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당선무효

사건번호:

2005수13

선고일자:

200603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후보자별 득표순위의 변경가능성이 없는 경우, 당선무효소송을 제기할 정당한 이익이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 방지법(2005. 8. 4. 법률 제7681호 ‘공직선거법’으로 법률 제명 변경) 제223조, 제22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 고】 무소속(성남시 중원구 국회의원 재선거) 후보자 강성현 【피 고】 성남시 중원구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우광택 【변론종결】2006. 2. 23. 【주 문】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2005. 4. 30. 실시된 성남시 중원구선거구 국회의원 재선거에서 성남시 중원구 선거관리위원회가 신상진을 당선인으로 한 결정을 무효로 한다. 【이 유】1. 기초사실 을 제1호증의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2004. 4. 30. 실시된 성남시 중원구선거구 국회의원 재선거(이하 ‘이 사건 선거’라고 한다)에서 한나라당 신상진 후보자가 20,435표, 민주노동당 정형주 후보자가 16,120표, 열린우리당 조성준 후보자가 12,717표, 새천년민주당 김강자 후보자가 6,815표, 무소속 김태식 후보자가 1,414표, 무소속 양동기 후보자가 854표, 무소속인 원고가 501표를 각 득표하여, 피고가 대표자인 성남시 중원구 선거관리위원회가 최다 득표자인 신상진 후보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2. 본안전 항변에 관한 판단 원고가 위 선거관리위원회의 당선인 결정에 위법이 있다고 하여 그 효력의 배제를 구하는 이 사건 소에 대하여, 피고는 이 사건 선거의 투표지에 대하여 재검표를 하더라도 후보자별 득표순위가 변동될 수 없으므로 이 사건 소는 소의 이익이 없다는 취지로 항변한다. 그러나 원고가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 방지법(이하 ‘선거법’이라 한다) 제188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 위 선거관리위원회의 당선인 결정에 위법이 있다는 이유로 당선인 결정의 효력의 배제를 구하는 이상 본안판단을 구할 정당한 이익이 있다고 할 것이고, 피고 주장과 같은 후보자별 득표순위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는 본안에서 판단할 사항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피고의 본안전 항변은 이유 없다. 3. 본안에 관한 판단 원고는, 이 사건 개표는 투표지의 유·무효별 또는 후보자별로의 구분·계산에 있어서 육안에 의한 확인절차를 거치지 아니하였고, 또한 이 사건 전자개표기에 의하여 투표지를 후보자별로 분류함에 있어 원고의 기표란에 기표된 투표지가 다른 후보자의 투표지 묶음에 혼입되어 투표지의 집계 및 산정에 잘못이 있어 이 사건 당선인 결정은 위법하다고 주장하나,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 4. 결 론 그러므로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고, 소송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강신욱(재판장) 고현철 양승태(주심) 김지형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19대 대선 무효소송 기각: 선거소송, 어떤 경우에 가능할까?

2017년 19대 대통령 선거에 부정이 있었다며 선거 무효 소송을 제기했으나, 대법원은 증거 부족으로 소송을 기각했습니다. 선거 무효가 되려면 선거법 위반이 있었고, 그 위반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하는데, 원고는 이를 증명하지 못했습니다.

#19대 대선#선거 무효 소송#기각#증거 부족

생활법률

선거 끝났다고 끝이 아니다! 당선 무효 소송, 뭐길래?

선거 후 당선 무효 소송은 대통령/국회의원 선거는 대법원에 30일 이내, 지방선거는 선거소청 후 대법원(광역단체장/교육감/비례대표 광역의원) 또는 고등법원(기초단체장/광역·기초의원)에 10일 이내 제기하며, 위법행위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경우에만 당선 무효 판결된다.

#당선 무효 소송#대법원#고등법원#공직선거법

일반행정판례

선거무효소송과 당선무효소송, 그 차이를 아시나요?

선거 과정에서 불법 행위가 있었더라도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고 선거관리위원회의 책임 있는 잘못이 있어야 선거 무효가 인정된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당선 무효 소송은 당선자를 상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상대로 제기해야 합니다.

#선거 무효#당선 무효#소송#선거관리위원회

일반행정판례

개표 오류? 선거 결과에 영향 줬을까?

선거 과정에서 규정 위반이 있더라도 그 위반이 선거 결과(당선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면 선거 결과는 유효하다.

#선거#절차상 하자#선거 결과 영향#유효

일반행정판례

선거관리위원회의 실수, 선거 결과에 영향 없다면?

선거관리위원회가 피선거권이 없는 후보의 등록을 무효 처리하지 않은 잘못이 있었지만, 그 후보의 득표수가 당락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었기에 선거 결과는 유효하다는 판결.

#피선거권#선거관리위원회#선거무효소송#득표수

일반행정판례

투표 결과, 그냥 확인해볼 수 있을까요? (득표수 검증 소송)

선거에서 투표용지의 유효/무효 여부만 따로 확인해달라는 소송은 할 수 없다. 이는 당선 무효 소송의 일부로서 진행되어야 한다.

#투표 검증#당선 무효 소송#증거 조사#소송 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