재#동료 과실#구상권#보험사

민사판례

직장 내 성희롱 가해자에게 근로복지공단이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을까?

동료 직원의 성희롱 등으로 직원이 자살하여 산재 처리된 경우, 근로복지공단은 가해 직원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다.

#산재#자살#구상권#불가

일반행정판례

산재보험과 제3자 손해배상, 이럴 땐 공단이 돈 안 줘도 된다?

타인의 불법행위로 산재를 당한 근로자가 가해자와 합의하면서 받을 수 있는 손해배상금 일부를 포기한 경우, 포기한 금액이 공단이 지급할 산재보험금보다 크면 공단은 산재보험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어진다는 판결입니다. 이때, 근로자가 일시금이나 연금 중 어떤 형태의 장해급여를 선택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산재보험#제3자 손해배상#합의#급여지급 의무 소멸

민사판례

산재사고 발생 시 제3자의 구상권, 어디까지 인정될까?

산재사고가 회사 직원과 제3자의 공동 과실로 발생했을 때, 근로복지공단에 보험금 전액을 먼저 물어낸 제3자는 회사를 상대로 자신이 부담해야 할 부분 이상 지급한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

#산재사고#공동불법행위#제3자#재구상권

민사판례

근재보험과 산재보험, 누가 먼저 보상해야 할까?

회사가 가입한 근재보험에서 보상하지 않는 산재보험급여 부분을 근재보험사가 피해 근로자에게 지급했더라도, 근재보험사와 근로자가 그 사실을 알았다면 근재보험사는 근로복지공단에 해당 금액을 청구할 수 있다.

#근재보험#산재보험#구상권#제3자 변제

민사판례

회사도 잘못했는데, 왜 우리한테만 돈 달라고 해요? - 공동불법행위에서 근로복지공단 구상권 행사 범위

회사와 제3자가 함께 잘못해서 산업재해가 발생한 경우, 근로복지공단은 제3자에게 산재 보상금 전액을 청구할 수 없고, 회사의 책임만큼을 제외한 금액만 청구할 수 있습니다.

#산재#구상권#제3자#회사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