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해행위취소

사건번호:

2006다47301

선고일자:

200702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채무초과 상태의 채무자가 자신의 유일한 재산인 채권을 채권자 중의 어느 한 사람에게 채권담보로 제공하는 것이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이미 채무초과의 상태에 빠져 있는 채무자가 그의 유일한 재산인 부동산을 채권자 중의 어느 한 사람에게 채권담보로 제공하는 행위는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채권자들에 대한 관계에서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이 되는 사해행위가 된다고 봄이 상당하고, 이는 이미 채무초과의 상태에 빠져 있는 채무자가 그의 유일한 재산인 채권을 채권자 중의 어느 한 사람에게 채권담보로 제공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참조조문

민법 제406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86. 9. 23. 선고 86다카83 판결(공1986, 2945), 대법원 1989. 9. 12. 선고 88다카23186 판결(공1989, 1462), 대법원 2006. 4. 14. 선고 2006다5710 판결(공2006상, 807)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동아제약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청맥 담당변호사 김재식외 4인)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종근당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6. 6. 23. 선고 2005나93187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이미 채무초과의 상태에 빠져 있는 채무자가 그의 유일한 재산인 부동산을 채권자 중의 어느 한 사람에게 채권담보로 제공하는 행위는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채권자들에 대한 관계에서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이 되는 사해행위가 된다고 봄이 상당하고( 대법원 1986. 9. 23. 선고 86다카83 판결, 2006. 4. 14. 선고 2006다5710 판결 등 참조), 이는 이미 채무초과의 상태에 빠져 있는 채무자가 그의 유일한 재산인 채권을 채권자 중의 어느 한 사람에게 채권담보로 제공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할 것이다. 그런데도 이와 견해를 달리하여, 원심은 그 채용증거들을 종합하여 주식회사 (회사명 생략)이 채무초과의 상태에서 피고에 대한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피고에게 이 사건 채권을 양도한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변제기의 도래 후에는 채무자는 그 채무를 즉시 변제하지 않으면 아니 되는 것이므로 그러한 변제를 하지 않고 채무액 이하의 금전채권을 담보로 양도한다 한들 변제의 경우보다 채무자의 재산이 더 많이 감소되었다고 할 수 없다는 이유로, 변제 내지 기존 금전채무의 변제에 갈음하여 다른 금전채권을 양도하는 경우가 원칙적으로 사해행위가 되지 아니하는 이상 담보로 채권을 양도한 경우도 원칙적으로 사해행위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는바, 원심판결에는 채권담보로 채권을 제공하는 경우의 사해행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고, 이러한 위법은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것이어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담(재판장) 박시환 박일환(주심)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 갚을 돈 없는데, 특정 채권자에게만 갚아도 되나요? (사해행위)

빚이 재산보다 많은 채무자가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을 갚거나 담보를 제공하는 경우, 설령 그 재산이 채무자의 전부가 아니거나 빚 전액을 갚기에 부족하더라도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로 볼 수 있다.

#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채무초과#대물변제

민사판례

빚 갚을 능력 없는 사람이 특정 채권자에게만 재산을 넘겼다면? 사해행위일까?

빚이 재산보다 많은 채무자가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 대신 재산을 주거나 담보로 제공하는 행위는 다른 채권자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채권자는 해당 행위를 취소하고 재산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재산을 받은 사람이 이미 그 재산을 처분했더라도, 특히 주식처럼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경우에는, 현금으로 가치를 배상해야 합니다.

#채권자취소권#사해행위#원상회복#증명책임

상담사례

빚보다 재산이 적을 때, 특정 채권자에게만 담보를 몽땅 넘기면 어떻게 될까요?

빚보다 재산이 적은 사람이 특정 채권자에게만 담보를 제공하면 다른 채권자는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통해 담보 설정을 취소할 수 있고, 특히 담보를 받은 사람이 채무자의 재정 악화를 알고 있었다면 승소 가능성이 높다.

#사해행위 취소소송#담보제공#악의#입증책임

상담사례

빚더미에 앉았는데, 한 사람에게만 재산 넘겨도 될까요? - 사해행위 취소소송 A to Z

빚보다 재산이 적은 채무초과 상태에서 특정 채권자에게만 재산을 넘기는 것은 다른 채권자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로 판단될 수 있다.

#채무초과#사해행위#채권자#재산처분

민사판례

빚 갚을 돈보다 빚이 더 많을 때, 특정 채권자에게만 재산을 넘겨 빚을 퉁칠 수 있을까요?

빚이 재산보다 많은 사람이 특정 채권자와 짜고 다른 채권자들에게 피해를 주면서 그 채권자에게만 빚을 갚으려고 재산을 넘기는 행위는 사해행위로 인정된다. 재산을 넘긴 가격이 적정하더라도 다른 채권자를 해할 의도가 있었다면 사해행위가 성립한다.

#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편파변제#채무초과

민사판례

빚 갚으려다 오히려 빚 더 키운 사연: 유일한 재산 대물변제, 다른 채권자는?

빚이 재산보다 많은 채무자가 유일한 재산인 공유수면점용허가권을 특정 채권자에게 갚는 대신 넘겨준 경우, 이는 다른 채권자들을 해하는 사해행위로 볼 수 있다. 또한, 공유수면점용허가권은 양도 가능한 재산적 가치를 가지므로 사해행위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허가에 붙은 기한이 사업의 성격에 비해 너무 짧다면 허가 자체의 기한이 아닌 조건의 기한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사해행위#공유수면점용허가권#대물변제#채권자취소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