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05다31194

선고일자:

2006061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금융기관 임원의 선관주의 의무의 내용 및 그 위반 여부의 판단 기준

판결요지

참조조문

상법 제382조 제2항, 제399조 제1항, 민법 제681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2. 6. 14. 선고 2001다52407 판결(공2002하, 1650), 대법원 2003. 7. 25. 선고 2003다7265 판결, 대법원 2004. 3. 26. 선고 2002다60177 판결, 대법원 2004. 8. 20. 선고 2004다19524 판결, 대법원 2005. 1. 14. 선고 2004다8951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우리신용카드의 소송수계인 주식회사 우리은행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푸른 담당변호사 김상훈)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5. 11. 선고 2004나5016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금융기관의 임원은 소속 금융기관에 대하여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지므로 그 의무를 충실히 한 때에야 임원으로서의 임무를 다한 것으로 된다. 금융기관이 임원을 상대로 대출과 관련된 임무를 게을리하였다고 하여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경우 그 대출이 결과적으로 회수곤란 또는 회수불능으로 되었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바로 대출결정을 내린 임원의 판단이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의의무 내지 충실의무를 위반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대출과 관련된 경영판단을 하면서, 통상의 합리적인 금융기관 임원으로서 그 상황에 합당한 정보를 가지고 적합한 절차에 따라 회사의 최대이익을 위하여 신의성실에 따라 대출심사를 하지 아니하였다거나, 그 의사결정과정 및 내용이 현저하게 불합리한 경우에는, 그 임원의 경영판단은 허용되는 재량범위를 넘는 것으로서 회사에 대한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내지 충실의무를 다한 것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금융기관의 임원이 내린 대출결정이 위와 같은 경영판단의 허용된 재량범위 내에 있는 것인지, 아니면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에 위반하여 자신의 임무를 게을리한 것인지는, 그 대출결정에 통상의 대출담당임원으로서 간과해서는 아니될 잘못이 있는지 여부를 대출의 조건과 내용, 규모, 변제계획, 담보의 유무와 내용, 채무자의 재산 및 경영상황, 성장가능성 등 여러 가지 사항에 비추어 종합적으로 판정해야 한다( 대법원 2002. 6. 14. 선고 2001다52407 판결, 2003. 7. 25. 선고 2003다7265 판결, 2004. 3. 26. 선고 2002다60177 판결, 2004. 8. 20. 선고 2004다19524 판결, 2005. 1. 14. 선고 2004다8951 판결 등 참조).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주식회사 아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화건업, 주식회사 진로산업과 평강교회에 대한 각 대출 부분, 그리고 Philippine Airlines, Inc. 발행의 외화채권과 Bakrie Investindo 보증 아래 발행된 외화채권 매입 부분에 관하여 원심이 그 판시 사실을 종합하여 피고의 행위가 경영판단의 허용된 재량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한 것은 위와 같은 법리에 따른 것으로서 타당하고, 채증법칙을 위배하거나 심리를 다하지 않는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게 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황식(재판장) 박재윤 김영란(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금융기관 임원의 책임, 어디까지일까요?

보험회사 임원이 계열사에 대한 대출을 부적절하게 처리하여 회사에 손해를 끼쳤는지 여부가 쟁점입니다. 대법원은 계열사에 대한 담보대출을 신용대출로 전환하면서 제대로 된 심사를 하지 않은 임원의 책임을 인정하여 사건을 환송했습니다. 하지만, 수익증권 거래를 통해 보험계약자에게 특별이익을 제공한 행위에 대해서는 회사에 실질적인 손해를 입혔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보험회사#임원#대출#손해배상

민사판례

금융기관 임원의 책임과 손해배상

금융기관 임원이 부실 대출, 회사 자금 인출, 부정 회계 등으로 회사에 손해를 끼친 경우, 어떤 기준으로 손해배상 책임을 지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임원의 주의 의무 위반, 다른 임원의 위법행위 방치, 손해액 산정 방법, 손해배상액 제한 가능성 등이 주요 쟁점입니다.

#금융기관#임원#손해배상#주의의무

민사판례

저축은행 임원의 대출 부실 책임, 어디까지 물을 수 있을까?

저축은행 임원이 대출을 해주는 과정에서 충분한 검토 없이 대출을 승인하여 은행에 손해를 끼친 경우, 해당 임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했다는 결과만으로는 책임을 물을 수 없고, 임원이 선량한 관리자로서 주의 의무를 다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저축은행#임원 책임#대출 부실#주의 의무

상담사례

은행 직원의 실수, 대출금 못 받으면 누가 책임질까요? - 대출과 손해배상 이야기

은행 직원의 규정 위반으로 발생한 대출 손실은 해당 직원이 배상해야 하며, 배상 범위는 회수 불가능한 대출 원금, 약정 이자, 연체 이자를 모두 포함한다.

#은행 직원 실수#대출#손해배상#책임

형사판례

은행 직원의 대출 관련 배임죄, 어디까지 처벌될까?

농협 직원이 부적절한 대출을 승인하여 농협에 손해를 끼치거나 손해 발생 위험을 초래한 경우,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사례입니다. 대법원은 일부 대출 행위에 대해서는 배임죄를 인정했지만, 대출기한 연장, 대환대출, 유효한 보증인이 있는 대출 등에 대해서는 배임죄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농협#직원#대출#배임죄

형사판례

은행 직원, 부실 대출했다면 업무상 배임죄?

은행 직원이 대출 신청자의 상환 능력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부실 대출을 해준 것은 고의적인 배임 행위로 인정되어 업무상 배임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은행 직원#부실 대출#업무상 배임죄#상환 능력 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