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금

사건번호:

2006다10989

선고일자:

200611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의 법적 성질(=손해보험형 상해보험) [2] 복수의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이 모두 하나의 사고로 피해자가 입은 손해를 담보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보험계약의 목적과 동일한 사고에 관하여 수개의 보험계약이 체결된 상법 제672조 제1항의 중복보험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3] 복수의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보험특약의 보험자들 중 일방 보험자가 다른 보험자에 대하여 가지는 중복보험에 따른 구상금채권의 소멸시효기간(=5년) 및 그 기산점(=현실로 피해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한 날)

판결요지

참조조문

[1] 상법 제665조, 제737조 / [2] 상법 제672조 제1항 / [3] 상법 제64조, 제672조 제1항

참조판례

[1][3] 대법원 2006. 11. 10. 선고 2005다35516 판결(공2006하, 2068) / [1] 대법원 2002. 2. 11. 선고 99다50699 판결(공2000상, 675), 대법원 2003. 12. 26. 선고 2002다61958 판결(공2004상, 211)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홍석한외 1인) 【피고, 상고인】 제일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석조)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6. 1. 20. 선고 2005나1549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피보험자가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교통사고로 인하여 상해를 입었을 때에 그 손해에 대하여 배상할 의무자가 있는 경우 보험자가 약관에 정한 바에 따라 피보험자에게 그 손해를 보상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이하 ‘무보험자동차특약보험’이라 한다)은 상해보험으로서의 성질과 함께 손해보험으로서의 성질도 갖고 있는 손해보험형 상해보험으로서( 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다50699 판결, 2003. 12. 26. 선고 2002다61958 판결 등 참조), 이 사건과 같이 보험금지급당사자인 보험회사와 다른 보험회사 사이의 구상관계에서는 손해보험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것이므로, 이러한 측면을 고려한다면 이 사건 각 무보험자동차특약보험은 모두 이 사건 사고로 소외인이 입은 손해를 담보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보험계약의 목적과 동일한 사고에 관하여 수개의 보험계약이 체결된 상법 제672조 제1항의 중복보험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위와 같은 법리에 비추어 볼 때, 원심이, 원고와 피고는 상법 제672조 제1항에 의해 연대채무의 관계에 있으며, 이 사건 각 무보험자동차특약보험의 보험금액 한도가 같으므로 원·피고의 부담비율은 같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이 사건 구상금 청구권은 원고와 이권 사이에 맺은 보험계약과 피고와 소외인 사이에 맺은 보험계약이 중복보험에 해당하여 상법 제672조 제1항이 적용됨에 따라 원고가 소외인에게 보험금을 지급함으로써 취득한 채권으로서 근본적으로 상행위에 해당하는 보험계약을 기초로 하여 발생한 것이고, 중복보험에 의한 구상관계에서는 당사자 쌍방이 모두 상인인 보험회사로서 그로 인한 거래관계를 신속하게 해결할 필요가 있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위 구상금 청구권은 상사채권으로서 그 소멸시효기간은 5년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그 기산점은 원고가 현실로 피해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한 날부터 기산한다. 이러한 법리에 비추어 볼 때, 원심이 중복보험에 의한 구상금 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을 일반민사채권과 같이 10년으로 판단한 것은 잘못이라 할 것이나, 한편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소외인에게 2002. 11. 29.부터 같은 해 12. 13.까지 보험금으로 합계 54,727,390원을 지급한 후에 그로부터 5년이 경과하지 않은 2004. 12. 22. 피고에 대해 이 사건 구상금 청구소송을 제기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그렇다면 이 사건 구상금 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지 않았음은 역수상 명백하다 할 것이어서, 이와 달리 원고의 이 사건 청구권이 보험자 대위권에 터잡은 보험금 청구권임을 전제로 하여 이 사건 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2년이 경과함으로써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는 피고의 이 부분 주장을 배척한 것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무보험차 사고! 여러 보험 가입했을 때 보험금은 어떻게 받을까?

무보험차로 인한 사고 피해자가 여러 개의 무보험차 상해보험에 가입했을 경우, 보험사들은 각자의 보험금액 한도 내에서 피해자에게 보상할 책임이 있고, 보험사들끼리는 자기 부담 비율만큼 책임을 나눠 진다. 또한, 한 보험사가 보상금을 모두 지급했더라도 다른 보험사에게 자기 부담 비율만큼 돌려받을 수 있다 (부진정연대채무).

#무보험차상해보험#중복가입#보험사책임#부진정연대채무

상담사례

무보험차 사고! 여러 보험 가입했는데 보상은 어떻게 받나요?

여러 무보험차 상해 특약 가입 시, 각 보험사는 계약한 보험금 한도 내에서 연대책임을 지며, 피해자는 총 손해액까지 보상받을 수 있지만, 보험사 간에는 자기 부담액 이상 청구 불가능한 부진정연대채무 관계이다.

#무보험차 사고#무보험차 상해특약#중복가입#연대책임

민사판례

무보험차 사고 보험금, 보험사끼리 얼마나 빨리 정산해야 할까?

무보험차 사고로 여러 보험사에서 보험금을 받은 경우, 보험사끼리 서로 정산할 권리(구상권)의 소멸시효는 5년이다. 보험사가 소멸시효 기간을 잘못 주장했더라도, 그 주장 안에 올바른 기간이 포함되어 있다면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는지 따져봐야 한다.

#무보험차상해보험#중복보험#구상권#소멸시효 5년

민사판례

무보험차 상해 특약, 여러 개 가입했는데 보상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하나의 교통사고로 다쳤을 때, 여러 개의 무보험차 상해 특약 보험에 가입했다면 보험금을 각 보험사에 전부 청구해서 중복으로 받을 수 없다. 각 보험의 보상 한도 내에서 비례하여 보상받는다.

#무보험차 상해 특약#중복보험#보험금 중복청구 불가#비례보상

민사판례

무보험차 사고! 내 보험사가 먼저 보상해줄까? 그리고 가해자 보험사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을까?

가해차량의 보험사가 면책(예: 무면허 운전)을 이유로 보험금 지급을 거부하더라도, 피해자는 자신의 무보험차 상해 특약 보험금을 받을 수 있고, 피해자의 보험사는 가해차량의 보험사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무보험차 상해 특약#보험금 지급#구상권#면책

상담사례

무보험차 사고 합의 후 보험사가 돈을 달라고 한다면? 🤯

무보험차 사고 합의 후 피해자가 무보험차 상해보험에 가입된 사실을 가해자가 몰랐고 이에 과실이 없다면 보험사에 합의금을 다시 지급하지 않아도 될 수 있지만,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면 보험사의 대위권 행사로 지급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무보험차 상해#보험사 대위권#합의#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