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처분이의

사건번호:

2006마392

선고일자:

20071015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공동주택의 입주자대표회의의 설치 등에 관한 구 주택법과 같은 법 시행령의 규정이 건축법 제8조에 의한 건축허가를 얻어 건설된 공동주택에 대하여도 적용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주택법(2003. 7. 25. 법률 제694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3조, 구 주택법 시행령(2004. 2. 28. 대통령령 제182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50조,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3조, 부칙 제6조(1984. 4. 10. 법률 제3725호 부칙 중 2005. 5. 26. 법률 제7502호로 개정된 것), 건축법 제8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신청인, 상대방】 주식회사 모든플러스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지성 담당변호사 김창희외 2인) 【피신청인, 재항고인】 우리관리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다래 담당변호사 곽동효외 9인) 【원심결정】 서울고법 2006. 3. 24.자 2005라913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재항고이유(재항고이유서 제출기간 경과 후에 제출된 재항고이유 보충서면은 재항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구 주택법 시행령(2004. 2. 28. 대통령령 제182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는, 구 주택법(2003. 7. 25. 법률 제694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주택법’이라고만 한다) 제5장 및 그 시행령 제5장에서 정하는 공동주택의 관리에 관한 사항은 구 주택법 제16조의 규정에 의한 주택건설사업계획의 승인을 얻어 건설한 공동주택에 적용하되, 건물의 하자보수에 관한 위 시행령 제59조 내지 제62조의 규정은 건축법 제8조에 의한 건축허가를 받아 분양을 목적으로 건설한 공동주택에 대하여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3조는 건물에 대하여 구분소유관계가 성립되면 구분소유자는 전원으로서 건물 및 그 대지와 부속시설의 관리에 관한 사업의 시행을 목적으로 하는 관리단을 구성한다고 규정하고, 위 법률 부칙 제6조는 집합주택의 관리방법과 기준에 관한 주택법의 특별한 규정은 그것이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저촉하여 구분소유자의 기본적인 권리를 해하지 않는 한 효력이 있으며, 다만 공동주택의 담보책임 및 하자보수에 관하여는 주택법 제46조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고 규정하고 있다. 위 규정들을 종합하면, 공동주택의 입주자대표회의의 설치 등에 관한 구 주택법과 그 시행령의 규정은 구 주택법 제16조에 의하여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얻은 공동주택에 한하여 적용되는 것이므로, 건축법 제8조에 의한 건축허가를 얻어 건설된 공동주택에 대하여는 위 규정들이 적용되지 아니하고,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관리단에 관한 규정들만이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위와 같은 취지의 제1심결정을 유지한 원심은 정당하고, 거기에 재항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구 주택법 및 그 시행령,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관한 법리오해나 채증법칙 위반 등의 위법이 없으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김황식 이홍훈(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우리 아파트에도 있을까?

모든 아파트에 입주자대표회의가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아닙니다.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받아 지어진 아파트에만 입주자대표회의 설치 의무가 있습니다. 단순 건축허가를 받아 지어진 아파트는 집합건물법에 따라 관리단을 구성해야 합니다.

#입주자대표회의#건축허가#사업승인#관리단

민사판례

아파트 관리, 누가 할까요? 관리단과 관리인 선임 이야기

아파트 분양 후 입주가 시작되면 입주자들로 구성된 관리단이 자동으로 설립되고, 관리인 선임은 입주자들의 서면 합의로도 가능합니다. 분양 계약서에 건축주를 관리인으로 한다는 내용이 있어도, 입주자들이 서면으로 다른 관리인을 선임하면 그 결정이 유효합니다.

#아파트#분양#관리단#자동설립

형사판례

아파트 공사 중지 명령 위반과 입주자대표회의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가 불법 공사를 하고 행정기관의 공사 중지 명령을 어겼더라도, 애초에 그 명령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면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입주자대표회의는 행정명령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입주자대표회의#불법공사#행정명령#공사중지명령

생활법률

우리 아파트, 누가 관리하나요? 아파트 관리 유형 완벽 정리!

아파트 관리는 자치, 위탁, 사업주체 관리로 나뉘며, 공동/구분관리도 가능하고, 각 유형별 법적 기준과 의무사항이 존재한다.

#아파트 관리#자치관리#위탁관리#사업주체 관리

상담사례

아파트 회장 선거, 잘못하면 큰일?! 입주자대표회의는 어떻게 되나요? 🤯

아파트 회장 선거 절차상 하자가 있더라도 입주자대표회의는 존속되며, 기존 회장은 적법한 회장 선출 전까지 일정 범위 내에서 업무를 계속 수행한다.

#아파트 회장 선거#절차 하자#입주자대표회의#법인 아닌 사단

생활법률

새 아파트 입주, 관리권 인수인계는 어떻게?

새 아파트 입주 시, 입주민 과반 입주 후 사업주체는 입주민에게 관리권 이양을 요구하고, 입주민은 입주자대표회의 구성, 관리방법(자치/위탁) 결정 후 사업주체로부터 관리업무를 인계받는 절차를 거친다.

#새 아파트 입주#관리권 이양#의무관리대상#사업주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