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확정

사건번호:

2006다32170

선고일자:

20070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지급보증계약상 주채무의 보증기일 경과 후 2개월 이내에 보증채무의 이행청구를 하지 않을 경우 보증채무가 소멸하는 것으로 정한 약정의 법적 성질(=소멸시효기간 단축 약정) 및 그 약정 취지 [2] 지급보증계약상 지급보증의 대상인 구상금채무의 발생요건으로 보험사고 발생 후, 채권자가 주채무의 보증기일 경과 후 2개월 이내에 보증채무의 이행청구를 하지 않을 경우에 보증채무가 소멸하는 것으로 정한 약정에 따라 지급보증인에게 이행청구를 하였다면 실제 보험금을 지급함에 있어 다시 별도로 이행청구를 하지 않더라도 지급보증인은 지급보증계약상 보증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184조 제2항, 제428조 제1항 / [2] 민법 제184조 제2항, 제428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6. 4. 14. 선고 2004다70253 판결(공2006상, 802)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서울보증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최병주)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동남은행의 파산관재인 예금보험공사외 1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부산 담당변호사 정재성외 5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2006. 4. 27. 선고 2005나19590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이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에 대하여 본다. 1.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에 의하여 이화건설 주식회사(이하 ‘이화건설’이라고 한다)는 진주시로부터 도급받은 진주권 광역쓰레기매립장 조성공사와 관련하여 진주시로부터 지급받을 선급금반환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1998. 4. 15. 원고와 사이에 보험가입금액을 274,600,000원, 보험기간을 1998. 4. 14.부터 1999. 3. 7.까지로 정하여 이 사건 이행보증보험계약(이하 ‘이 사건 보험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한 사실, 주식회사 동남은행(그 후 파산선고를 받아 피고들이 파산관재인으로 선임되었다. 이하 ‘파산은행’이라 한다)은 원고가 이 사건 보험계약에 따른 보험금을 지급함으로써 이화건설이 원고에 대하여 부담하게 될 구상금채무에 관하여 보증금액 4천만 원, 보증기일을 1999. 3. 7.까지로 정하여 지급보증을 하였는데(이하 ‘이 사건 보증계약’이라 한다), 이 사건 보증계약상 주채무의 보증기일 경과 후 2개월 이내에 원고가 파산은행에게 보증채무의 이행청구를 하지 않을 경우 파산은행의 보증채무가 소멸하는 것으로 약정한 사실(이하 ‘이 사건 이행청구기간 약정’이라 한다), 그 후 이 사건 보험계약에 따른 보험사고가 발생하자 원고는 1998. 9. 2. 파산은행에게 이 사건 보증채무의 이행을 청구한 사실, 원고는 진주시의 보험금 청구에 따라 2000. 7. 24. 진주시에게 보험금으로 227,689,370원을 지급한 사실을 각 인정한 다음, 피고는 이 사건 보증계약에 따라 원고에게 보증금액인 4천만 원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 사건 이행청구기간 약정은 특정한 채무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을 제한하고 그 기간을 도과할 경우 채무가 소멸하도록 하는 일종의 소멸시효기간 단축약정으로서, 이는 파산은행으로 하여금 장차 보증채무를 부담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부여하는 한편, 지연손해금 등 채무부담의 확대를 방지하고 아울러 주채무자인 이화건설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절차적 기회를 부여하고자 함에 그 취지가 있다고 할 것이므로( 대법원 2006. 4. 14. 선고 2004다70253 판결 참조), 이 사건 보험사고가 발생한 후 원고가 이 사건 이행청구기간 약정에 따라 파산은행에게 이행청구를 함으로써 이행청구기간의 도과를 저지시킴과 동시에 이미 파산은행에게 위와 같은 절차적 기회를 부여한 이상, 그 후 실제 보험금을 지급함에 있어 다시 별도로 이행청구를 해야 한다고 볼 수는 없으며, 따라서 파산은행으로서는 이행청구기간 내에 별도의 이행청구가 없었다는 점을 들어 이 사건 보증계약에 따른 보증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인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이나 이유모순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원고가 위 보험금 지급에 따른 사후구상권 행사의 일환으로 파산은행에 대하여 보증책임을 묻고 있는 이 사건에서, 파산은행에 대한 사전구상권이 시효로 소멸하였다는 취지의 상고이유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임이 분명하다. 결국, 상고이유의 주장은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피고들이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담(재판장) 박시환 박일환(주심)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사 중단? 보증금은 바로 받아야죠! 건설사 부도에 따른 이행보증금 청구

공사 이행을 보증한 보증인은 채권자의 공사계약 해지 통지 후 보증금 지급 의무가 발생하면, 주채무자(공사업체)와 채권자 사이의 분쟁이나 지급금지가처분 결정이 있더라도 보증금을 지급해야 하며, 지급하지 않으면 지체책임(이자 등)을 부담합니다.

#공사계약#보증금#보증인#지체책임

민사판례

빚 보증, 기한 연장해도 보증 책임 그대로!

돈을 빌린 사람과 은행 사이에서 채무 상환 기간이 연장되더라도, 보증인이 그 연장에 동의하지 않았더라도 보증 책임은 그대로 유지된다.

#채무 이행기 연장#보증인#보증 책임 유지#물상보증

민사판례

보증, 언제까지 책임져야 할까? 채무 보증과 관련된 3가지 중요 판결 해설

이 판례는 확정채무에 대한 보증인의 책임 범위, 신용보증기금의 통지 의무, 그리고 금융기관 직원의 사기에 따른 채무감면 취소 가능성에 대해 다룹니다. 쉽게 말해, 확정된 빚에 대한 보증인은 빚 갚는 날짜가 바뀌어도 보증 책임을 져야 하고, 신용보증기금은 보증인에게 부도나 대위변제 사실을 알려줄 의무가 없으며, 금융기관 직원이 속여서 빚을 깎아줬다면 금융기관은 그걸 취소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확정채무#보증인#책임#신용보증기금

민사판례

보증, 그 책임의 범위는? (feat. 확인서와 이행각서 해석)

보증은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며, 장래 채무까지 보증하는지 여부는 보증서의 내용, 작성 동기와 경위, 당사자의 의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단순히 "보증한다"는 문구만으로는 장래 채무까지 보증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보증#장래채무#보증서 해석#엄격해석

민사판례

보증기간 끝나면 그 이후 빚은 보증 안 서도 된다!

보증기간이 정해지지 않은 계속되는 거래에서, 보증기간(3년)이 끝난 후 주채무자가 돈을 갚았다면, 그 돈은 보증기간 내에 발생한 빚부터 갚는 것으로 봐야 하므로 보증인은 보증기간 이후 빚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는다는 판결.

#보증기간#계속적 거래#변제충당#보증인

민사판례

지급보증, 보증기간, 그리고 기한이익 상실

이 판결은 지급보증의 책임 범위는 보증서에 명시된 기간과 내용에 따라 정해지며, 보증기간 내에 주채무의 이행기가 도래하고 채무자가 이행하지 않을 때만 보증인이 책임을 진다는 것을 명확히 했습니다. 또한, 보증기간은 주채무의 이자 납부일이 공휴일로 연장되어도 자동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기한의 이익 상실은 계약 내용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지급보증#책임범위#보증기간#기한이익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