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4두8231

선고일자:

2005100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수도권 안의 투자에 대하여 조세감면 규정의 적용을 배제하는 구 조세특례제한법 제130조 제1항에서 정한 '수도권 안에 소재하는 당해 사업용 고정자산'의 의미

판결요지

구 조세특례제한법(2001. 12. 29. 법률 제65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0조 제1항의 입법 취지가 수도권 안의 투자에 대하여 조세감면의 혜택을 배제함으로써 산업시설과 기업활동이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것을 억제하고 수도권 소재 기업의 지방이전을 촉진하고자 하는 데 있음에 비추어 볼 때, 위 조항에 규정된 '수도권 안에 소재하는 당해 사업용 고정자산'의 해석에 있어서, 건설업·운수업에서 사용되는 건설기계나 자동차 등과 같은 기계류의 경우에는 당해 고정자산인 기계류 자체가 수도권 안에 소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고정자산을 사용하기 위한 사업장이 수도권 안에 소재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참조조문

구 조세특례제한법(2001. 12. 29. 법률 제65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 제1항 , 제130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대로건설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해마루종합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장완익 외 5인) 【피고,피상고인】 영등포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4. 7. 7. 선고 2003누 12204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구 조세특례제한법(2001. 12. 29. 법률 제65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법'이라 한다) 제26조 제1항은 "정부가 경기조절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투자…를 한 금액의 100분의 10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에 상당하는 세액을 … 과세연도의 … 법인세에서 공제한다."라고 규정하여 이른바 임시투자세액공제제도를 정하고 있는 반면, 법 제130조 제1항은 "내국인이 1990. 1. 1. 이후 수도권 안에서 창업하는 경우, … 수도권 안에 소재하는 당해 사업용 고정자산에 대하여는 … 제26조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여 예외를 정하고 있는바, 법 제130조 제1항의 입법 취지가 수도권 안의 투자에 대하여 조세감면의 혜택을 배제함으로써 산업시설과 기업활동이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것을 억제하고 수도권 소재 기업의 지방이전을 촉진하고자 하는 데 있음에 비추어 볼 때, 위 조항에 규정된 '수도권 안에 소재하는 당해 사업용 고정자산'의 해석에 있어서, 건설업·운수업에서 사용되는 건설기계나 자동차 등과 같은 기계류의 경우에는 당해 고정자산인 기계류 자체가 수도권 안에 소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고정자산을 사용하기 위한 사업장이 수도권 안에 소재하는 경우를 의미한다고 함이 상당하다. 원심은 같은 취지에서, 건설업체로서 1992. 4. 28. 수도권 안에서 설립되어 사업장(등기부상의 법인 소재지를 말한다)을 수도권 안에 두고 있는 원고 회사가 2000. 1. 24. 수입 취득한 건설용 기계(콘크리트 피니셔)는 비록 그 기계가 주로 수도권 밖에 있는 도로포장공사 현장에서만 사용된다 하더라도 법 제130조 제1항에 규정된 '수도권 안에 소재하는 당해 사업용 고정자산'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는바,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 제130조 제1항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는 것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이규홍 박재윤(주심) 양승태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수도권 투자와 조세 감면 혜택: 인천국제공항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수도권에 위치하여 조세특례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인천국제공항이 수도권에 포함되므로 조세특례를 받을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조세특례#수도권#세액공제

세무판례

수도권 이전 기업, 세금 감면 받으려다 탈락? 복권발행업의 범위는 어디까지?

수도권 밖으로 이전하는 기업에게는 법인세를 감면해주는 제도가 있는데, '복권발행업'처럼 소비성 서비스업은 감면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 판례는 은행으로부터 온라인 복권 시스템 운영을 위탁받은 회사도 실질적으로 복권 발행의 전반적인 업무를 대행했다면 '복권발행업'에 해당하여 조세감면을 받을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온라인 복권#조세감면#복권발행업#소비성 서비스업

세무판례

수도권 병원 투자에 대한 세금 감면, 언제부터 적용될까? 그리고 세금 환급 후 오류 수정은 가능할까?

이 판례는 기업 투자에 대한 세금 감면 혜택인 임시투자세액공제의 배제 요건을 언제 적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세무서가 세금 경정(재계산) 후 오류를 발견했을 때 수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임시투자세액공제#배제요건#적용시점#경정청구

생활법률

수도권 탈출! 지방 이전 기업 지원 혜택 총정리!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 시, 정부는 토지 분양가 인하, 세제 혜택(소득세/법인세, 취득세/재산세 감면), 교육훈련 보조금 등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www.comis.go.kr 참조)

#수도권 기업 지방 이전 지원정책#재정 지원#세제 혜택#법인세 감면

세무판례

본사 이전 세금 감면, 직원들이 진짜 그곳에서 일했나요?

수도권 밖으로 본사를 이전한 기업에 대한 법인세 감면 혜택을 받으려면, 실제로 이전 지역에서 상시 근무하는 인원이 있어야 하며, 이를 입증할 책임은 기업에 있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서류상 본사 주소만 이전한 것은 감면 요건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법인세 감면#본사 이전#상시 근무#증명 책임

세무판례

대도시 밖으로 공장 이전 시 등록세 면제, 함정이 있다?!

대도시 안의 공장을 대도시 밖으로 이전할 때 등록세를 면제해주는 법이 있는데, 면제 대상 공장의 범위를 제한하는 시행령과 시행규칙은 법률에서 위임한 범위를 벗어나 무효라는 판결입니다.

#등록세 면제#시행령 위헌#법률 위임 범위#조세법률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