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명예훼손)(일부인정된죄명:모욕)

사건번호:

2007도210

선고일자:

200703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항소심에서 비로소 공소사실이 친고죄로 변경된 경우, 항소심에서의 고소취소가 친고죄에 대한 고소취소로서의 효력이 있는지 여부(소극) [2]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61조 제2항 규정의 ‘비방할 목적’의 의미 및 그 판단 방법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232조 / [2]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61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9. 4. 15. 선고 96도1922 전원합의체 판결(공1999상, 970) / [2] 대법원 2002. 8. 23. 선고 2000도329 판결(공2002하, 2248)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광주지법 2006. 12. 14. 선고 2006노99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1.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죄를 논할 수 없는 사건에 있어서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의 철회는 제1심판결 선고 전까지 할 수 있다( 형사소송법 제232조 제1항, 제3항). 기록에 의하면 피해자들은 제1심판결 선고 후에야 피고인의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죄에 대해서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를 철회한다는 내용이 담긴 고소취소장과 합의서 등을 제출하였으므로 그러한 처벌희망 의사표시의 철회는 아무런 효력이 없다. 그리고 항소심에서 비로소 공소사실이 친고죄로 변경된 경우에도 항소심을 제1심이라 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항소심에 이르러 고소인이 고소를 취소하였다면 이는 친고죄에 대한 고소취소로서의 효력이 없다( 대법원 1999. 4. 15. 선고 96도1922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기록에 의하면 검사는 피고인의 피해자 공소외인에 대한 2005. 5. 7.자 및 2005. 5. 21.자 범행에 대해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죄로 기소를 하였다가 항소심에 이르러 친고죄인 모욕죄로 공소장을 변경하였는데, 피해자 공소외인은 제1심판결이 선고된 후에야 고소취소를 하였으므로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볼 때 그 고소취소 역시 아무런 효력이 없다. 따라서 원심이 피해자들의 처벌희망 의사표시 철회 및 고소취소의 효력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처벌희망 의사표시 철회 및 고소취소의 시기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2.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61조 제2항 규정의 ‘비방할 목적’이란 가해의 의사 내지 목적을 요하는 것으로서 사람을 비방할 목적이 있는지 여부는 당해 적시 사실의 내용과 성질, 당해 사실의 공표가 이루어진 상대방의 범위, 그 표현의 방법 등 그 표현 자체에 관한 제반 사정을 감안함과 동시에 그 표현에 의하여 훼손되거나 훼손될 수 있는 명예의 침해 정도 등을 비교,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 대법원 2002. 8. 23. 선고 2000도329 판결 등 참조). 원심이 이 사건 공소사실 제1항 가, 나.를 제외한 나머지 공소사실과 같은 게재문은 그 내용이 허위이고 그 각 게재문에 사용한 단어, 문투와 그 내용 등을 종합하면 피고인에게 ‘비방할 목적’이 있다고 판단한 것은 기록에 비추어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고 있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원심판결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게재문에 표현된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비록 피해자 공소외인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더라도 ‘악질친일분자의 자손’은 피해자 공소외인을 지칭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것과 같은 피해자의 특정과 관련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고현철 김지형 전수안(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고소 취소,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

명예훼손과 모욕으로 고소당한 피고인과 피해자가 합의서를 작성했더라도, 1심 판결 선고 전에 법원에 제출하지 않으면 고소 취소나 처벌불원 의사표시로 인정되지 않는다.

#고소취소#처벌불원#1심판결선고전#제출

형사판례

고소는 비친고죄, 공소는 친고죄? 그럼 고소취소 효력은?

피해자가 고소할 필요 없는 범죄(비친고죄)로 고소했지만, 검사가 고소가 필요한 범죄(친고죄)로 기소한 경우, 법원은 고소가 유효한지 확인해야 하고, 공범에 대한 고소 취소는 피고인에게도 효력이 있다.

#비친고죄#친고죄#고소#기소

형사판례

고소 취소 안 했다면, 처벌 원치 않았어도 고소 유효!

친고죄에서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밝혔더라도, 이후 고소하면 그 고소는 유효합니다.

#친고죄#처벌불원#고소#효력

형사판례

인터넷 명예훼손, 항소심에서 뒤집힐 수 있을까? - 무죄 부분 판단과 항소심의 한계

1심에서 일부 유죄, 일부 무죄 판결이 났을 때, 피고인만 항소하고 검사는 항소하지 않으면 항소심은 무죄 부분을 판단할 수 없다. 1심에서 무죄 부분에 대한 이유를 제대로 기재하지 않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인터넷 상의 명예훼손에서 '비방의 목적'은 표현 내용, 상대방 범위, 표현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인터넷 명예훼손#항소심#심판 범위#무죄 부분

형사판례

친고죄 고소기간 지난 허위신고, 무고죄일까?

친고죄의 고소기간이 지난 사실을 알면서 허위로 고소한 경우, 수사기관의 직무를 방해할 위험이 없으므로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친고죄#고소기간 도과#허위고소#무고죄

형사판례

친고죄 고소기간과 사기죄 편취 범의에 대한 대법원 판결 분석

친족 간에 발생한 성범죄와 금전 거래 관련 사기 사건에서, 고소기간 도과 여부와 사기죄의 고의성에 대한 원심의 판단이 미흡하여 대법원이 파기환송한 사례.

#성범죄#사기죄#고소기간#고의성