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법위반

사건번호:

2005도2200

선고일자:

200510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병역법 제86조에 정한 '사위행위'의 의미 및 그 실행의 착수시기 [2] 병역을 기피할 목적으로 사위의 방법으로 발급받은 병사용진단서를 관할 병무청에 제출하거나 징병검사장에 출석하여 사위의 방법으로 신체검사를 받는 등의 행위에까지 이르지 않았다면 병역법 제86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위행위의 실행에 이르렀다고 할 수 없다고 한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병역법 제86조 / [2] 병역법 제8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5. 3. 22. 선고 2004노392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병역법 제86조는 "병역의무를 기피하거나 감면받을 목적으로 도망하거나 행방을 감춘 때 또는 신체손상이나 사위행위를 한 사람은 1년 이상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사위행위'라고 함은 도망, 잠적하는 행위나 신체를 손상하는 행위처럼 그 자체로서 병역의무의 이행을 면탈하거나 병역의무를 감면 받을 신체적 상태가 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병역의무를 감면 받을 조건에 해당하지 않거나 그러한 신체적 상태가 아님에도 병무행정당국을 기망하여 병역의무를 감면 받으려는 것이어서 다른 행위 태양인 도망, 잠적에 상응할 정도로 병역의무의 이행을 면탈하고 병무행정의 적정성을 침해할 직접적인 위험이 있는 단계에 이르렀을 때 비로소 위 병역법 조항에 의하여 처벌되는 사위행위의 실행에 이르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피고인 1은 공소외 1 등과, 피고인 2은 공소외 2 등과 각 공모하여, 위 공소외 1, 공소외 2 등이 신장질환을 가장하여 병역면제처분을 받을 목적으로 피고인들의 지시에 따라 병무청 지정병원을 기망하여 사구체신염 등의 신장질환이 의심된다는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거나 그에 따라 병사용진단서를 발급받는 등 사위행위를 하였다라는 부분에 관하여, 징병검사대상자에 대하여 최초 징병검사를 실시하거나 이미 병역처분을 받은 사람이 지정병원의 병사용진단서 등을 첨부하여 병역처분변경원서를 제출함에 따라 징병검사를 실시함에 있어 징병전담의사는 징병검사대상자가 진술한 질환과 지참한 병사용진단서 등을 참고하여 검사를 실시하되 병력이 있는 사람은 정밀검사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이때 지정병원의 병사용진단서를 제출한 경우와 비지정병원의 진단서를 제출한 경우 또는 진단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에 검사방법이나 정밀도에 차이가 없으며, 단지 이러한 병사용진단서가 징병검사시 참고자료가 되기는 하지만 그러한 경우에도 징병전담의사 등은 병사용진단서의 내용에 기속되지 아니하고 신체검사 및 정밀검사 등을 통해 독자적 판단에 따라 신체등위를 판정하고, 지방병무청장은 위 신체등위 판정에 따라 병역면제 또는 병역처분을 변경하는 것이어서, 병역을 기피할 목적으로 사위의 방법으로 진단 및 검사를 받고 이로써 병사용진단서를 발급받는 것과 같은 지정병원에 대한 기망행위가 그 단계에서 병무행정당국에 대한 사해행위와 동일한 가벌성이 있는 행위라고 보기 어려우므로 사위의 방법으로 발급받은 병사용진단서를 관할 병무청에 제출하거나 징병검사장에 출석하여 사위의 방법으로 신체검사를 받는 등의 행위에까지 이르지 않은 이상 병역법 제86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병역을 기피하거나 감면 받을 목적의 사위행위'의 실행에 이르렀다고 할 수 없고, 따라서 피고인들이 위 공소외 1, 공소외 2 등과 공모하여 병역의무를 감면받을 목적으로 사위행위를 하였다는 이 부분 공소사실은 범죄가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해당하여 무죄라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위에서 본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병역법 제86조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강신욱(주심) 김영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병역 기피 목적의 '사위행위', 어디까지 처벌될까?

병역을 기피할 목적으로 허위 진단서를 발급받았더라도 병무청에 제출하지 않았다면 병역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

#병역기피#허위진단서#미제출#병역법위반(미수아님)

형사판례

병역면제 목적 허위진단서, 병역기피 미수죄 성립할까?

병역 면제를 받기 위해 허위 진단서를 받았더라도, 이를 병무청에 제출하는 등의 적극적인 행위 없이는 병역법 위반(사위행위)으로 처벌할 수 없다.

#허위진단서#병역기피#사위행위#실행착수

형사판례

군 면제 목적으로 문신하면 처벌받을 수 있다? 병역법 위반과 문신에 대한 오해와 진실

병역을 피하기 위해 문신을 새긴 경우, 문신으로 인해 실제 건강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병역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다.

#병역기피#문신#병역법 위반#신체손상

형사판례

벌금 때문에 군대 안 가도 된다고? 병역기피 목적의 노역장 유치, 병역법 위반일까?

병역기피 목적으로 벌금을 내지 않고 노역장에 가는 것은 병역법 위반이 아니다.

#벌금미납#노역장유치#병역기피#병역법위반

형사판례

군대 가기 싫어서 다치게 하면 무조건 처벌!

군인이 근무를 피하기 위해 일부러 다치는 경우, 다친 정도가 실제로 근무를 피할 수 있을 만큼 심각하지 않아도 근무기피목적상해죄가 성립한다.

#근무기피목적상해죄#상해 정도#결과 발생#기념미수 불요

형사판례

군대 안 가려고 거짓말? 공범도 처벌받을 수 있을까?

보충대에 입영했다가 귀향조치된 사람은 군인 신분이 아니므로 군형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지만, 일반인이라도 군인의 군형법 위반을 도왔다면 공범으로 처벌될 수 있다.

#보충대 입영#귀향조치#군형법 위반#군인 신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