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집행방해·재물손괴·도로교통법위반(음주측정거부)

사건번호:

2007도1249

선고일자:

200704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현행범인을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211조의 ‘범죄의 실행의 즉후인 자’의 의미 [2] 음주운전을 종료한 후 40분 이상이 경과한 시점에서 길가에 앉아 있던 운전자를 술냄새가 난다는 점만을 근거로 음주운전의 현행범으로 체포한 것은 적법한 공무집행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211조 / [2] 형사소송법 제211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1. 9. 24. 선고 91도1314 판결(공1991, 2641), 대법원 1995. 5. 26. 선고 94다37226 판결(공1995하, 2251), 대법원 2002. 5. 10. 선고 2001도300 판결(공2002하, 1446)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청주지법 2007. 1. 25. 선고 2006노83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형사소송법 제211조가 현행범인으로 규정한 “범죄의 실행(實行)의 즉후(卽後)인 자”라고 함은, 범죄의 실행행위를 종료한 직후의 범인이라는 것이 체포하는 자의 입장에서 볼 때 명백한 경우를 일컫는 것으로서, 위 법조가 제1항에서 본래의 의미의 현행범인에 관하여 규정하면서 “범죄의 실행의 즉후인 자”를 “범죄의 실행 중인 자”와 마찬가지로 현행범인으로 보고 있고, 제2항에서는 현행범인으로 간주되는 준현행범인에 관하여 별도로 규정하고 있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범죄의 실행행위를 종료한 직후”라고 함은, 범죄행위를 실행하여 끝마친 순간 또는 이에 아주 접착된 시간적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시간적으로나 장소적으로 보아 체포를 당하는 자가 방금 범죄를 실행한 범인이라는 점에 관한 죄증이 명백히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만 현행범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 대법원 1991. 9. 24. 선고 91도1314 판결 등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실들을 인정한 다음, 신고를 받고 출동한 제천경찰서 청전지구대 소속 경장 공소외인이 피고인이 음주운전을 종료한 후 40분 이상이 경과한 시점에서 길가에 앉아 있던 피고인에게서 술냄새가 난다는 점만을 근거로 피고인을 음주운전의 현행범으로 체포한 것은 피고인이 ‘방금 음주운전을 실행한 범인이라는 점에 관한 죄증이 명백하다고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적법한 공무집행이라고 볼 수 없고, 그 이후에 피고인에 대하여 음주측정을 요구한 것은 절차적 적법성을 구비하지 못한 것이고 피고인에 대한 조사행위 역시 적법한 직무집행행위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여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법리오해 또는 판단누락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김용담 박일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아침에 차 빼다가 음주운전 현행범 체포? 이럴 수 있나요?

전날 밤 술을 마시고 다음 날 아침 잠깐 차를 이동시킨 운전자를 음주운전 혐의로 현행범 체포한 것은 위법하다. 현행범 체포는 범죄의 현행성, 범인의 명백성 외에도 체포의 필요성(도주나 증거인멸의 우려)이 있어야 하는데, 이 사건에서는 그러한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음주측정거부#현행범체포#위법#체포요건

형사판례

현행범 체포, 언제 가능할까요? - '범죄 실행의 즉후'란 무엇인가

범죄 실행 직후에 체포된 사람은 현행범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 "직후"는 시간과 장소, 증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현행범#체포#범죄 실행 직후#시간

형사판례

술집 묻지마 폭행, 현행범 체포는 정당했을까?

술집에서 폭행을 저지른 피고인을 현행범으로 체포한 경찰관의 행위가 적법한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체포 당시 피고인이 범행을 부인하고, 주소지가 멀리 떨어져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도주나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볼 수 있어 현행범 체포가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현행범 체포#적법성#도주 우려#증거인멸 우려

형사판례

현행범 체포, 어디까지 허용될까요?

싸움이 끝난 후 현장에 도착한 경찰관이 적법한 현행범 체포 절차 없이 임의동행을 요구했을 때, 이를 거부하는 과정에서 경찰관에게 폭행을 가했더라도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공무집행방해죄#임의동행#현행범 체포#적법절차

형사판례

목욕탕 싸움 후 현행범 체포, 정당한 공무집행이었을까?

목욕탕에서 다른 사람을 폭행한 피고인을 경찰이 현행범으로 체포한 것이 정당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피고인이 폭행 직후 현장에서 체포되었으므로 현행범 체포 요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여, 원심의 무죄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

#목욕탕#폭행#현행범#체포

형사판례

음주측정 거부, 언제 처벌될까?

운전자가 술에 취했는지 의심할 만한 충분한 근거 없이 음주측정을 요구하고, 운전자가 이를 거부했다면 음주측정거부죄로 처벌할 수 없다.

#음주측정거부#대법원#무죄#상당한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