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2005다4208

선고일자:

200503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과실상계 사유에 대한 사실인정과 비율확정이 사실심의 전권사항인지 여부(적극) [2] 정년이 보장된 급여소득자가 재직 중 불법행위로 인하여 사망한 경우, 일실퇴직금 손해의 산정 방법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396조 , 제763조 / [2] 민법 제393조 , 제763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3. 11. 26. 선고 93다1466 판결(공1994상, 193), 대법원 1995. 7. 25. 선고 95다17267 판결(공1995하, 2955), 대법원 2000. 2. 22. 선고 98다38623 판결(공2000상, 771), 대법원 2002. 1. 8. 선고 2001다62251, 62268 판결(공2002상, 452), 대법원 2002. 1. 8. 선고 2001다64493 판결, 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2다43165 판결(공2003상, 211), 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1다2129 판결(공2003상, 695), 대법원 2005. 1. 14. 선고 2004다26805 판결(공2005상, 283) /[2] 대법원 1983. 10. 25. 선고 82다카140 판결(공1983, 1738), 대법원 1987. 4. 14. 선고 86다카1905 판결(공1987, 801), 대법원 1989. 4. 11. 선고 87다카2901 판결(공1989, 734), 대법원 2000. 9. 26. 선고 98다50340 판결(공2000하, 2178)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김경아 외 2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상민) 【피고,상고인】 동양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소명 담당변호사 경수근 외 1인) 【원심판결】 대전고법 2004. 12. 17. 선고 2004나1842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일실수입에 관한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대전고등법원에 환송한다.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에서 피해자에게 손해의 발생이나 확대에 관하여 과실이 있는 경우에는 배상책임의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 당연히 이를 참작하여야 할 것이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에서 과실상계 사유에 관한 사실인정이나 그 비율을 정하는 것은 그것이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실심의 전권사항에 속한다고 할 것인바( 대법원 1993. 11. 26. 선고 93다1466 판결, 2000. 2. 22. 선고 98다38623 판결, 2002. 1. 8. 선고 2001다64493 판결 등 참조), 관련 증거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과실상계 사유에 관한 사실인정이나 그 비율판단이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볼 수 없으므로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의 주장은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의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망 이준용이 이 사건 사고로 입은 일실퇴직금 상당 손해를 산정함에 있어서 위 망인이 이 사건 사고로 말미암아 퇴직하게 되었으므로 위 퇴직일로부터 정년시까지의 기간에 대한 퇴직금 상당액을 위 망인의 일실퇴직금 상당의 손해라고 하여 이를 피고의 손해배상액 산정의 기초로 삼았다. 그러나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수긍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정년이 보장되어 있는 급여소득자가 재직 중 불법행위로 인하여 사망함으로써 입은 퇴직금 손해는 사망하지 않았더라면 지급받을 수 있는 정년시까지의 총 근속기간에 대한 퇴직금 전액에서 사망으로 인하여 지급받게 된 그 때까지의 근속기간에 해당하는 퇴직금 등을 공제하는 방법으로 산정하여야 한다( 대법원 1983. 10. 25. 선고 82다카140 판결, 1987. 4. 14. 선고 86다카1905 판결, 1989. 4. 11. 선고 87다카2901 판결, 2000. 9. 26. 선고 98다50340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원심으로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일실퇴직금 손해는 위 망인이 사망하지 않았더라면 지급받을 수 있는 정년시까지의 총 근속기간에 대한 퇴직금 전액의 사고 당시 현가액에서 사망으로 인하여 지급받게 된 그 때까지의 근속기간에 해당하는 퇴직금 등을 공제하는 방법으로 산정하였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퇴직일로부터 정년시까지의 기간에 대한 퇴직금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산정하였으니 거기에는 일실퇴직금 상당 손해의 산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3. 결 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일실퇴직금에 관한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며, 피고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담(재판장) 유지담 배기원(주심) 이강국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정년 보장된 공무원, 사고로 사망하면 퇴직금은 어떻게 될까요?

정년 보장 공무원이 사고로 사망하면 유족은 가해자에게 정년까지 근무했을 경우 받았을 퇴직금에서 이미 받은 퇴직금을 제외한 일실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다.

#공무원#사망#퇴직금#일실퇴직금

민사판례

정년퇴직 후 일실수입,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정년퇴직 후 예상되는 소득을 계산할 때는 단순히 평균적인 직장인의 소득을 기준으로 할 수 없고, 퇴직자의 실제적인 소득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며, 정기적인 상여금 등도 포함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일실수입#정년퇴직#현실적 소득#상여금

민사판례

일용직 근로자 사망사고, 제대로 된 배상 받으려면?

사고로 사망한 일용직 근로자의 일실수입(사고로 잃어버린 수입)을 계산할 때, 실제로 받던 임금 자료가 있다면 그걸 기준으로 해야 하며, 단순히 통계자료(정부노임단가)보다 높다고 해서 통계자료를 사용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

#일용직#사망사고#손해배상#일실수입

민사판례

회사 폐업 후 일실수입, 어떻게 계산할까?

교통사고로 사망한 사람이 다니던 회사가 사고 후 폐업한 경우, 그 사람이 회사에 계속 다녔을 것이라고 가정해서 일실수입을 계산하면 안 된다. 그 사람의 나이, 학력, 경력 등을 고려해서 다른 직장에서 얼마나 벌 수 있었을지를 따져봐야 한다. 미래에 벌 수 있었을 소득을 증명할 때는 과거 사실처럼 확실하게 증명할 필요는 없고,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범위에서 가능성이 높은 소득을 증명하면 된다.

#일실수입#폐업#교통사고 사망#나이

민사판례

회사원 사망사고, 일실수입 계산과 위로금 공제는 어떻게?

회사 직원이 사망했을 때, 매년 임금인상이 예정되어 있었다면 사고 후 임금인상분을 반영하여 일실이익을 계산해야 하고, 가해자가 지급한 위로금은 손해배상액에서 공제해서는 안 된다는 판결.

#일실이익#임금인상#위로금#손해배상

민사판례

일용직 노동자의 손해배상, 어떻게 계산될까요?

교통사고로 사망한 일용직 노동자의 손해배상 소송에서, 법원은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하는 노임단가를 손해액 산정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일용직 보통인부의 월 가동일수는 25일로 볼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일실수입#대한건설협회 노임단가#월 가동일수 25일#일용직 노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