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사선임결의무효확인

사건번호:

2007다79480

선고일자:

2008082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무권대리인이 행한 소송행위의 일부 추인이 허용되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판결요지

무권대리인이 행한 소송행위의 추인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소송행위의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야 하고, 그 중 일부의 소송행위만을 추인하는 것은 허용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60조, 제9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3. 7. 24. 선고 69다60 판결(공1973, 7377)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광주고법(전주재판부) 2007. 10. 19. 선고 2007나1123 판결 【주 문】 상고를 각하한다. 상고비용은 소외 1이 부담한다. 【이 유】 직권으로 본다. 기록에 의하면, 피고의 대표이사이던 소외 1은 이 사건 제1심이 진행중이던 2006. 2. 16.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 동일자 2005카합480 결정으로 대표이사의 직무집행이 정지되었음에도 원심에 이르러 피고를 대표하여 변호사 유경재를 피고 소송대리인으로 선임하면서 그에게 상고제기 권한까지 위임하였고, 이에 위 변호사는 원심에서 피고를 대리하여 모든 소송행위를 하였을 뿐 아니라 피고 패소의 원심판결이 선고된 후에는 피고의 소송대리인 자격으로 이 사건 상고를 제기하기까지 한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위와 같이 직무집행이 정지된 대표이사 소외 1에 의하여 선임된 위 변호사에게는 원심에서 피고를 적법하게 대리할 권한이 있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이 사건 상고는 피고를 대리할 권한이 없는 자에 의하여 제기된 것으로서 부적법하다고 할 것이다. 피고의 직무대행자에 의하여 적법히 선임된 상고심에서의 피고 소송대리인은 상고이유서와 석명사항에 대한 의견서(2008. 5. 13.자)를 통하여 원심에서 소송대리인이 한 소송행위 중 상고제기 행위만을 추인하고 그 밖의 소송행위는 추인하지 아니한다는 의사를 개진하고 있는바, 무권대리인이 행한 소송행위의 추인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소송행위의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야 하는 것이고 그 중 일부의 소송행위만을 추인하는 것은 허용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인데( 대법원 1973. 7. 24. 선고 69다60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 위 상고행위만의 추인을 허용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피고 소송대리인의 위 일부 추인으로 인하여 이 사건 상고제기가 유효하게 되었다고 볼 수 없다. 이 점에 관하여 피고가 상고이유서에서 원용하는 판례는 사안이 달라 이 사건에서 원용하기에 적절한 선례가 될 수 없다. 또한, 피고 소송대리인은 2008. 7. 22.자 상고이유 철회서에 의해 무권대리인인 변호사 유경재의 항소심에서 한 소송행위를 모두 추인하고 소송대리권의 수여에 흠이 있다는 요지의 상고이유 제1점을 철회한다는 의사를 개진하고 있으나, 일단 추인거절의 의사표시가 있은 이상 그 무권대리행위는 확정적으로 무효로 귀착되므로 그 후에 다시 이를 추인할 수는 없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고를 각하하고, 상고비용의 부담에 관하여는 민사소송법 제108조, 제107조 제2항을 적용하여 피고에 대한 대표권이 없는 소외 1이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양승태(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대표 없이 시작한 소송, 나중에라도 인정받을 수 있을까?

권한 없는 사람이 소송을 시작했더라도, 나중에 권한 있는 사람이 그 행위를 인정(추인)하면 처음부터 유효한 소송이 됩니다. 이러한 추인은 대법원 상고심에서도 가능합니다.

#소송#무권대리#추인#상고심

민사판례

종중 대표권 없는 소송, 나중에 추인하면 유효할까?

종중 대표자가 아닌 사람이 종중 이름으로 소송을 제기했는데, 나중에 정식 대표자가 된 사람이 이 소송을 인정(추인)할 수 있는지, 그리고 종중 대표자를 뽑는 총회는 어떻게 열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소송을 추인하기 위해 열렸다고 주장하는 총회들이 제대로 소집되지 않아 무효로 판단되었습니다.

#종중#대표권#소송#추인

민사판례

종중 대표의 소송, 총회 결의 없어도 된다?! 추인의 효력

적법한 대표자 없이 시작된 종중 소송이라도, 나중에 적법한 대표자가 추인하면 소송 시작 시점부터 유효하게 됩니다. 이러한 추인은 대법원 상고심에서도 가능합니다.

#종중 소송#대표자 추인#소송 유효#상고심 추인

상담사례

종중 대표 잘못 뽑았어도 나중에 추인하면 유효할까요? 🤔

종중 대표 선출 과정에 절차적 하자가 있더라도, 추후 적법한 권한을 가진 자가 소집한 총회에서 추인하면 유효하다.

#종중#대표 선출#절차적 하자#소집권한

민사판례

종중 소송, 대표 없이 시작해도 괜찮을까?

자격 없는 종중 대표가 한 소송행위라도 나중에 적법한 대표자가 추인하면 유효하며, 종중총회 소집통지는 모든 종중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노력을 해야 하지만, 소집 사실을 알고도 참석하지 않은 종중원이 있다면 총회 결의는 유효하다는 판결입니다.

#종중#소송행위 추인#종중총회 소집통지#적법성

민사판례

종중 대표의 자격과 소송 행위 추인

자격 없는 대표자가 소송을 진행했더라도, 나중에 적법한 대표자가 그 소송행위를 인정하면 처음부터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인정은 대법원 상고심에서도 가능합니다.

#비법인사단#대표자#소송행위 추인#상고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