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조세범처벌법위반

사건번호:

2005도4589

선고일자:

200510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이른바 딱지어음을 이용한 사기 범행에 있어서 피고인과 최종소지인의 전자들 사이에 공모관계를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47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및 검사 【원심판결】 대구지법 2005. 6. 16. 선고 2005노658 판결 【주문】 상고를 각 기각한다. 【이유】 1. 검사의 상고에 대하여 가. 어음, 수표의 발행인이 그 지급기일에 결제되지 않으리라는 정을 예견하면서도 이를 발행하고 거래상대방을 속여 그 할인을 받거나 물품을 매수하였다면 위 발행인의 사기행위는 이로써 완성되는 것이고, 위 거래상대방이 그 어음, 수표를 타에 양도함으로써 전전 유통되고 최후소지인이 지급기일에 지급제시하였으나 부도되었다고 하더라도 발행인이 최후소지인의 전자들과 사이에 공범관계에 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최후소지인에 대한 관계에서 발행인의 행위를 사기죄로 의율할 수 없다( 대법원 1998. 2. 10. 선고 97도3040 판결, 2005. 4. 15. 선고 2005도652 판결 등 참조). 나. 원심은, 피고인이 부도를 예상하면서 주식회사 한독산업사 명의로 이른바 딱지어음을 대량으로 발행한 사실, 제1심 공동피고인 1이 성명불상자로부터 교부받은 주식회사 한독산업사 발행의 액면 5,000만 원인 약속어음을 공소외 1을 통하여 피해자 공소외 2로부터 할인하여 그 할인금 상당을 편취한 사실, 제1심 공동피고인 2가 신문광고를 보고 성명불상자로부터 100만 원에 구입한 주식회사 한독산업사 발행의 액면 2,560만 원인 약속어음을 피해자 대구은행 칠곡지점으로부터 할인하여 그 할인금 상당을 편취한 사실은 인정되나, 위 피해자들은 피고인의 직접적인 거래 상대방이 아니라 위 약속어음이 전전 유통되고 난 이후 이를 취득한 최종소지인들에 불과하고,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제1심 공동피고인 1, 제1심 공동피고인 2 등 위 약속어음의 최종소지인의 전자들과 사이에 순차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위 약속어음을 이용하여 금원을 편취한 사실을 인정하기 부족하며,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피해자 공소외 2, 대구은행 칠곡지점에 대한 사기의 점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이러한 원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은 옳은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한 사실오인, 공동정범에 대한 법리오해 또는 판례위반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다. 또 원심은, 공소외 3, 공소외 4가 부도를 예상하면서 주식회사 영풍상사 명의로 이른바 딱지어음을 대량으로 발행하였고, 피고인은 공소외 4로부터 주식회사 영풍상사 발행의 액면 3,750만 원인 약속어음을 교부받은 사실, 공소외 5는 신문광고를 보고 성명불상자로부터 160만 원에 구입한 위 약속어음을 피해자 주식회사 대명에 교부하고 연체된 폐기물처리비용의 변제를 유예받아 그 유예기간 동안의 이자 상당 재산상 이익을 편취한 사실은 인정되나, 공소외 5에게 위 약속어음을 판매한 성명불상자가 피고인이라는 취지의 공소외 5에 대한 검찰 피의자신문조서 사본의 기재는 그 판시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믿기 어렵고, 달리 피고인과 공소외 5 사이에 공범관계를 인정할 아무런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피해자 주식회사 대명에 대한 사기의 점에 대하여도 무죄를 선고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이러한 원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도 옳은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한 사실오인 또는 공동정범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피고인의 상고에 대하여 피고인에 대하여 10년 미만의 징역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이 너무 무거워 부당하다는 사유는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각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강신욱 고현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부도난 어음,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고의로 부도어음을 발행한 사람이라도, 처음 거래한 상대방이 아닌 최종 소지인에게는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

#부도어음#사기죄#최종소지인#기망행위

형사판례

딱지어음 판매, 사기죄일까?

가짜 수표나 부도날 걸 알면서 어음을 팔았더라도, 최종적으로 그 어음/수표를 받은 사람에게 돈을 뜯어낼 목적이었다는 증거가 없으면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부도어음/수표#판매#사기죄#무죄

형사판례

딱지어음 발행하고 팔면 사기죄 공범될 수 있다?!

고의로 부도날 어음(딱지어음)을 만들어 유통시킨 사람과 이를 알고도 사들여 사기 행각에 이용한 사람은 공모 관계가 인정되어 함께 사기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딱지어음#사기#공모#공동정범

형사판례

딱지어음으로 물건 사면 사기죄?

지급 능력이 없으면서도 어음(딱지어음)을 발행해서 물건을 받으면 사기죄가 성립한다는 대법원 판결. 어음 지급일까지 기다려준 것도 재산상 손해로 인정.

#딱지어음#사기죄#지급능력#재산상 손해

형사판례

딱지어음 유통과 사기죄, 그리고 공소사실 특정에 관하여

부도날 것이 예정된 어음(딱지어음)을 여러 사람이 돌려가며 유통시켜 사기를 저지른 경우, 어음 발행 및 유통에 관여한 사람들은 서로 명시적으로 모의하지 않았더라도 사기죄의 공동정범으로 처벌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기 범죄를 기소할 때는 전체적인 범행 기간, 방법, 횟수 등을 명시하면 충분하며, 단기금융업 위반 혐의의 경우에는 어음의 만기가 법 적용 대상 기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명확히 해야 한다.

#딱지어음#유통사기#공모공동정범#공소사실 특정

민사판례

사기로 발행된 약속어음, 그 책임은 누구에게?

다른 사람에게 속아서 위조된 어음의 담보로 약속어음을 발행한 사람이 그 약속어음의 효력을 없앨 수 있다는 판결. 어음을 할인해준 금융기관이 위조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약속어음 발행을 취소할 수 있다.

#위조어음#약속어음#발행취소#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